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운 북돋우기 이만한 茶는 없다|주간동아

週刊東亞 874

..

기운 북돋우기 이만한 茶는 없다

紅蔘가루茶

  • 김대성 韓國差人聯合會 顧問·茶 칼럼니스트

    入力 2013-02-04 09:3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설날 父母나 親知에게 드릴 膳物 가운데 으뜸은 紅蔘이다. 山蔘, 數三, 尾蔘度 있지만 高價인 山蔘은 庶民에게 그림의 떡이라 그다음으로 效能 높은 紅蔘을 選擇하는 것이다.

    紅蔘을 利用해 만든 紅蔘 엑기스, 紅蔘 젤리, 紅蔘茶 等 完製品도 있지만 紅蔘가루는 食材料로도 다양하게 使用할 수 있어 名節날 膳物하기에 그만이다. 불고기, 갈비, 스테이크 양념에 紅蔘가루를 넣으면 肉質이 부드러워지고 고기 냄새가 줄어든다. 인절미에 콩고물 代身 紅蔘가루를 묻히면 떡의 달달한 맛에 紅蔘 特有의 쌉쌀한 맛이 어우러져 別味가 된다.

    밥을 지을 때 紅蔘가루를 넣으면 紅蔘 香氣가 입맛을 돋운다. 煎을 지질 때 밀가루 반죽에 紅蔘가루를 섞으면 비린내가 없어지고, 牛乳를 싫어하는 어르신을 위해 牛乳에 紅蔘가루를 타면 한결 마시기 便해진다. 아이스크림에도 紅蔘가루를 넣으면 산뜻한 맛이 난다. 炭酸水에 紅蔘가루를 타면 맛이 한層 업그레이드된다. 이렇게 다양하게 使用되다 보니 우리나라 사람이 愛用하는 健康機能食品 賣出額의 約 36%를 紅蔘이 차지한다고 한다.

    外國人은 韓國 特産物이라 하면 高麗人蔘을 떠올린다. 우리나라 土産品의 代名詞가 된 人蔘을 世界 사람이 앞다퉈 찾는 理由는 東西洋은 勿論, 男女를 가리지 않고 虛한 몸을 補하는 效能을 지니기 때문이다. ‘本草綱目’에도 人蔘이 몸에 기운을 북돋아주고 頭痛, 泄瀉, 中風, 吐血, 下熱, 産前 및 産後 病을 다스리는 效能을 지닌다고 記錄돼 있다.

    特히 우리나라 山蔘은 죽은 사람도 살린다는 신령스러운 藥草로, 이웃 나라에까지 所聞이 퍼졌다. 이에 中國人들이 우리나라에 몰래 들어와 깊은 山까지 뒤져 山蔘을 캐가는 바람에 朝鮮 肅宗 때부터 本格的으로 人蔘 栽培에 들어갔다. 人蔘과 山蔘은 種子(種子)가 같지만 山에서 자라는 삼은 몇百 年도 살 수 있는데 反해, 밭에서 栽培하는 人蔘은 6年 以上이 되면 썩는다. 그래서 山蔘은 나이로, 人蔘은 무게로 값을 매긴다. 栽培삼의 境遇 3年 以上이면 藥性이 높다. 人蔘 栽培가 가장 잘된 地域을 時代別로 나눠 보면 高麗는 開城, 百濟는 錦山, 新羅는 風紀를 꼽을 수 있다. 近來에는 金浦나 江華 等地에서도 많이 栽培한다.



    기운 북돋우기 이만한 茶는 없다
    人蔘은 製造方法에 따라 말리지 않은 水蔘, 말린 白蔘, 熱處理를 해 건조시킨 紅蔘으로 區分 짓는다. 紅蔘가루茶는 주머니 事情 탓에 補藥을 特別히 챙겨먹지 못하는 사람이 몸을 補하려고 마신다. 特히 狹心症이나 心筋梗塞에 좋다. 人蔘 成分에는 强心作用을 하는 特殊 物質이 들어 있는데, 그것이 心筋 收縮 作用을 높이고 冠狀動脈 運動量을 增大시켜 酸素 消耗量을 줄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서 예부터 心臟疾患 治療에 널리 쓰였다. 人蔘은 다른 生藥과 달리 長服해도 毒性이 없다지만, 高血壓이나 몸에 熱이 많은 사람은 삼가는 것이 좋다고 한다.

    紅蔘 만들기

    밭에서 收穫한 水蔘을 깨끗이 씻은 後 찜통에 넣어 慇懃한 불에서 5時間 程度 찐다. 그다음 햇살이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바짝 말린다. 이렇게 찌고 말리는 過程을 9番 거치면 黃褐色이 된다. 이를 흔히 九蒸九曝(九蒸九曝)라 하는데, 이 過程에서 사포닌이 60% 增加한다. 마른 紅蔘은 서울 경동市場 製粉所에서 갈아온다.

    紅蔘가루茶 맛있게 準備하기

    紅蔘가루를 뜨거운 물에 그냥 타 마시면 거품이 생기지 않아 맛이 떨어진다. 市中에서 沙鉢같이 생긴 다완(茶碗)을 準備해 紅蔘가루 세 티스푼을 넣고 뜨거운 물 100cc를 부어 車線으로 휘저으면 하얀 거품이 그릇 가득 피어난다. 이렇게 마시면 視覺的으로 좋을 뿐 아니라 감칠맛도 있다. 이番 설날 손님 接待用으로 내놓기에 딱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