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間들의 流血劇 벌어진 動物의 王國|週刊東亞

週刊東亞 674

..

人間들의 流血劇 벌어진 動物의 王國

‘마다가스카’

  • 이명재 映畫 칼럼니스트 promes65@gmail.com

    入力 2009-02-19 17:29: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인간들의 유혈극 벌어진 동물의 왕국

    映畫 속 動物의 王國 마다가스카르에서 가장 무서운 곳은 정글 밖 人間들의 現實 世界다.

    어린아이들이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마다가스카(Madagascar)’는 故鄕을 그리워하는 게 아니라 거꾸로 故鄕을 脫出하려는 動物들의 이야기다.

    뉴욕 센트럴파크 動物園 最高의 人氣 스타인 獅子 알렉스와 얼룩말 마티 等 4名의 親舊들은 정글보다 都市가 더 좋은 ‘뉴요커’다. 타고난 品種은 野獸지만 安樂한 뉴요커의 삶에 익숙한 알렉스와 親舊들은 어찌어찌해서 아프리카의 거친 密林 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自身들이 태어난 故鄕에 돌아온 셈이지만 난生처음 보는 野生의 정글에 이들은 唐慌하고 무서워한다. 事實 겁낼 것은 別로 없다. 이곳은 野性을 잃어버렸더라도 걱정할 必要가 없는 평화로운 動物의 王國, 마다가스카르이기 때문이다.

    아프리카 東南部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는 ‘生態系의 報告’로 불리는 곳이다. 1萬餘 種의 自生植物이 棲息하는 이곳에는 特히 다른 곳에서는 보기 드문 稀貴 動植物이 많다. 全 世界 生物種의 5%가 이곳에 棲息한다고 한다. 그래서 ‘自然主義者들의 天國’으로도 불린다. 이곳 生態系의 特徵 中 하나는 오랜 時間 大陸과 떨어진 채 獨自的인 進化를 해왔기 때문에 特異한 動物이 많다는 것이다.

    또 마다가스카르는 草食動物들이 살기 좋은 곳이다. 南韓 面積의 6倍나 되는, 世界에서 네 番째로 큰 섬이지만 그 넓은 땅에 自身을 잡아먹는 大型 肉食動物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映畫 ‘마다가스카’에서 알렉스가 들어오기 前까지 이 정글을 支配한 것은 ‘푸사’라는 動物이지만, 푸사는 기껏 사나운 고양이에 不過하다.

    動物에 天國, 人間에겐 地獄



    그러나 動物들에게는 限없이 平和로운 섬이지만 人間들에게는 그렇지 못한 模樣이다. 最近 流血 事態가 벌어지고 있는 것. 反政府 示威가 激化되는 가운데 軍人들이 示威隊에 發砲, 死傷者가 續出하고 있다는 消息이 들려온다. 아프리카의 熱情과 東洋의 神祕를 모두 간직한 ‘地球上에서 가장 특별한 섬나라’라는 이 나라의 政治的 混亂은 여러 要因이 겹친 結果다. 여느 아프리카 나라들처럼 植民統治의 後遺症도 있고 執權層의 腐敗도 한몫했다.

    또 하나 脆弱한 經濟構造를 빼놓을 수 없다. 主要 作物이 커피, 바닐라, 沙糖수수, 카카오 等인 이 나라는 플랜테이션 農業 比重이 높아 西歐 市場에 經濟가 휘둘리고 있다. 지난 1985年 코카콜라가 바닐라 含量을 줄인 ‘뉴코크’를 내놓자 마다가스카르 全體 經濟가 휘청했다고 한다.

    1980年代 後半 마다가스카르는 經濟政策 方向을 急旋回한다. 社會主義 路線을 버리고 世界銀行의 指針에 따라 構造 改革에 나선 것이다. 世界化 時代에 살아남기 위한 選擇이었다. 高强度 民營化와 構造調整이 進行됐고 西歐式 經濟技法이 導入됐다. 外國投資家 늘면서 겉으로는 經濟가 成長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裏面에서 官吏들의 腐敗는 極에 達했고, 國民들의 삶은 더욱 疲弊해졌다.

    마다가스카르 정글의 動物들은 뉴욕에서 온 알렉스 一行과 結局 사이좋게 共存한다. 獨自的인 生存과 進化를 해온 마다가스카르 生態系의 平和도 지켜졌을 것이다. 정작 무서운 것은 정글 밖 人間들이 사는 ‘眞짜 정글’에서의 삶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