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뒷고기’, 닭발, 칼국수…庶民飮食 天國|週刊東亞

週刊東亞 1059

..

박정배의 food in the city

‘뒷고기’, 닭발, 칼국수…庶民飮食 天國

慶南 金海의 飮食文化

  • 푸드칼럼니스트 whitesudal@naver.com

    入力 2016-10-14 17:21:36

  • 글字크기 설정 닫기
    金海國際空港이 자리한 慶南 김해시는 慶南과 釜山圈으로 向하는 하늘 길의 關門이다. 周邊에 昌原, 釜山 같은 大都市가 있어 相對的으로 덜 알려졌지만, 人口도 50萬 名이 넘고 옛 駕洛國의 中心地였던 곳이라 그만큼 오랜 歷史를 품고 있다. ?

    金海에는 全國的으로 알려진 몇 가지 飮食이 있다. 代表的인 飮食이 一名 ‘뒷고기’다. 뒷고기는 뒤로 빼돌린 고기란 뜻으로, 1980年代 屠畜場에서 일하는 技術者들이 돼지를 손질한 後 남은 자투리 고기를 밖으로 가지고 나와 선술집이나 布帳馬車에 팔면서 생긴 飮食文化로 알려졌다. 90年代부터 屠畜場 管理가 嚴格해지면서 자투리 고기의 搬出이 不可能해지자 食堂들은 競賣 없이 購買가 可能한 돼지머리를 뒷고기 材料로 使用하게 된다. 只今의 뒷고기는 돼지 볼살, 혀, 뒷덜미살에 三겹살이나 목살을 섞어 만든다. ?

    金海에는 ‘三逸뒷고기’라는 이름의 食堂이 殿下路와 장유동(繁華1로) 두 곳에 있다. 그中 장유동 ‘三逸뒷고기’의 室內는 素朴하다 못해 허름하다. 그런데 뒷고기 價格이 놀랍다. 140g 基準으로 4000원. 三겹살 200g에 2萬 원씩 하는 서울의 有名 고깃집을 생각하면 “와” 하고 歎聲이 나올 만큼 低廉하다. 돼지고기 마니아 사이에서도 人氣가 많은 이 집의 돼지 뒷덜미살은 告訴하면서도 감칠맛이 强하다. 돼지 혀는 쫀득하고 볼살은 졸깃하다. 후추와 소금으로 간한 뒷고기살은 부드럽고 맛있다. 고기 狀態가 무척 좋다. 단맛과 감칠맛이 서로를 補完하면서 맛의 相乘效果를 이끈다. 돈 걱정 없이 飮食을 맛볼 수 있는, 요즘 보기 드문 맛집이다.

    金海 흥동에 있었다는 元祖집은 이미 사라졌지만 뒷고기 文化는 1980年代 全盛期를 지나 90年代 民願으로 沈滯期를 거쳐 장유동 같은 金海 新都市가 本格的으로 들어선 2000年代 初盤부터 다시 復活하고 있다. 장유동 ‘三逸뒷고기’에서는 돼지갈비도 판다. 低廉하고 質이 좋기로는 뒷고기와 마찬가지다.

    뒷고기 집들과 더불어 金海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맛집으로 ‘部員닭발’도 있다. 飮食을 注文하면 양념한 닭발을 한 番 익힌 後 靑陽고추와 洋파를 넣어 다시 끓여 내놓는다. 매운맛이 올라오지만 過하지 않다. 매콤하고 달콤한 맛에 자꾸만 손이 간다.





    金海에는 庶民的인 먹을거리가 많다. 金海 凍傷市場에는 칼국수 골목이 形成돼 있다. 칼국숫집들은 番號를 달고 營業한다.
    9號店까지 있는데, 元祖格인 할머니는 돌아가셨고 5號店 할머니가 이곳에서 가장 오랫동안 장사를 했다. 맨 마지막 9號店 할머니도 20年 以上 칼국수를 팔아왔다. 집집마다 칼국수 맛이 비슷하니 選好하는 집으로 들어가면 된다. 칼국수 한 그릇 價格은 4000원. 注文하면 미리 해놓은 面 반죽을 칼로 썰어 삶는다.

    칼국수는 素朴하고 푸짐하다. 멸치와 간醬을 基本으로 한 국물香이 칼국수 위에 뿌린 김을 타고 慇懃하게 올라온다. 고춧가루를 풀기 前 국물을 한 숟가락 먹어보면 맛과 香에서 子息을 생각하는 어머니의 精誠을 느낄 수 있다. 칼로 썬 麵발은 不規則하지만 꼬들꼬들하다. 金海 칼국수는 밀가루에 看守나 소다를 섞지 않아 今方 풀어지기 때문에 빨리 먹어야 맛있다. 국수 質이나 국물 狀態가 고르고 좋다. 金海는 釜山 文化圈답게 돼지국밥 文化 또한 넓게 퍼져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