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 제비|週刊東亞

週刊東亞 655

..

안녕, 제비

  • 글·김민경 編輯委員 holden@donga.com 寫眞·김형우 記者 free217@donga.com

    入力 2008-09-29 13:3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안녕, 제비
    自然의 法則대로라면 제비는 陰曆 3月3日 韓半島를 찾았다가

    陰曆 9月9日 重陽節 康男으로 떠난다.

    그래서 제비는 떠나고 돌아오고 다시 떠나는,

    떠나야 하는 宿命을 象徵하게 됐을 거다.

    英國作家 아서 랜섬의 古典的인 童話 ‘제비호와 아마존號’에서처럼



    많은 배에 제비라는 이름이 붙어있는 理由다.

    윤대녕의 小說 ‘제비를 기르다’에서 제비는

    철마다 떠났다 돌아오는 어머니, 愛人으로 오버랩된다.

    제비는 우리에게 ‘日常的인 삶을 拒否한 이들이 간직한 世界’가 있다는 것을 가르친다.

    그러나 自然보다 무서운 것은 溫暖化한 地球,

    벌레가 滅絶된 都市여서 요즘 서울에서 제비를 보면

    서울市처럼 ‘반갑다 제비야!’라고 報道資料라도 내야 한다.

    올해 제비가 떠나는 重陽節은 西洋力으로 10月7日이며,

    ‘江南’은 압구정동이 아니라 泰國이다.



    포토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