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年 만의 再會, 김성령·박신혜 主演 映畫 ‘콜’ 製作發表會|週刊東亞

現場

7年 만의 再會, 김성령·박신혜 主演 映畫 ‘콜’ 製作發表會

박신혜, 强烈한 스릴러로 전종서와 맞짱

  • 김지영 記者

    kjy@donga.com

    入力 2020-02-18 17:48:19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이番이 세 番째인데, 神惠는 늘 딸 같아요.”(김성령) 

    “언제 봐도 先輩님은 든든하게 依支가 돼요.”(박신혜) 

    俳優 김성령(53)과 박신혜(30)가 映畫 ‘콜’로 다시 만났다. 2013年 드라마 ‘相續者들’ 以後 7年 만이다. 

    ‘콜’은 過去와 現在, 서로 다른 時間帶에 사는 두 女子가 한 通의 電話로 連結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미스터리 스릴러다. 2009年 드라마 ‘美男이시네요’, 2013年 話題의 드라마 ‘相續者들’에서 各各 男子主人公의 親母와 戀人 役으로 出演한 두 사람은 이番 映畫에서는 엄마와 딸로 呼吸을 맞췄다. 



    2月 17日 서울 江南區 CGV 鴨鷗亭店에서 열린 製作發表會에 參席한 김성령은 어떤 點에 重點을 두고 엄마 役割을 했느냐는 물음에 “實際로 두 아들을 사랑하는 것 以上으로 映畫에서 딸을 지키기 위한 母性愛를 發揮했다”고 말했다. 또한 “神惠와 作品을 함께 하는 것이 이番이 세 番째인데 언제 봐도 딸 같다. 親舊 같은 딸이라는 것이 이런 느낌이 아닌가 싶다”며 박신혜에 對한 愛情을 숨기지 않았다. 이에 박신혜는 “先生님이 오래前부터 큰아들이 나를 좋아한다는 말씀을 자주 하셨다. 그런 이야기를 들어서인지 언제 봐도 恒常 친숙하고 엄마처럼 든든하게 依支가 된다. 무척 좋다”고 和答했다.

    女俳優 4人이 이끌어가는 보기 드문 캐스팅

    영화 ‘콜’에서 스릴 넘치는 긴장감을 선사하는 배우들.[사진제공=NEW]

    映畫 ‘콜’에서 스릴 넘치는 緊張感을 膳賜하는 俳優들.[寫眞提供=NEW]

    영화 ‘콜’에서 스릴 넘치는 긴장감을 선사하는 배우들.[사진제공=NEW]

    映畫 ‘콜’에서 스릴 넘치는 緊張感을 膳賜하는 俳優들.[寫眞提供=NEW]

    박신혜는 이番 映畫에서 이제까지 보여준 적 없는 强烈한 스릴러에 挑戰한다. 劇에서 過去를 바꾸려는 ‘西燕’으로 扮한 그는 映畫 ‘버닝’의 헤로인 전종서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豫測 不許의 狀況에서 心臟을 쫄깃하게 만드는 스릴 滿點의 演技 對決을 펼칠 豫定이다. 김성령은 서연을 지키려는 ‘서연 엄마’ 役을 맡아 30臺와 50臺를 오가며 섬세한 感情 演技를 선보인다. 

    劇 中 人物과 닮은 點으로 박신혜는 “好奇心이 많은 點”을 꼽았다. 그러자 김성령은 “神惠가 好奇心이 많은 게 맞다”며 “모르는 番號로 電話가 와도 잘 받는다”고 맞장구를 쳤다. 또 20年을 오가는 劇의 展開 過程에서 반가웠던 小品으로 박신혜는 冊갈피와 手製 筆筒을, 김성령은 삐삐를 떠올렸다. 

    ‘콜’은 박신혜, 김성령, 전종서에 이엘까지 加勢해 女俳優 4人이 劇을 이끌어간다. 男性 中心 映畫가 쏟아지는 충무로에서 보기 드문 캐스팅이다. 이충현 監督은 “女俳優들로 緊張感을 끊임없이 불어넣는 스릴러를 完成하고 싶었고 그 所望을 이뤘다”고 自信感을 내비쳤다. 製作費 90億 원이 投入된 이 映畫는 3月 中 開封될 豫定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