•  


하나는 微弱하나 모이면 特別한 姿態|週刊東亞

週刊東亞 921

..

하나는 微弱하나 모이면 特別한 姿態

머위

  • 이유미 國立樹木園 山林生物調査課長 ymlee99@forest.go.kr

    入力 2014-01-13 09:5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하나는 미약하나 모이면 특별한 자태
    꽃, 풀, 나무, 열매, 나물…. 이들의 共通點은?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겠지만, 먼저 이들은 모두 植物이다. 그리고 서로 關係를 맺고 있다. 植物은 크게 풀과 나무로 區分되며, 꽃과 열매는 나무나 풀에 달리는 機關 가운데 하나다. 나물은 植物의 잎 或은 뿌리 等으로 만든 먹을거리를 가리킨다. 오늘은 ‘머위’를 紹介할까 하는데, 或者는 ‘우리꽃 散策’이라는 코너에서 왜 나물 이야기를 하나 고개를 갸우뚱하겠지만, 머위度 植物인 만큼 꽃이 핀다. 알고 보면 그 꽃은 神奇하고 지혜롭다.

    머위는 우리나라 山 가장자리, 認可나 農路, 物價 周邊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마을이 가까운 全國 어디에서든 그리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菊花科에 屬하는 이 植物은 이른 봄에 꽃이 먼저 핀다. 그런데 겨울이 그리 매섭지 않은 아주 南쪽 섬에 가면 지난겨울부터 性急하게 핀 꽃송이들을 만나는 것이 어렵지 않다. 軟한 綠黃色 꽃송이들은 아주 獨特한 模樣을 하고 있다.

    꽃이라고 認識하기 어려운 작은 꽃들이 모여 엄지손톱만한 크기의 작은 꽃次例를 이루고, 이들이 둥글게 다시 모여 人形머리만큼 큼직한 꽃次例를 또 만든다. 하나하나는 작고 보잘것없지만 서로 합쳐 작은 共同體를 만들고 이들이 다시 有機的으로 모여 가장 큰 效率을 發揮한다. 昆蟲의 움직임이 極히 制限된 이른 봄 한 番의 訪問으로 修正을 하니 그 生態 自體가 지혜롭다 하겠다.

    꽃송이가 달릴 때는 키가 어른 손 한 뼘쯤 되고, 그때쯤 듬성듬성 나기 始作한 잎자루는 날씨가 따듯해지면서 마구 올라와 周邊 땅을 덮고 어른 무릎 높이까지도 자란다. 잎은 자루가 길고 그 끝에 큰 콩팥 模樣 잎이 달린다. 그 긴 잎자루가 바로 우리가 나물로 먹는 머윗代다. 濟州에서는 꼼치, 嶺南地方에서는 머구, 講院 一部 地方에선 머우라고도 한다. 사람과 親하게 지냈으니 이름이 다양한 것은 當然하다. 學名 ‘페타視테스 者포니쿠스(Petasites japonicus)’에서 俗名은 遮陽이 넓은 帽子를 뜻하는 希臘語 페타소스(petasos)에서 由來했다. 勿論 넓은 잎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머위를 利用하는 代表的인 方法은 食用이다. 잎자루는 삶아 물에 담근 後 아릿한 맛을 우려내고 껍질을 벗겨 양념을 해 먹는다. 잎은 우려서 나물, 볶음, 장아찌, 조림, 正果로 만들어 먹는다. 머위로 하는 料理는 無窮無盡하다. 꽃송이는 찹쌀가루를 묻혀 튀겨 먹기도 하고, 된醬에 박아뒀다가 먹기도 한다. 無機鹽類가 많아 봄에 먹으면 몸이 나른하고 늘어지는 것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알칼리성 食品인 데다 熱量이 없어 다이어트 飮食으로 제格이다. 머위에 곱게 간 들깨를 넣어 함께 끓이는 湯은 別味다. 車나 藥술을 담가도 좋은데 主로 꽃봉오리를 利用한다.



    韓方에선 ‘峯頭채(蜂斗菜)’라 한다. 해독약으로 主로 쓰는데, 목에 炎症이 생겼을 때 이 汁으로 양치질을 하기도 한다. 이것을 달인 물은 기침을 멎게 하거나 가래를 없애는 데 使用된다. 유럽에선 머위가 卓越한 抗癌治療劑 成分으로 關心을 모은다고 한다. 하나는 小小하지만 모여서 특별해지는 머위 꽃, ‘더불어 살라’는 새해 가르침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