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山나물의 帝王 노란 꽃도 恍惚|週刊東亞

週刊東亞 852

..

山나물의 帝王 노란 꽃도 恍惚

곰취

  • 이유미 國立樹木園 山林生物調査課長 ymlee99@forest.go.kr

    入力 2012-08-27 10:0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산나물의 제왕 노란 꽃도 황홀
    “봄도 아닌데 웬 곰취!”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곰취 하면 아이 손바닥막한 잎이 떠오릅니다. 곰취는 主로 봄에 난 싱싱한 새 잎을 쌈으로 먹는 代表的인 山나물입니다. 쌉쌀하면서도 오래도록 입안에 남는 香氣가 一品이죠. 그래서 사람들은 ‘山나물의 帝王’이라는 巨創한 別名도 붙여놓았답니다. 잎이 조금 억세지기 始作하면 호박잎처럼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쌈을 싸먹거나 醋고추醬을 찍어먹기도 합니다. 예전 智異山 山골마을에서 억세진 곰취 잎으로 간醬·된醬 장아찌를 담근 것을 먹은 적이 있는데 입안에 맴도는 香氣며 그 맛이 얼마나 一品이던지, 只今도 記憶에 남습니다.

    워낙 人氣 있는 山나물이다보니 요즘은 栽培도 하는데, 山地마다 조금씩 맛과 香이 달라 서로 제 고장 이름을 붙여 부르곤 합니다.

    이렇게 누구나 알아보는 곰취 잎. 하지만 정작 곰취 꽃을 알아보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누가 뭐래도 植物이 가장 注目받는 重要한 機關은 바로 꽃인데도 우리는 그동안 먹는 데만 눈이 어두워 眞짜 곰취 모습을 알아보지 못한 것입니다.

    곰취에게도 꽃이 있느냐고 묻고 싶다면 正말 植物에게 未安해해야 합니다. 自然에서 자라는 모든 高等植物은 當然히 꽃이 핍니다. 곰취 꽃은 여름이 徐徐히 물러나고 저만치 가을 기운이 조금씩 느껴지기 始作하는 바로 이즈음 하나둘 피기 始作해 初가을까지 만나볼 수 있는데, 正말 놀랍도록 곱게 핍니다. 꽃을 보려고 곰취를 키워도 全혀 語塞하지 않을 만큼 말이죠.

    곰취는 菊花科에 屬하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자라는 곳도 그 範圍가 매우 넓어 그야말로 한라에서 白頭까지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자랍니다. 흥미롭게도 濟州 漢拏山에도 곰취가 많은 便인데 그곳 분들은 곰취를 잘 먹지 않는답니다. 아마도 山에 기대어 살기보다 바다에 依支해 살아온 까닭에 海産物 쪽 먹을거리가 더 發達했기 때문인 듯합니다.



    곰취는 다 자라면 1m가 넘는 境遇도 있지만 大部分 어른 허벅지 높이 程度까지 자랍니다. 心臟과 腎臟의 中間쯤 되는 模樣을 가진 잎이 뿌리 周邊에 크게 여러 張 달리고 줄기를 따라 작은 잎이 달리죠. 꽃은 노랗게 핍니다. 菊花科 植物이어서 우리가 꽃잎이라고 생각하는 그 하나하나가 사실 各各의 꽃 한 송이로, 이러한 꽃이 모여 작은 꽃次例를 만들고 다시 圓錐形 꽃次例를 이룹니다.

    或 집에 마당이 있다면 落葉 지는 나무 사이 햇살 드는 곳에 곰취를 심어보세요. 봄에는 잎을 따서 즐기고 늦여름부터는 꽃을 즐길 수 있어 그야말로 一擧兩得입니다.

    산나물의 제왕 노란 꽃도 황홀
    그렇다면 왜 ‘곰취’라는 이름이 붙었을까요? 곰이 나타나는 깊은 山에서 자라기 때문일까요? 漢字로는 熊蔬(熊蘇)라고 하는데, 어느 이름이 먼저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 밖에 잎 模樣이 말발굽과 비슷하다 해서 禡祭葉(馬蹄葉)이라고도 합니다. 곰취 뿌리는 胡虜漆(胡蘆七)이라고 부르며 藥으로 쓰기도 하죠. 韓方에서는 肺를 튼튼히 하고 가래를 삭이는 效能이 있어 기침, 喘息, 感氣 治療劑로 使用합니다.

    비가 그친 뒤, 하루하루 漸漸 더 맑고 높아지는 하늘을 背景으로 곰취 꽃이 노랗게 피기 始作하면 가을이 멀지 않았다는 뜻이랍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