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類 最初 酒母, 5000年 前 수메르에 있었다|주간동아

週刊東亞 1433

..

人類 最初 酒母, 5000年 前 수메르에 있었다

[명욱의 술氣로운 世界史] 길가메시 敍事詩에 登場한 ‘시두리’가 記錄에 나타난 첫 酒母

  • 명욱 主流文化 칼럼니스트

    入力 2024-04-04 09: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史劇에 登場하는 職業 가운데 가장 친숙한 職業을 뽑으라면 酒母를 選擇할 사람이 적잖을 것이다. ‘술의 어머니’라는 이름에 걸맞게 酒母는 訪問客에게 넉넉한 量의 국밥과 막걸리를 건네면서 登場한다. 하지만 酒母가 일하는 場所인 酒幕을 單純히 하룻밤 묵으며 먹고 마시는 場所로만 봐서는 안 된다. 過去 酒幕은 物件을 맡아주거나 金屬 貨幣를 紙幣로 바꿔주는 等 다양한 일을 處理했고, 國境 近處에 位置할 境遇 換錢所 役割도 遂行했다. 高級 酒幕은 一般人과 高位 管理 等이 머물며 다양한 情報를 나누는 諜報 空間이기도 했다.

    最初 酒母와 酒幕은 언제 登場했을까. 여러 硏究에 따르면 첫 酒幕은 人類 最初 文明으로 불리는 메소포타미아 수메르 文明에서 登場한 것으로 보인다. 수메르學 碩學 새뮤얼 노아 크레이머는 著書 ‘歷史는 수메르에서 始作되었다’에서 機關이나 風習 等 39個가 수메르 文明에서 最初로 登場했다고 主張했다. 學校부터 醫學, 法學, 農業, 判例, 사랑 노래까지 多樣한데, 最初 敍事詩로 알려진 ‘길가메시 敍事詩’도 여기에 包含된다. 이 敍事詩에는 最初 酒母와 그가 居住했던 酒幕에 對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길가메시를 만난 수메르 酒母

    최초 서사시로 알려진 ‘길가메시 서사시’에는 인류 첫 주모인 ‘시두리’에 대한 얘기가 담겨 있다. [GETTYIMAGES]

    最初 敍事詩로 알려진 ‘길가메시 敍事詩’에는 人類 첫 酒母인 ‘시두리’에 對한 얘기가 담겨 있다. [GETTYIMAGES]

    敍事詩란 英雄 一代記를 담은 文學作品을 가리킨다. 마블 映畫 ‘이터널스’에서 俳優 마동석이 延期해 親熟한 길가메시는 本來 수메르의 代表 都市國家였던 우르크의 王이었다. 그는 3分의 1은 人間이고, 나머지 3分의 2는 神이었다고 한다. 길가메시는 우르크를 126年間 다스렸는데, 自身의 힘을 믿고 百姓을 많이 괴롭혔다. 剛해 보이는 男子들에게 暴力을 휘두른 것은 勿論, 新郞보다 먼저 新婦와 첫날밤을 보내는 初夜權을 行使하는 等 여러 蠻行을 저질렀다.

    보다 못한 創造의 女神 닌후르社그는 흙으로 길가메시에 對抗할 存在를 만들었다. 그가 바로 後날 길가메시의 둘도 없는 親舊가 된 엔키두다. 問題는 엔키두가 半은 사람이고 半은 動物인 ‘반인반수’인 탓에 사람의 말을 알아듣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에 戰爭의 女神 이난나를 섬기는 女司祭 샴하트가 엔키두를 人間으로 만들었다. 엔키두는 술과 빵을 먹으며 샴하트와 6泊 7日을 보냈고 이 過程에서 野獸性이 사라졌다고 한다. 사람으로 거듭난 엔키두는 길가메시와 勝負를 벌였고, 그를 懺悔시킨다. 以後 親舊가 된 두 사람이 神들에게 挑戰하는 旅程을 떠나는 것이 길가메시 敍事詩의 大略的인 줄거리다.

    이 旅程에서 엔키두는 죽음을 맞는다. 親舊를 잃은 가슴 아픈 經驗을 한 길가메시는 永生을 찾아 떠나는데 이때 시두리를 만난다. 시두리는 記錄으로 傳해지는 最初 酒母라고 볼 수 있다. 와인·麥酒 釀造의 女神이자 智慧의 女神이기도 한 그는 酒幕과 恰似한 空間을 運營했기 때문이다.



    시두리는 우연찮게 永生을 찾아 彷徨하는 길가메시의 넋두리를 듣는다. 길가메시는 自身이 永生을 찾아 彷徨하다가 죽음을 避하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憂慮하고 있었다. 시두리는 길가메시에게 永生을 찾지 못할 것이라고 忠告한다. 神들이 人間에게 죽음을 붙여줬고, 그것이 人間의 運命이라는 理由에서다. 시두리가 智慧의 女神으로 불리는 理由다.

    聖經과 닮은꼴 여럿

    길가메시 서사시가 적힌 점토판. [위키피디아]

    길가메시 敍事詩가 적힌 粘土板. [위키피디아]

    길가메시는 抛棄하지 않는다. 그는 人間 가운데 唯一하게 永生을 얻은 우트나피쉬팀을 찾아간다. 길가메시 敍事詩에는 聖經 創世記와 類似한 內容이 많이 나온다. 洪水를 避하고자 方舟에 動物들을 한 雙씩 태운다든지, 땅을 發見했을 때 새를 보낸다든지 等 비슷한 內容이 많다. 우트나피쉬팀은 聖經 속 노아처럼 洪水를 避하려고 方舟를 만든 人物이다. 그는 方舟를 만들 때 勞動者들에게 삯으로 麥酒와 와인을 줬다고 한다. 聖經에는 노아가 와인을 마시고 取하는 內容이 나오는데, 길가메시 敍事詩에도 類似하게 와인이 登場하는 셈이다.

    길가메시는 우트나피쉬팀에게 永生의 祕法을 알려달라고 哀願하고, 結局 不老草가 있는 곳을 알아낸다. 길가메시는 끝내 不老草를 求하지만 放心한 사이 뱀이 不老草를 먹어버리고 만다. 結局 길가메시는 꿈에서 神들로부터 죽음을 받아들이라는 말을 들은 後 自身의 行跡을 돌에 새기고 百姓들 앞에서 毅然하게 죽는다. 이와 別個로 뱀이 허물을 벗는 것에 對한 獨特한 解釋이 여기서 나온다. 不老草를 먹었기에 허물을 벗으며 繼續 새살을 내민다는 것이다.

    紀元前 2750年 무렵 수메르 文明을 背景으로 한 길가메시 敍事詩는 紀元前 2000年쯤 쓰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敍事詩는 粘土板에 記錄된 德分에 오늘날까지 傳해질 수 있었는데, 粘土板의 英文名은 우리에게 친숙한 태블릿(tablet)이다. 4000~5000年 前 이야기지만 人間의 喜怒哀樂과 欲望, 그리고 最初 酒母와 와인, 麥酒 等에 關한 內容은 勿論, 태블릿_ 語源까지 알 수 있다는 點이 길가메시 敍事詩가 재미있는 理由다. 수메르 文明이 오늘날에도 살아 있는 셈이다.

    명욱 칼럼니스트는…
    主流 人文學 및 트렌드 硏究가. 淑明女大 美食文化 最高位過程 主任敎授를 거쳐 世宗사이버大 바리스타&소믈리에學科 兼任敎授로 在職 中이다. 著書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술品’과 ‘말술男女’가 있다. 最近 술을 통해 歷史와 트렌드를 바라보는 ‘술氣로운 世界史’를 出刊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