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투리의 힘’ 두말하면 입 아프제|주간동아

週刊東亞 376

..

‘사투리의 힘’ 두말하면 입 아프제

直說·壓縮的 感情表現 全 分野로 波及 … 地域 가르는 否定的 이미지 拂拭 期待

  • 金賢美 記者 khmzip@donga.com

    入力 2003-03-13 16:38: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사투리의 힘’ 두말하면 입 아프제

    사투리 烈風을 몰고 온 KBS ‘개그콘서트’의 ‘生活사투리’ 코너.

    全羅道와 慶尙道의 戀人이 오랜만에 邂逅했다. “징그랍게 보고 자퍼高만요.” “억수로 오랜마임니더.” 웃자고 始作한 生活사투리가 사투리에 對한 愛情을 낳고 있다. 사투리라는 말 代身 地域標準어, 故鄕말로 바꿔 부르자는 主張도 나온다.

    사투리 烈風의 震源地는 KBS 코미디 프로그램 ‘개그콘서트’의 生活사투리 코너. 이 코너가 流行시킨 “아따 거시기 허요” “후끈 달아오르는구마잉~” 같은 사투리는 携帶電話 通話連結音 서비스에서도 暴發的인 人氣를 얻고 있다. 그러나 사투리에서 ‘촌스럽고 卑俗하다’는 이미지를 벗겨내는 데는 2年 前 大舶을 터뜨린 映畫 ‘親舊’의 힘이 컸다. “우리, 親舊 아이가”로 대표되는 질펀한 慶尙道 사투리는 곧 ‘싸나이들’의 言語로 통했고, 덩달아 “아따, 우린 親舊랑께” 하는 全羅道 버전이 떴다. 이어 明朗少女 장나라의 귀여운 입에서 “괜찮아유~”가 터져 나오자 사람들은 忠淸道 사투리에 熱狂했다. 最近에는 ‘野人時代’에서 시라소니의 平安道 사투리 “그만들 하라우, 그만들 해. 거 如前하구만”이 人氣몰이를 하고 있다. 이 映畫나 드라마의 特徵은 助演이 아닌 主演級 演技者의 입에서 질펀한 사투리가 나왔다는 點이다.

    時事諷刺, 패러디의 웃음도 折半은 사투리의 힘이다. 지난해 最高 히트作은 배칠수의 獵奇DJ. 그가 김대중 前 大統領의 말套를 흉내내며 “부시餘? 나여! 오늘은 나가 쪼까 할 말이 있당께” 하고 따지자 사람들은 배꼽을 잡으며 후련해했다. 萬若 배칠수가 “부시, 납니다. 오늘은 내가 할 말이 있소”라고 했다면 果然 웃음이 터져 나왔을까.

    他地域 사람들은 낯섦에 魅了

    韓國의 方言을 硏究하고 있는 全北大 이태영 敎授(國文學)는 “方言은 祖上 代代로 한 地域에 사는 사람들이 서로 同質感과 連帶感을 느끼면서 써온 내 고장의 말로 感情表現이 자연스럽기 때문에 조금만 우스워도 暴發的인 反應을 얻게 된다”고 말한다. 또 他地域 사람들은 사투리의 낯섦 그 自體를 즐긴다. ‘우리말 우리글’의 著者인 김주환 敎師(장위중·國語)는 “사투리는 標準語의 限界, 卽 단조로운 語彙와 抑揚, 話法의 問題를 克服하고 우리의 言語生活을 豐富하게 해준다”며 사투리 役割論을 편다.



    이제 사투리는 코미디 素材에 머물지 않는다. 로커 강산에가 20年 만에 ‘강영걸’(새 앨범 題目이기도 하다)이라는 本名을 되찾으면서 ‘사투리 랩’을 試圖한 것은 意味深長하다. 첫 曲 ‘明太’에는 咸鏡道 사투리로 “영걸이 왔니? 무눙이는 어찌 아이 왔니? 아바이 밥 잡쉈소? 상구 아이 왔니?” 하는 랩이 나오고 노래 끝에는 “感謝합니데이” “잘 먹겠습니데이”가 이어진다. 姜氏는 “세 살 때 돌아가신 아버지에 對한 記憶의 끈을 놓치지 않기 위해 아버지의 故鄕 咸鏡道에서 많이 잡히는 明太를 素材로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다. 아프리카 리듬에 맞춰 부른 ‘와 그라노’는 한술 더 뜬다. “와 그라노 니 또 와 그라노~ 뭐라 케싼노 뭐라 케싼노 니/ 우짜라꼬 내 우짜라고 내/ 우짤라고 니 우짤라고 그라노/ 니 단디 해라/ 마 고마 해라 니 고마 해라 니/ 니 그라다 다친데이.”

    사투리는 긴 말이 必要 없이 直說的이고 壓縮的으로 感情을 傳達한다. 흔히 사투리를 정겹다, 구수하다 하는 것도 그 地域의 色깔을 담은 獨特한 맛 때문. 그래서 文人들은 오래 前부터 사투리를 愛用했고 質樸한 表現들을 水準 높은 文學作品으로 끌어올렸다. 조정래의 ‘太白山脈’, 김주영의 ‘客主’, 이문구의 ‘관촌수필’, 서정인의 ‘달궁’, 박경리의 ‘토지’ 等은 土俗的인 우리말의 報告로 評價된다.

    사투리가 이番에는 演劇舞臺에까지 進出했다. 演出家 오태석氏는 劇團 목화의 新作 ‘앞山아 당겨라 오금아 밀어라’에서 濟州島 사투리를 그대로 再現해 話題를 뿌렸다. 애初 서울사람들에게 外國語나 다름없는 濟州島 사투리로 어떻게 內容을 傳達할 수 있을까 憂慮했으나, 劇의 展開나 感情 傳達에 全혀 無理가 없었을 뿐 아니라 오히려 濟州 4·3抗爭의 悲劇을 傳達하는 데 濟州島 사투리가 훨씬 效果的이었다는 評이다.

    ‘사투리의 힘’ 두말하면 입 아프제

    映畫 ‘家門의 榮光’에서 窈窕淑女였던 主人公 眞景(金正恩)은 決定的인 瞬間 津한 全羅道 사투리로 雰圍氣를 反轉시킨다. “거 如前하구만.” ‘野人時代’에서 平安道 사투리를 선보인 시라소니 조상구(오른쪽).아일랜드 原作 ‘더 위어’를 江原道 사투리로 飜案한 演劇 ‘거기’(왼쪽부터).

    오태석氏는 한 인터뷰에서 “그곳 土박이들이 주고받는 말을 들었을 때 반갑기도 하고, 가슴이 울렁거리는 게 靈魂의 울림을 느꼈다. 그들의 냄새가 배어 있고, 獨特한 色깔이 있으며, 울림이 담겨 있는 그들의 말로 그곳의 얘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나아가 旣存의 作品을 脚色해 慶尙道 忠淸道 等 사투리 演劇祭를 열고 싶다는 抱負도 밝혔다.

    公演에서 感情移入 效果를 높이기 위해 사투리를 活用하는 境遇도 늘고 있다. 2002年 韓國演劇評論家協會 選定 올해의 演劇에 選定된 劇團 차이무의 ‘거기’는 아일랜드 作家 코너 맥퍼슨의 ‘더 위어(The Wier)’를 飜案한 作品. 演出家 이상우氏_ 舞臺를 江原道 바닷가 부채끝 마을로 바꾸고 “~來요”로 끝나는 江陵 사투리로 감칠맛을 더해 連日 賣盡을 記錄하며 延長公演에 突入했다. 10年째 長壽하고 있는 뮤지컬 ‘地下鐵 1號線’은 主人公 ‘仙女’의 깜찍한 옌벤 사투리와 慶尙道, 全羅道 사투리로 他鄕살이하는 庶民들의 哀歡을 그렸는데 지난해부터 濟州, 講院, 忠淸 出身 俳優들을 캐스팅해 八道 사투리 버전을 내놓았다.

    效果音처럼 들어간 사투리가 아니라 아예 사투리를 素材로 한 映畫도 나온다. 이준익 監督의 ‘황산벌’은 1300餘年 前 三國時代에 全羅道 慶尙道 사투리가 그대로 使用됐다는 假定 아래 7日間의 황산벌 戰鬪를 再現한 歷史 코믹物. 階伯 將軍이 全羅道 사투리로 “여그 황산벌에서 뭐시기 헐 때꺼정 甲옷을 거시기하랑께” 하면, 慶尙道의 金庾信 將軍은 “階伯이 갸는 누구보다 내가 잘 안데이, 갸는 무서븐 놈이데이”라고 應酬한다. 製作社인 씨네월드의 정승혜 理事는 “地域感情 問題를 가볍게 건드려보자는 意圖”라며 “별다른 裝置 없이도 臺詞 그 自體가 웃기는 映畫”라고 했다.

    嚴肅한 靑瓦臺 雰圍氣도 확 바꿔

    ‘사투리의 힘’ 두말하면 입 아프제

    咸鏡道 사투리로 랩을 한 歌手 강영걸.

    사투리는 嚴肅한 靑瓦臺의 雰圍氣도 바꿔놓았다. 盧武鉉 大統領 特有의 語法인 “맞습니다, 맞고요”가 뜬 지는 오래고, 最近에는 정찬용 大統領 人事補佐官의 “그렇네요이, 쪼금 說明하자면” “앗따 목마른디…” 等 全羅道 사투리가 斷然 話題다. 國民들의 웃음 뒤에는 靑瓦臺에서 同時에 들려오는 慶尙道, 全羅道 사투리가 아직은 낯설 수밖에 없는 現實이 자리잡고 있다.

    政權이 交替될 때마다 放送의 도둑 말套가 바뀌었다는 코미디 같은 現實에서 사투리는 特定 階層과 地域을 가르는 否定的 이미지로 作用했던 것이 事實이다. 그래서 ‘우리말 標準發音 辭典’을 펴낸 서울대 이현복 名譽敎授는 “地域感情의 뿌리에 사투리가 있다”며 “公的인 言語生活에서는 사투리를 使用해서는 안 된다”고 主張했다. 그러나 이태영 敎授는 “言語의 異質感을 克服하는 方法은 더 자주 接하는 것”이라며 “다른 고장의 말도 가르쳐서 言語로 異質感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 標準語가 必要 없다는 게 아니라, 複數標準語 規定을 두어 아름다운 各 地域의 語彙나 表現을 살려야 한다”고 했다.

    全國國語敎師모임에서 엮어낸 中學校 2學年用 國語敎材 ‘우리말 우리글’에는 ‘사투리와 標準語’라는 單元이 있다. 다양한 地域 사투리로 쓰여진 詩, 小說, 對話를 보여주고 사투리의 맛을 살려 實感나게 朗讀하는 法, 標準語로 쓰여진 文章을 사투리로 바꾸는 法 等을 배운다. 共同著者의 한 사람으로 實際 學生들에게 사투리를 가르친 신일中 조장희 敎師는 “서울말도 地域言語의 하나일 뿐”이라며 “劃一的인 標準語 政策이 自身이 태어나고 자란 地域의 말을 수치스럽게 여기도록 만든 것은 精神的 遺産의 喪失”이라고 指摘한다.

    이에 따라 全國國語敎師모임은 每年 中·高等學生 對象의 ‘이야기大會’를 開催해 ‘土俗的인 입말 살리기’ 運動을 펼치고 있다. 地方分權을 외치는 노무현 政府에서 사투리의 華麗한 復活은 必然인가.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