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實驗精神 돋보이는 果敢한 逸脫|週刊東亞

週刊東亞 655

..

實驗精神 돋보이는 果敢한 逸脫

‘B Side’展 & ‘점프 컷’展

  • 好경윤 아트인컬처 首席記者 www.sayho.org

    入力 2008-10-01 10:18: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실험정신 돋보이는 과감한 일탈

    첫 個人展을 여는 作家 임민욱의 設置作品 ‘漢江의 奇跡’.

    藝術家라고 하면 日常에 얽매이지 않고 每日 變化를 試圖하며 ‘逸脫의 삶’을 살아갈 듯하지만, 實은 그렇지도 않다. 나름의 生活 패턴과 함께 固有한 作業方式을 가지고 있으며, 한 가지 이슈를 물었다 하면 몇十 年 동안 該當 分野의 資料를 徹底히 蒐集하는 것은 勿論, 學者 못지않게 深度 깊은 硏究를 하는 境遇도 있다. 바로 ‘藝術’이라는 것이 天性에서 職業으로 바뀌는 瞬間이다. 勿論 이런 ‘한 우물 파기’가 헛되다는 말은 아니다. 結果的으로 作品의 完成度를 높이고, 各自의 藝術觀을 確固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過程은 지겨울 수도 있다. 게다가 타고난 藝術家의 ‘똘끼’가 욱하고 나와, 平素와 다른 作業 아이디어가 떠올라도 “나답지 않아” 하며 꾹꾹 눌러댈 것이다.

    그런데 반가운 作家들의 ‘逸脫 行動’ 消息이 들려온다. ‘B Side’展(~10月2日, 두아트서울)은 平素 自身의 作品答紙 않은 作品을 내놓는 것이 주된 콘셉트다. 展示 題目은 過去 LP 音盤이 있던 時節, A Side와 B Side로 나뉘었던 點에서 着眼했다. 大槪 A Side에 商業的 或은 大衆的 成功을 意識한 曲이 실렸다면, B Side에는 리믹스나 어쿠스틱 等 變形된 버전이나 成功은 못할지라도 뮤지션이 꼭 해보고 싶었던 實驗的 試圖가 담겨 있곤 했다. 이番 展示를 企劃한 큐레이터 金成願은 “뮤지션들에게 B Side는 商業的 스트레스나 大衆的 히트에 對한 강박증에서 벗어날 수 있는 一種의 ‘公式的 自由 領域’이다. 作家들에게 A Side가 表面 위로 이미 떠오른, 그래서 그들을 알릴 수 있었던 메인 스타일을 위한 空間이라면, B Side는 表面 밑에 ‘留保된’ 發言을 위한 空間”이라고 說明한다.

    함경아 함연주 限修正 잭슨洪 鄭在浩 강홍구 김상곤 써니킴 이동기 이미혜 李美卿 이슬기 이수경 이윤진 문형민 박진아 박미나 移住요 Sasa(44) 지니서 도윤희 윤정미 等 22名의 作家는 마치 A Side를 마치고 自由롭게 B Side를 錄音하는 뮤지션처럼, 平素보다 便安하고 率直한 마음으로 이番 展示에 參與했을 것이다.

    실험정신 돋보이는 과감한 일탈

    두아트서울의 ‘B Side’展에 展示된 作品들. 1. B Side 展示 前景 2.박미나 _‘無題’ 3. 함경아 _‘Gold Rush’

    한便 韓國에서 처음 個人展을 여는 作家 임민욱(~10月12日, 서울아트선재센터)은 ‘B Side’에 參與한 많은 作家들과는 달리 本來 固定的인 스타일이나 一貫된 主題가 없다. 作家 스스로가 “제대로 하는 것은 없지만 그래서 뭐든 할 수 있다”고 말하듯, 새 作品마다 다른 形式과 主題를 보여왔다. 近者에 들어 光州비엔날레에서 ‘光州銀行上’ ‘에르메스코리아 美術賞’ 首相 等으로 名望을 떨치고 있지만, 實際 그의 作品世界를 明快하게 說明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점프 컷’이라는 題目의 이番 個人展에서 선보인 ‘스무 고개-장마 도깨비 여울 건너가는 소리’는 얼마 前 열렸던 ‘多文化祝祭 2008’을 찍어 編輯한 다큐멘터리 映像 作業物인데, 이 作品에는 作家의 어린 딸의 얼굴이 비친다(실제로 作家의 딸은 混血이다).

    언뜻 보면 模糊해 보일 수 있는 그의 作業이 强烈한 社會的 메시지를 주는 까닭은 作家 自身이 眞實한 態度로 삶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 그의 作品이 明快하지 못한 理由는 作家 或은 우리 모두의 삶이 “울지도 웃지도 못하는 狀況”에 놓여 있는 境遇가 許多하기 때문일 것이다. 協業 爲主의 作品 活動을 하며 文化活動家로서 藝術의 實踐性을 實驗했던 그의 只今까지 行跡을 살펴본다면, 오히려 임민욱에게는 처음으로 여는 大規模 個人展 自體가 ‘逸脫’인지도 모르겠다.





    展示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