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샛노란 꽃송이 소리 높여 希望 合唱|週刊東亞

週刊東亞 885

..

샛노란 꽃송이 소리 높여 希望 合唱

동의나물

  • 이유미 國立樹木園 山林生物調査課長 ymlee99@forest.go.kr

    入力 2013-04-29 10:1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샛노란 꽃송이 소리 높여 희망 합창
    봄이 가득합니다. 都心에는 눈부셨던 白木蓮이 벌써 지고 개나리, 진달래가 흐드러집니다. 이 아름다운 봄이 너무 성큼성큼 지나는 듯싶어 마음이 조마조마했는데, 그래도 숲에서는 봄이 찾아드는 速度가 차분해 每日每日 광릉 숲을 거닐며 幸福한 時間을 보냅니다.

    봄 숲에선 물소리가 더욱 특별하게 느껴집니다. 얼었던 땅이 녹아 어디선가 졸졸졸 흐르는 물소리가 봄이 오는 速度에 맞춰 들려옵니다. 숲의 나무들에게 이 물소리는 生命의 소리일 듯싶습니다. 生命을 담아 나뭇가지에 올라서 새싹을 틔우고, 여린 봄꽃을 피워내는 소리니까요.

    봄에 동의나물을 만나면 마음이 더욱 밝아집니다. 봄이 흐르고 生命이 흐르는 그 물가에서 작게 무리 지어 피어 있으니 말입니다. 한 詩人은 동의나물을 두고, 방긋방긋 눈웃음 지으며 가득한 햇살을 머금은 듯 幸福한 表情으로 우리 앞에 나타난다고 表現하더군요. 正말 동글동글, 反質한 귀여운 잎사귀, 샛노랗고 오목하며 예쁜 꽃송이는 수줍은 山골 少女처럼 밝고 곱답니다.

    동의나물은 미나리아재빗科에 屬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全國의 山, 그곳에서도 濕한 곳, 개울 옆 等에서 자라지요. 속이 빈 줄기가 비스듬히 자라다 뿌리를 내리면 그곳에서 다시 곧은 줄기가 나오고 때론 가지를 만들어 全體的으로 한아름 되는 포기를 이룹니다. 키도 많이 자라야 어른 무릎 높이를 넘지 않아서 全體的인 模樣이 참 좋답니다.

    뿌리 周邊에서 모여 나는 둥근 콩팥 模樣의 잎, 그 위로 올라온 꽃자루에 달리는 노란色 꽃송이들을 들여다보면 5~6張의 꽃받침잎(꽃잎이라고 생각하기 쉽지요) 안쪽으로 亦是 노란色의 많은 手術을 보기 좋게 받쳐주어 아름답지요.



    왜 동의나물이라고 부를까요? 地方에 따라선 동이나물이라고도 하는데, 언제나 맑은 냇가에 발을 담그고 자라며 둥근 잎사귀를 깔때기처럼 접으면 마른 입술을 축이는 물 한 모금 담을 수 있는 작은 동이가 될 듯하기 때문은 아닐까 합니다만, 確認된 것은 아닙니다. 江原道 一部 地域에선 얼개地 또는 얼갱이라고도 하지요. 英語 이름은 멤브라나세오스 마시 마리골드(Membranaceous marsh marigold)입니다.

    동의나물은 物價에서만 사는데, 그런 特性을 利用해 요즘엔 우리 꽃 庭園의 蓮못 周邊에 심어 키우기도 합니다. 韓方에선 老除草, 守護려라는 生藥名으로 뿌리를 包含한 모든 部分을 藥材로 씁니다. 陣痛, 催吐, 거풍(去風) 같은 效果가 있고 가래가 많이 생기거나 몸살 기운이 있을 때, 머리가 어지럽거나 傷한 飮食을 먹었을 때도 治療劑로 쓴다고 합니다. 이름 뒤에 나물이라는 글字가 붙은 植物이 그러하듯 먹을 수는 있지만 多少 毒性이 있습니다. 꼭 어린잎을 삶아서 잘 우려낸 뒤 먹어야 합니다. 事實 먹어버리기엔 참 고운 꽃을 피우는 植物이지요.

    환히 핀 동의나물 무리를 보니 分明 健康하고 밝은 希望과 기쁨을 이야기하고 있네요. 여린 꽃들도 그러한데, 우리도 비록 힘겹지만 그래도 家族에게 或은 職場에서나 世上에서 그런 存在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해봅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