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國 키슬러 빈야드|週刊東亞

週刊東亞 1087

..

와인 for you

美國 키슬러 빈야드

두 靑年의 40年 執念이 만든 名作

  • 김상미 와인칼럼니스트 sangmi1013@gmail.com

    入力 2017-05-08 11:25:57

  • 글字크기 설정 닫기
    美國 캘리포니아 州 小노마 카운티(Sonoma County)에는 名門大 出身 두 男子가 設立한 와이너리 키슬러 빈야드(Kistler Vineyards)가 있다. 스티브 키슬러(Steve Kistler)는 스탠퍼드대에서 文學을 專攻했고, 마크 빅瑟러(Mark Bixler)는 MIT와 버클리대 出身의 化學 博士다. 1970年代 中盤 20代 初盤이던 스티브는 偶然히 오래된 葡萄밭을 訪問했다. 늙은 葡萄나무의 신비로운 모습에 반한 그는 親舊인 마크에게 와인을 만들자고 提案했다. 둘은 意氣投合해 葡萄밭을 일구기 始作했다.

    “蹴球를 즐기던 스티브가 그때 何必 무릎을 다쳤어요. 그래서 스티브는 삽으로 땅만 팠죠. 무릎 꿇고 葡萄나무를 심는 건 제가 다했어요.” 얼마 前 키슬러 빈야드를 訪問했을 때 마크가 들려준 이야기다. “두 男子가 無謀한 일을 벌이자 스티브의 아내는 大學에 다시 들어가 醫學 工夫를 했습니다. 와인으로는 먹고살기 힘들지 모르니 病院을 차려 살림을 꾸려나갈 생각이었죠. 醫師가 된 그女는 와이너리 職員들의 아이를 直接 받기도 했습니다.”




    키슬러 빈야드의 任職員은 모두 40名이다. 大部分 20年 以上 이곳에서 일했다. 그들의 子女 가운데 몇몇은 이미 키슬러에서 일을 배우고 있다. 와이너리 所有主는 스티브와 그의 家族이지만 이젠 從事者 모두의 와이너리가 된 것이다. “좋은 와인을 만드는 要領은 따로 없습니다. 무엇보다 葡萄가 좋아야 해요.”

    키슬러는 두 가지 葡萄만 栽培한다. 피노 누아르(Pinot Noir)로는 레드 와인을, 샤르도네(Chardonnay)로는 화이트 와인을 만든다. 自己 밭에서 기른 葡萄를 主로 쓰지만 때로는 葡萄를 買入하기도 한다. 그들이 葡萄를 살 때는 鐵則이 있다. 重量을 基準으로 買入하지 않는 것.



    “무게에 따라 값을 支拂하면 葡萄 栽培者는 같은 面積에서 더 많은 葡萄를 生産하려 합니다. 하지만 葡萄는 나무에 열리는 송이 數를 줄일수록 맛이 좋아집니다. 그래서 저희는 에이커當 값을 치르는 條件으로 契約합니다. 栽培者가 葡萄 品質에 더 神經 쓸 수 있도록요.”

    이런 努力은 키슬러 와인의 品質로 오롯이 드러난다. 레 累아제티에(Les Noisetiers)는 優雅하고 複合美 좋은 샤르도네 와인이다. 배와 파인애플 같은 잘 익은 과일香이 魅力的이고, 酸度가 좋아 輕快하다. 입안에서 와인을 굴리면 告訴하고 쌉쌀한 堅果類香도 느껴진다.

    玉豉덴頉 小노마 코스트(Sonoma Coast)는 海岸 가까이 位置한 玉豉덴頉 葡萄밭에서 자란 피노 누아르로 만든다. 이 밭은 氣候가 서늘해 피노 누아르의 향미가 세련되고 고급스럽다. 玉豉덴頉 小노마 코스트를 맛보면 농익은 붉은 열매香과 粉筆가루처럼 고운 타닌이 立案을 부드럽게 감싼다. 와인을 목으로 넘긴 뒤에는 달콤한 체리香이 긴 餘韻을 裝飾한다.

    “1979年 4萬 病으로 始作해 이젠 한 해 約 36萬 病을 生産합니다.” 키슬러 程度의 規模에서 36萬 病은 決코 많은 量이 아니다. 品質에만 神經 쓰다 보니 生産量은 뒷전인 模樣이다. “지난 40年間 單 한 番도 費用이나 時間을 計算해본 적이 없어요. 그저 좋은 와인을 만들겠다는 생각뿐이었습니다.” 마크는 이제 일흔을 바라보지만 그의 눈빛에는 如前히 젊은 時節의 꿈과 熱情이 가득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