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용성, 민수, 백예린, 림 킴, 李捺致|週刊東亞

金作家의 音談樂談(音談樂談)

천용성, 민수, 백예린, 림 킴, 李捺致

2019年 플레이리스트에 꼭 追加해야 할 歌手&노래

  • 大衆音樂評論家 noisepop@daum.net

    入力 2019-12-30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한 해 音樂界를 돌아볼 때면 例年 같은 時期에 썼던 글이나 整理해뒀던 資料들을 들여다보게 된다. 이를 통해 나이 듦을 느끼고 時代의 變化를 體感하곤 한다. 2019年 音樂界를 整理하기 위해 10年 前 데이터를 봤다. 當時 파릇파릇했던 新銳들이 이제 中堅이 되거나 다른 길을 걷고 있다. 

    다운로드나 音盤을 통해 音樂을 듣던 世態가 變해 이제는 모두가 스트리밍으로 音樂을 듣는다. 좋아하는 音樂을 듣기 위해 購入하던 CD는 이제 公演場에서 사인을 받기 爲한 所藏品의 槪念이 됐다. 이에 所藏 價値를 極大化하고자 CD 代身 LP나 카세트테이프로만 音盤을 發賣하는 境遇도 늘어났다. 

    技術 發達과 노하우 蓄積으로 良質의 레코딩은 더욱 容易해졌고, 소셜미디어 發達로 弘報 및 活動의 領域이 擴張되면서 데뷔하는 뮤지션의 體感 數도 더 많아졌다. 이는 자연스럽게 音樂의 上向平準化를 誘導했다. 더 많은 音樂이 더 좋은 꼴로 우리에게 流星雨처럼 쏟아진다. 

    하지만 그만큼 더 많은 音樂이 작은 照明 한 番 받지 못하고 사라진다. 實時間 차트의 影響力이 더욱 剛해진 데다, 極少數를 除外하면 크고 强力한 팬덤이나 사재기를 통한 장난질로 차트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좋은 音樂, 價値 있는 音樂과 大衆의 귀에 머무는 音樂은 反比例 關係를 形成하게 된다.
    그것으로 充分한가. 우리에게는 如前히 들을 音樂이 必要하다. 한 해 동안 꾸준히, 때로는 게으르게 音樂을 들었다. 1年을 마무리하는 時點에서 ‘昨年’으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까운 노래들을 추려본다. 大部分 少數의 플레이리스트에 몸담고 있었을 테지만 이제라도 그 노래들을 얘기하고 싶다.

    천용성 ‘大雪注意報’

    천용성 [천용성 인스타그램]

    천용성 [천용성 인스타그램]

    싱어송라이터 천용성은 2010年代 初盤부터 活動했지만 存在는 微微했다. 몇 張의 싱글이 있을 뿐이다. 1987年生인 그가 뒤늦게 發賣한 正規 앨범 ‘김일성이 죽던 해’는 巨創한 題目과 달리 따뜻하고 素朴하며 정갈한 노래가 담겨 있다. 윤상, 動物園, 브로콜리너마저 等 韓國 大衆音樂社에서 뚜렷한 痕跡을 남기며 系譜를 完成해온 뮤지션의 延長線에 있다고 할까. 



    그中 타이틀曲인 ‘大雪注意報’는 힘 있는 멜로디와 포근한 사운드, 그리고 아련한 歌詞가 三位一體를 이루는 魅力的인 포크 팝이다. 이 앨범의 다른 노래가 大體로 그러하듯, 오래된 日記帳이나 흐릿한 記憶에서 始作된 이야기를 音樂으로 옮기고 소리로 꾸몄다. 個人的이며 普遍的이다. 아직도 유튜브보다 라디오에서 音樂을 듣는 게 더 좋은 사람이라면 꼭 챙겨야 할 曲이다.

    閔粹 ‘커다란’

    민수 [사진 제공 · 지니뮤직]

    閔粹 [寫眞 提供 · 지니뮤직]

    2016年 유재하 音樂競演大會 出身인 민수의 音樂을 처음 들었을 때가 기억난다. ‘섬’이라는 曲이었다. 音樂이 만들어내는 빈 空間에 민수의 목소리는 멍하니 홀로 있었다. 最小限의 사운드가 殘香처럼 머물렀다. 그럼에도 注目할 만한 才能이자 목소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如前히 싱글 爲主로 活動하는 민수는 올해 ‘커다란’이라는 曲을 냈다. 

    윤상이 강수지와 함께 作業하던 時節을 떠올리게 하는 노래다. ‘섬’에서 그러했듯, 音樂의 空間 中心에 민수의 목소리와 멜로디가 있다. 그때와 달리 그 周邊에, 위와 아래에 豐富한 사운드가 자리한다. 

    最小限의 投入으로 適正한 그루브를 만들어내는 리듬이 있다. 適當한 反復과 아주 작은 變化로 만들어내는, 미니시리즈 같은 드라마가 있다. 이 노래를 통해 또 다른 모습을 보여준 민수의 正規 앨범을 기다리게 된다. ‘커다란’은 짝사랑에 對한 노래다.

    백예린 ‘그건 아마 우리의 잘못은 아닐 거야’

    백예린 [백예린 인스타그램]

    백예린 [백예린 인스타그램]

    오랫동안 JYP엔터테인먼트에 몸담고 있었음에도 백예린은 그 力量과 可能性에 비해 제대로 照明받지 못한 歌手다. 아니, 그럴 機會를 좀처럼 附與받지 못했다. 2015年 데뷔 以後 2張의 미니 앨범과 2張의 싱글이 全部였기 때문이다. 백예린이 하고 싶어 하는 音樂과 會社에서 願하는 音樂의 差異가 꽤 크다는 所聞이 돌았다. 

    ‘그건 아마 우리의 잘못은 아닐 거야’는 그가 JYP와 訣別하기 直前 내놓은 마지막 作品이자 다시 한 番 그의 潛在力을 確認케 해준 曲이다. R&B를 바탕으로 하지만 이 魅力的인 曲을 이끌어가는 백예린의 목소리는 흔하디흔한 ‘實用音樂科 出身 R&B 보컬’과는 次元을 달리한다. 至極히 制限된 活動 領域에서 그가 갈고 닦고 있었던 內功의 칼날이 느껴진다. 

    말 그대로 才能을 뽐낸다. 都大體 왜 이런 才能이 그토록 적은 機會만 附與받았을까. 그래도 늦었지만 多幸이다. 이 노래를 끝으로 백예린은 JYP와 訣別하고 自體的으로 첫 正規 앨범 ‘Every Letter I Sent You’를 냈다. 이 또한 2019年 年末의 膳物이었다.

    림 킴 ‘YELLOW’

    림 킴 [사진 제공 · 유니버설뮤직]

    림 킴 [寫眞 提供 · 유니버설뮤직]

    ‘슈퍼스타K’로 話題가 된 투個月 出身의 김예림은 미스틱엔터테인먼트에서 期待만큼 成果를 내지 못했다. 흔한 오디션프로그램 出身 歌手의 運命을 踏襲하는 걸까. 千萬의 말씀. 自身의 英語 이름 ‘림 킴’으로 돌아온 그는 올해 發表한 2張의 미니 앨범 ‘SAL-KI’와 ‘GENERASIAN’을 통해 桑田碧海가 무엇인지를 보여줬다. 外貌와 스타일링度 확 달라졌지만 音樂은 이를 凌駕한다. 

    事前 情報가 없다면 다른 사람의 音樂이라 생각해도 異常하지 않을 程度다. 힙합과 일렉트로니카를 바탕으로 한 그의 새로운 길은 只今 韓國 大衆音樂, 또는 케이팝(K-pop)의 磁場보다 音樂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사운드클라우드를 基盤으로 한 西歐 音樂 共同體의 最前線에 가깝다. 가장 앞선 트렌드를 本디 제 옷인 量 消化하면서도 ‘네이버뮤직 온스테이지’에서 證明했듯, 視覺的 퍼포먼스에서도 衝擊的인 모습을 보여준다. 2019年 팝界에 빌리 亞一理視가 있었다면 韓國 音樂界에는 림 킴이 있었다.

    李捺致 ‘魚類圖鑑’

    이날치 [사진 제공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李捺致 [寫眞 提供 · 傳統公演藝術振興財團]

    2018年 音樂界에 짧고 剛한 衝擊을 안겼던 ‘씽씽’을 記憶하는가. 제대로 된 結果物을 보여주기도 前 너무 빨리 解體한, 國樂과 팝의 結合體 말이다. 暫時나마 그들에게 熱狂했던 이라면 2020年을 期待해도 좋겠다. 씽씽의 主軸이던 베이스 장영규를 中心으로 結成된 李捺致가 있기 때문이다. 

    朝鮮 哲宗과 高宗 時代 活動했던 傳說의 名唱 이름에서 따온 이들 亦是 國樂에 西歐 音樂을 結合한 팀이다. 差異가 있다면 씽씽이 京畿民謠를 베이스로 한 反面, 李捺致는 판소리가 中心이다. 장영규와 씽씽에서 함께했던 李哲熙, 장기하와 얼굴들 出身인 정중엽이 演奏를 맡고 권송희와 박수범 等 소리꾼 5名이 노래를 맡는다. 

    이제 노래 2曲을 發表했을 뿐이지만, 그 前부터 여러 公演을 통해 멋쟁이들의 耳目을 끌어왔다. 2020年에는 더 많은 活動이 豫約돼 있다. 따라서 이 노래를 플레이리스트에 追加하는 건 2019年의 復習보다 2020年의 豫習에 더 가깝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