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茶와 함께 淸算에 살어리랏다|주간동아

週刊東亞 459

..

茶와 함께 淸算에 살어리랏다

旣得權 勢力 牽制 속 42살에 入山 … 中國 官吏 時節 茶 살림 익혀 本國에 차 보내기도

  • 정찬주/ 小說家

    入力 2004-11-04 18:1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차와 함께 청산에 살어리랏다

    丹楓이 始作되고 있는 伽倻山 홍류洞과 농산정.

    海印寺 初入의 溪谷 가에서 흐르는 물을 내려다본다. 푸른 落落長松 사이로 노랗고 붉은 落葉이 물 위에 점점이 떠 흐르고 있다. 溪谷 이름 그대로 홍류洞(紅流洞)이다. 건너便 亭子 앞 溪谷 가에는 ‘고운 崔致遠 先生 遁世地(孤雲崔致遠先生遁世地)’라고 쓰여 있는 標識石이 서 있다. 외로운 구름처럼 떠돌다 간 崔致遠이 隱遁한 땅이라는 뜻이다. 亭子 이름은 농산정(籠山亭). ‘農産’은 孤雲이 伽倻山 홍류洞을 읊조린 詩 句節에서 빌린 말이다.

    바위 골짝 치닫는 물 첩첩산골 뒤흔드니/ 사람 말은 咫尺에도 分揀키 어려워라/ 世俗의 是非 소리 幸여나 들릴세라/ 흐르는 溪谷물로 산 둘러치게 했나(狂奔疊石吼重巒 人語難分咫尺間 常恐是非聲到耳 故敎流水盡籠山)

    孤雲이 伽倻山을 첫 隱遁地로 擇한 것은 海印寺에 그의 親兄인 賢俊(賢俊) 스님과 親交가 두터웠던 華嚴 終章(宗匠·經學에 밝은 사람) 希郞(希朗) 스님이 있었기 때문이다.

    孤雲은 新羅 憲安王 1年(857) 慶州 沙梁部에서 태어난다. 아버지는 6頭品인 犬日(肩逸). 12살(868年)에 唐나라로 留學 가 6年 만인 17살 때 過去에 及第한다. 20살에 표수현위에 任官되지만 1年 만에 “덩굴풀처럼 누구에게 붙어 사느니, 거미가 줄을 치듯 제 힘으로 生計를 꾸려나가고자 한다. 數없이 생각해봐도 學問하는 것만 못하다”며 顯位를 辭任한다. 그러나 祿俸은 곧 바닥이 났고, 雪上加霜으로 황소(黃巢)의 叛亂軍이 밀어닥쳐 生計가 아닌 生死를 걱정하기에 이른다. 이때 文士 고병(高騈)李 淮南(淮南) 節度使로 赴任하자 知人의 도움으로 관驛(館驛) 巡官에 起用된다. 以後 孤雲은 고병의 信任으로 重要 職責을 맡는다. 徐居正이 우리나라 詩文集의 飛鳥라고 讚揚했던 ‘桂苑筆耕’ 20卷의 글도 이 무렵에 써둔 것이다.

    茶밭 드넓은 화개동에서 神仙 같은 生活



    孤雲의 次 살림은 中堅 管理로서 公·私席의 많은 行事에 불려다닌 이 時期부터 始作됐을 것이다. ‘桂苑筆耕’의 ‘査探淸要戰場(謝探請料錢狀)’에 ‘本國의 使臣 배가 바다를 지나간다 하니 이 便에 車와 藥을 부쳤으면 합니다’ 하고 병든 父母에게 車와 藥을 보내는 文章이 보인다.

    孤雲은 黨의 混亂과 父母의 病患 때문에 28살(884年) 때 歸國길에 오른다. 憲康王의 歡待를 받았지만 벼슬은 經書를 講義하는 侍讀(侍讀), 文筆機關의 副責任者인 支署暑感(知瑞書監), 留學한 學者에게 주어지는 翰林學士, 兵部에 諮問하는 수병부시랑(守兵部侍郞)을 지냈다. 그런데 憲康王에 이어 王의 동생 정강왕마저 1年 만에 죽자, 孤雲은 眞骨들의 牽制를 받아 地方 太守로 轉轉한다. 美少年을 불러들여 要職에 앉히는 等 眞聖女王의 亂政으로 叛亂이 자주 일어나 新羅는 急激히 亡國의 길로 접어든다. 弓裔와 甄萱이 登場하는 것도 이 무렵이다. 이에 孤雲은 眞聖女王에게 구국책의 一環으로 시무十餘條(時務十餘條)를 直言하지만, 女王과 旣得權을 지키려는 眞骨 貴族들에게 묵살당하고 만다.

    마침내 孤雲은 42살 때 家族을 이끌고 伽倻山으로 入山한다. 智異山 청학동과 삼신동, 고운동계곡, 天王峯 아래 法癸巳, 茶밭이 드넓은 화개동에서도 茶를 마시며 神仙처럼 살았다. 그가 화개동에서도 살았다는 證據는 ‘芝峯類說’에 紹介되고 있는 孤雲의 時 ‘화개동視(花開洞詩)’다.

    나그네는 농산정에서 나와 孤雲과 希郞 스님이 車를 마시며 世上을 論했던 學士대로 가본다. 그러나 八萬大藏經이 保管된 海印寺 藏經閣 옆 學士대는 터만 남아 있고, 전나무 한 그루가 못다 펼친 孤雲의 꿈인 양 하늘을 찌를 듯 솟구쳐 있을 뿐이다.

    가는 길

    88高速道路에서 海印寺 인터체인지를 빠져나와 海印寺 가는 길로 가다보면 國立公園賣票所가 나오고 조금 지나면 홍류洞 溪谷 가에 농산정이 나타난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