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주간동아

週刊東亞 947

..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윤종빈 監督의 ‘軍도 : 民亂의 時代’

  • 강유정 映畫評論家·강남대 敎授 noxkang@daum.net

    入力 2014-07-21 10:30: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軍도 : 民亂의 時代’(軍도)는 입所聞이 藉藉했다. 괜찮은 映畫, 볼만한 作品이 나왔다는 所聞 말이다. 하지만 때로 所聞과 기대는 毒이 되기도 한다. 映畫 ‘軍도’에 對한 첫 番째 引上은 바로 ‘期待가 너무 컸나’라는 疑問이었다.

    期待의 根據는 1970~80年代 高度成長期를 되짚어본 ‘犯罪와의 戰爭 : 나쁜놈들 全盛時代’였다. 이 作品을 演出한 윤종빈 監督의 다음 映畫가 朝鮮 時代 액션 活劇이라는 것만으로도 關心을 끌었다. 모두가 歷史 속 實存人物과 實錄 中心의 宮中 飛火에 매달릴 즈음, 宮에서 벗어나 民草의 삶을 다룬 것부터가 이채로우니 말이다.

    俳優 河正宇의 合流는 起爆劑 구실을 했다. 河正宇를 韓國 映畫界에 登場하게 한 것이 윤종빈이고 河正宇와 特有의 化學反應을 일으키는 사람도 바로 윤종빈이기 때문이다. 惡役 姜東遠에 對한 好奇心도 한몫했다. 강동원의 華麗하고 아름다운 劍舞는 映畫 ‘刑事’에서 確認했던 바였고, 河正宇와 그가 일으킬 摩擦音도 期待됐다.

    結論부터 말하자면 ‘軍도’에 河正宇와 姜東遠은 있지만 윤종빈은 없다. 映畫的 長點도 바로 이 俳優들과 聯關된다. 河正宇는 純眞한 白丁이 濃度 짙은 復讐心을 갖는 캐릭터로 變貌하는 過程을 보여준다. 때로는 웃기고, 때로는 슬프게 하며, 憤怒와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캐릭터인 白丁 도치는 河正宇를 통해 個性的인 存在로 거듭난다. 能力과 外貌, 財産마저 타고났지만 庶子라는 運命 때문에 늘 差別받아야 했던 祚胤의 트라우마 亦是 姜東遠을 통해 魅力的으로 필터링됐다. 아름다움과 惡의 二律背反的 組合은 俳優 강동원의 눈빛과 肉體에서 잘 빚어낸 그릇처럼 完成됐다.

    問題는 ‘軍도’에 尹 監督만의 色깔이 없다는 點이다. 各 俳優가 自己 個性을 캐릭터에 녹여낸 데 비해, 作品은 韓國 映畫 名場面을 콜라주韓 느낌에서 自由롭지 못하다. 박찬욱, 김지운, 류승완의 指紋이 映畫 프린트 곳곳에 묻어 있는 形局이다. 映畫의 첫 場面, 當代를 說明하는 내레이터의 解說도 그렇다. 이 목소리는 解說뿐 아니라 心理 描寫, 甚至於 考證까지 맡고 있어 그 役割이 曖昧하다.



    場으로 區分된 形式도 그렇다. 各 腸이 副題를 달고 나뉘어 있지만, 事實 그 章의 內容이 모두 部制와 符合하지는 않는다. 假令 ‘新世界’라는 章에서 白丁은 群島에 들어간다. 하지만 그가 倒置로 거듭나는 2年을 아우르기에 이 副題는 버거워 보인다.

    웨스턴 장르를 패러디한 音樂이나 콘트라스트를 强調한 人物 配置 等 ‘軍도’는 意圖的으로 클래식한 映畫的 呼吸을 維持하고 있다. 하지만 이 正統性이 果然 觀客의 共感帶를 건드릴 수 있을지는 確言하기 어렵다. ‘民亂의 時代’라는 副題를 붙였지만, 民草의 抗拒라기보다 도치라는 人物의 私的 復讐담에 더 기울어진 것도 欠이다.

    尹 監督은 觀客의 머리보다 心臟이 먼저 뛰는 映畫를 만들고 싶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間或 觀客을 웃기기 前 개그맨이 먼저 웃는 失手를 犯하듯, 어쩌면 ‘軍도’에서는 監督의 심박수가 먼저 빨라진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너무 많은 開城은 無個性과 크게 다르지 않으니 말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