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떤 意圖로 무엇을 찍을 것인가|주간동아

週刊東亞 601

..

어떤 意圖로 무엇을 찍을 것인가

專門家는 觀客 刺戟 特別한 短篇 捕捉 … 있는 그대로 모습 再現하는 것은 禁物

  • 이경률 寫眞批評家

    入力 2007-08-29 17:07: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어떤 의도로 무엇을 찍을 것인가

    <b>황규태, ‘블로우 業’ 中, 2000</b><br> 匿名의 아이들이지만 反駁할 수 없는 過去 事實의 出現으로 우리 모두 稀微한 追憶을 다시 經驗하게 한다.

    카메라는 더 以上 專門家들의 專有物이 아니다. 디지털카메라가 普遍化되면서 오랫동안 專門家들의 領域으로만 여겨지던 寫眞撮影 技術의 聖域이 事實上 무너졌기 때문이다. 이제는 아마추어도 記念寫眞을 남기기 위해서뿐 아니라, 自己成就와 創作을 위해 撮影을 한다. 이 亦是 아마추어와 專門家의 좁은 境界마저 무너졌다는 證據다.

    그래서 이제는 어떻게 찍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찍느냐가 重要하다. 槪念的으로 무엇을 再現하느냐의 問題이고, 撮影者가 어떤 意圖로 찍었는지 드러내는 것이 重要하다. 結局 우리는 寫眞을 통해 普遍的인 메시지보다 撮影者가 主觀的으로 體驗한 무엇을 드러냈는지에 關心을 갖게 됐다(이경률의 ‘現代寫眞 美學의 理解’ 參照).

    寫眞을 제대로 理解하려면 먼저 카메라는 對象을 그대로 複寫하는 것이 아니라 撮影者의 느낌을 그려내는 道具라는 點을 알아야 한다. 아날로그 方式이든, 디지털 方式이든 카메라로 눈앞의 對象을 視覺的으로 再現하는 行爲는 쉽다. 特定 對象을 直接 손으로 그리는 그림에 比較하면 훨씬 簡單하고 便利한 作業이다. 파인더나 液晶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確認하고 살며시 셔터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그래서인지 오늘날 寫眞은 가장 大衆的이고 親熟한 再現 媒體가 됐다.

    그러나 ‘찰칵’ 하고 찍는 行爲가 對象을 있는 그대로 옮겨낸다고 믿는 것은 우리가 흔히 하는 錯覺이다. 勿論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嚴密히 말해 카메라는 複寫機라기보다는 作動者가 具體的인 意圖를 갖고 特定 狀況에 對한 느낌을 드러내는 再現 道具다.

    遊戱的인 理由든, 深奧한 메시지를 傳達하기 위한 것이든 모든 寫眞撮影에는 撮影者의 感情이 실린다. 例를 들면 우리가 花壇에 핀 꽃을 찍을 때, 寫眞은 決코 對象의 單純한 複寫가 아닌 對象과의 어떤 關係로서 理解될 수 있다. 다시 말해 窮極的으로 꽃을 撮影하는 것은 길 가다 偶然히 發見한 꽃 形態를 複寫하는 것을 넘어 그 꽃에서 받았던 瞬間的인 느낌, 卽 ‘아름답다’는 感想을 再現하는 데 있다. 그래서 寫眞 이미지는 視覺的인 形態에 그치는 게 아니라 形而上學的인 느낌과 連結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寫眞의 結果物인 꽃 이미지는 撮影者의 主觀的 느낌(大部分 無意識的인 傾向이나 欲求)을 視覺的으로 드러낸 자국으로 理解할 수 있고, 그때 카메라는 그 느낌을 찍어내는 道具로 쓰인 것이다.



    이미지는 時刻 形態 뛰어넘는 形而上學的 느낌

    사람들은 흔히-그것이 그림이든 寫眞이든-모든 이미지는 메시지를 生産하고, 이렇게 生産된 메시지는 어떤 構造的인 틀에 依해 受信者에게 傳達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는 언제나 正答이 있는 問題처럼 이미지에 含蓄된 明確한 메시지를 찾으려고 한다.

    그러나 모든 이미지가 그에 對應하는 特定 메시지를 含蓄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어떤 이미지를 특정한 意味로 解釋하고 理解하는 것은 文化的으로 길들여졌기 때문이다. 例를 들면 많은 이들이 비둘기 寫眞을 보고 “비둘기는 平和”라고 말한다. 그러나 元來 비둘기는 비둘기 그 自體였을 뿐이고, 어떤 文化的인 進化를 거치면서 ‘平和’의 象徵이 된 것이다. 그래서 비둘기 寫眞은 ‘비둘기 이미지=平和’라는 圖式的 意味를 갖기 前, 그 밖에 다양한 意味로도 解釋된다. 哲學者 롤랑 바르트의 說明에 따르면 寫眞 이미지는 그 進化過程에서 意味를 附與받게 된 코드 메시지이자, 코드 메시지가 만들어지기 以前부터 存續한 脫(脫)코드 메시지를 同時에 가지고 있다.

    어떤 의도로 무엇을 찍을 것인가

    <b>임영균, ‘海南’, 1999</b> 夕陽을 背景으로 窓가에 놓인 茶盞은 單純한 茶盞이 아니라 應試者 各自의 經驗的인 狀況을 再構成하게 하는 刺戟-信號 구실을 한다.

    그래서 寫眞 이미지는 언제나 “저것의 意味는 무엇이다”식의 解釋學的인 觀點 或은 메시지를 生産하는 觀點으로만 읽히지 않는다. 예컨대 비둘기 寫眞을 보고 單番에 그 이미지의 象徵을 읽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어떤 不特定 狀況에서 이미지는 事實上 수수께끼처럼 느껴진다. 이때 寫眞을 올바로 理解하기 위해서는 ‘主體(sujet)-作動者(operator)’의 觀點에서 能動的으로 “저 狀況이 나오게 된 原因을 理解하는 것”李 重要하다.

    結局 마찬가지로 主體-作動者의 觀點에서 寫眞을 찍는 것은 그것이 무엇이든 특정한 意圖를 드러내는 行爲가 된다. 普通 撮影者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意圖를 갖고 撮影한다.

    먼저 單純히 視覺的인 情報를 담기 위해 撮影하는 境遇다. 畫家가 꽃을 精密描寫하기 위해 꽃 寫眞을 撮影했다면, 그때 寫眞은 精密描寫를 위한 補助 구실을 한다. 撮影者는 視覺的인 情報를 담기 위해 撮影에 臨한 것인데, 이렇게 生成된 꽃 이미지는 結局 그런 情報를 위한 道上(icon)-이未知(image)라고 할 수 있다. 이런 種類의 寫眞은 對象의 實證的 證據로서 흔히 商業廣告나 科學的 記錄을 남기는 데 活用된다.

    다음으로는 寫眞 이미지를 통해 어떤 普遍的 意味를 傳達하려는 境遇다. 예컨대 全國 美容大會를 알리는 포스터에 쓸 이미지를 얻기 위해 꽃을 撮影한다면, 그 撮影 目的은 꽃이 象徵하는 ‘아름다움’이라는 普遍的이고 文化的인 코드를 얻으려는 것이다. 撮影 結果로 얻게 된 꽃 이미지는 普遍的인 意味를 含蓄하는 象徵(symbol)-이未知(image)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앞서와 反對로 正常的인 코드나 常識으로 理解되지 않는, 수수께끼와 같은 寫眞 이미지가 있다. 이런 寫眞에서 이미지가 말하는 메시지는 論理的으로 說明될 수 없다. 그 때문에 여기서 寫眞은 感覺과 느낌으로만 捕捉된 것이다. 이런 寫眞 이미지는 指標(index)-이未知(image)라고 한다. 普遍的이기보다는 촬영자 自身도 잘 모르는 個人的인 느낌이나 心理的 傾向과 聯關돼 있다. 藝術로서 眞正한 撮影은 바로 여기에 있다.

    보여주는 寫眞보다 감추는 寫眞이 觀客에 어필

    어떤 의도로 무엇을 찍을 것인가

    <b>랠프 깁슨, ‘人판타’ 中, 1995</b> 비록 單純한 口頭지만 이 短篇은 象徵의 壁을 넘어 觀客 各自의 想像的 世界나 抑壓된 欲求를 刺戟하기에 充分하다(왼쪽).<br><b>랠프 깁슨, ‘人판타’ 中, 1995</b> 幾何學的인 模樣의 파라솔과 그 사이로 언뜻 보이는 建築物 彫刻은 應試者로 하여금 지난 여름 유럽旅行에서 생긴 일이나 强烈한 異國的 印象을 떠올리게 한다.

    普通 老鍊한 撮影者는 觀客 處地에서 觀客 個個人이 經驗한 記憶과 欲求를 스스로 再構成할 수 있게 이미지의 短篇을 捕捉한다. 달리 말해 좋은 寫眞은 一方的으로 觀客에게 메시지를 傳達하는 것이 아니라 觀客이 스스로 이미지에 들어오도록 하는 것이다. 捕捉된 이미지의 메시지가 분명할수록 凝視하는 이가 聯想할 수 있는 空間은 좁아지는 反面, 斷片的인 形態나 不確實한 陳述로 對象을 감출수록 應試者의 聯想 空間은 擴張된다. 卽 좋은 寫眞은 狀況을 具體的으로 說明하는 ‘보여주는’ 寫眞이 아니라, 不確實하지만 觀客에게 뭔가를 喚起하는 ‘감추는’ 寫眞이다.

    우리가 音樂을 들을 때 音律 自體보다는 거기서 發散되는 어떤 感性의 音色(自身이 過去에 經驗한 듯한)이 우리를 誘惑하듯, 어떤 이미지는 應試者로 하여금 過去 經驗한 引上-記憶을 떠오르게 한다. 이때 보인 이미지와 卽刻的으로 聯想된 印象의 關係는 根本的으로 主觀的이고 換喩的이다.

    우리가 詩를 읽을 때는 뉴스 記事를 읽을 때와 같은 方法으로 읽지 않는다. 市는 情報 傳達이 아니라 그것에서 惹起되는 어떤 換氣가 더 重要하기 때문이다. 詩人은 狀況에서 捕捉한 느낌을 傳達하기 위해 單純히 그 狀況을 陳述하지 않는다. 精製된 言語를 道具 삼아 再構成한다. 傳達을 目的으로 하는 報道寫眞을 除外하면 寫眞 亦是 마찬가지다. 結局 撮影技術이 아니라 무엇을 찍느냐가 問題다. 그리고 그 對象을 撮影할 때 決코 撮影者의 느낌을 排除할 수 없다. 그것을 드러내는 方式에 따라 結果는 달리 나온다. 例外없이, 좋은 寫眞은 觀客을 刺戟하는 特別한 短篇을 捕捉하는 것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