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만 채운다고? 우린 스토리를 吟味하며 먹는다|주간동아

週刊東亞 941

..

배만 채운다고? 우린 스토리를 吟味하며 먹는다

龍山區 장진우 골목과 食客村

  • 박정배 푸드 칼럼니스트 whitesudal@naver.com

    入力 2014-06-09 15:2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都市의 外食 트렌드가 急變하고 있다. 賃貸料가 엄청나게 오른 旣存 中心地 代身, 外郭 地域이 떠오르고 있다. 美國 슬럼街였던 트로피카가 뉴욕과 世界의 美食 中心地가 된 것과 비슷하다. 몇 年 前부터 서울 이태원 經理團길이 떠오르면서 賃貸料가 急騰하고 사람이 몰려들자 그 周邊 地域도 덩달아 人氣를 얻고 있다. 個別 食堂의 次元을 넘어 獨特한 콘셉트를 내세운 食堂이 모여 하나의 文化를 만들고 있다.

    經理團길에서 언덕을 조금 오르면 派出所가 나온다. 그곳에서 오른쪽으로 이어진 ‘서울 龍山區 회나무로 13가길’은 ‘장진우 골목’으로 널리 알려졌다. 30世도 안 된 靑年의 이름이 穩全히 골목 하나를 차지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2011年 테이블 하나로 ‘장진우 食堂’을 始作한 뒤 最近 門을 연 ‘京城스테이크’까지, 그가 運營하는 食堂은 8個에 이른다.

    장진우 師團의 成功으로 사람이 몰려들자 周邊에 가게가 잇달아 들어서면서 골목은 瞬息間에 飮食과 패션이 共存하는 空間으로 바뀌었다. ‘장진우 食堂’과 ‘장진우 다방’을 除外한 食堂들은 장진우 食堂의 단골들과 同業하는 構造다.

    사람이 가장 많이 들락거리는 곳은 濟州道式으로 文魚와 오리를 섞은 전골料理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門오리’다. 刑務所 콘셉트로 만든 ‘防犯布車’는 술꾼이 많이 찾는다. 單純히 무엇을 먹는 行爲에서 하나의 스토리로 飮食 文化를 理解하는 方式은 日本 會員制 高級食堂에서 많이 使用하는 方式이다.

    무지개롤빵과 麥酒로 有名한 ‘프랭크’도 人氣가 많다. 經理團길에서 始作한, 香이 剛한 手製 에일 麥酒의 烈風을 吸收한 結果다. 이탈리아 料理를 파는 ‘그랑블루’와 簡單하게 스시를 먹을 수 있는 ‘장스視’ 等 장진우 師團의 進擊은 거침없다. 장진우 골목 끝에 있는 ‘카롱카롱’은 장진우 社長의 단골집이다. 요즘 젊은이 사이에서 暴發的인 人氣를 얻고 있는 프랑스式 高級菓子人 마카롱 專門店이다.



    장진우 골목이 자연스럽게 形成된 飮食 距離라면, 서울 鍾路2街에 最近 造成된 食客村은 콘텐츠와 事業이 結合한 모델이다. 韓國 大衆飮食社에 한 劃을 그은 漫畫 ‘食客’에 登場하는 食堂 10곳을 選別한 後 리츠(REITs·不動産投資信託) 方式으로 食堂街를 造成했다. 食客村은 피맛골의 再臨이다. 朝鮮時代부터 庶民의 뒷골목이던 피맛골이 없어진 자리에 21世紀 피맛골 食客村이 자리한 것이다.

    이제 걸음마를 始作했지만 八道 有名 食堂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는 長點이 있다. 막국수로 京畿 坡州 一帶를 平定했던 ‘오두산 메밀가’와 現存 大韓民國 最高(最古)의 魚묵工場人 三振魚묵에서 運營하는 ‘釜山浦魚묵’도 반갑다. 곰湯으로 有名한 ‘수하동’과 韓牛로 有名한 ‘참누렁소’, 部隊찌개 元祖집人 議政府 ‘오뎅食堂’이나 家庭式 白飯으로 有名한 ‘無名食堂’ 같은 곳이 장사를 始作했거나 準備 中이다.

    外食 大國 日本에는 唯獨 飮食거리가 많다. 韓國과 다른 點은 日本의 飮食거리는 같은 飮食으로 有名한 全國 맛집을 모은다는 것이다. 라멘博物館이나 餃子博物館, 스위츠 포레스트 같은 飮食村이 代表的이다. 같은 企劃으로 다양한 飮食을 선보이는 韓國 方式이 成功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새 패러다임이 始作된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배만 채운다고? 우린 스토리를 음미하며 먹는다

    서울 鍾路2街 食客村에 들어선 ‘오두산메밀가’(왼쪽)와 ‘釜山浦魚묵’.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