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과 달걀로 빚는 生파스타의 眞味|週刊東亞

김민경의 美食世界

물과 달걀로 빚는 生파스타의 眞味

  • 푸드칼럼니스트

    mingaemi@gmail.com

    入力 2019-11-18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서울 마포구 ‘파스타 공작소’에 
가면 볼 수 있는 다양한 파스타 도구. [사진 제공·김민경]

    서울 麻浦區 ‘파스타 工作所’에 가면 볼 수 있는 다양한 파스타 道具. [寫眞 提供·김민경]

    20代 中盤에 父母 집에서 獨立했지만 아직까지 親庭집의 꽤 넓은 面積을 차지하며 오랫동안 머무르는 物件들이 있다. ‘로드쇼’ ‘스크린’ ‘키노’ ‘씨네21’ 같은 映畫雜誌다. 映畫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잘 몰랐던 이야기가 雜誌 안에 가득해 큰 즐거움을 줬다. 例를 들면 映畫 ‘비긴 어게인’의 女主人公이 키라 나이틀리가 아니라 스칼릿 조핸슨이 될 수도 있었다든가, ‘殺人의 追憶’에서 俳優 송강호가 애드리브로 남긴 名臺詞 “밥은 먹고 다니냐”의 숨은 意味가 무엇인지 等이다. 삶에서는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인 일들이지만 該當 映畫를 보는 視線은 確然히 달라진다. 마치 서로 祕密을 共有한 듯 그 作品에 對한 愛着이 생기고, 沒入과 理解의 幅도 한 뼘 더 넓어진다. 알면 달리 보이기 始作하는 것이다. 

    飮食도 마찬가지다. 一名 ‘먹放’이 우리에게 주는 기쁨을 꼽자면 于先 맛있는 情報를 共有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만든 사람의 精誠, 材料의 特色, 調理의 絶妙함 等 飮食에 담긴 여러 意味도 알게 된다. 우리 周邊에는 다양한 뒷이야기를 가진 飮食이 無窮無盡하다. 그中 ‘파스타’는 巨大하고 재미있는 이야기褓따리를 짊어진 魅力的인 飮食이다. 우리가 잘 아는 스파게티가 바로 파스타의 한 種類다. 파스타의 故鄕은 이탈리아高, 各 地域의 工場과 商店, 家庭에서 다양한 模樣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수많은 파스타에는 그 數만큼 많은 이름이 있는데, 제各各 意味도 다르다.

    다양한 이름과 模樣의 파스타

    스파게티(spaghetti)는 모두 알다시피 국수처럼 생겼다. 스파게티라는 이름은 이탈리아語로 ‘끈’이라는 意味인 스파高(spago)에서 왔다. 실처럼 얇은 가닥의 카펠리 단젤로(capelli d’angelo)는 ‘天使의 머리카락’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麵발이 너무 얇아 料理하기 宏壯히 까다롭지만 纖細한 食感이 魅力的이다. 이탈리아 食堂에서 봉골레 파스타로 자주 만들어지는 링귀네(linguine)는 ‘작은 혓바닥’이라는 意味다. 스파게티 面은 斷面이 圓形인데, 링귀네는 面을 살짝 눌러 납작하게 만든다. 그래서 斷面이 正말 작은 혓바닥처럼 생겼다. 크림소스와 즐겨 곁들이는 탈리아텔레(tagliatelle)는 ‘자르다’라는 뜻의 탈리아레(tagliare)에서 왔다. 우리 飮食으로 치면 칼국수와 같다. 탈리아텔레는 이탈리아 中北部 都市 ‘볼로냐’가 故鄕이다. 너비가 1~1.5cm며, 달걀을 많이 넣어 반죽해 노란 빛깔을 띠고 쫄깃하다. 탈리아텔레가 北部地域으로 올라가면 페투치네(fettuccine)라는 다른 이름을 갖는다. 겨우 몇 가지 大衆的인 파스타를 알아봤을 뿐인데, 벌써 꽤 複雜하다. 파스타는 만드는 사람, 들어가는 材料의 比率, 生産되는 地域에 따라 같은 模樣이라도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같은 이름인데 다른 模樣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生파스타를 맛보고 工夫할 수 있는 ‘파스타 工作所’

    1 생파스타를 만들고 있는 노순배 셰프. 2 키타라보다 더 가느다란 면인 키타리나. 3 키타리나 면. [사진 제공·김민경]

4 키타리나 면으로 
만든 해물파스타.

    1 生파스타를 만들고 있는 노순배 셰프. 2 키타라보다 더 가느다란 面인 키他리나. 3 키他리나 面. [寫眞 提供·김민경] 4 키他리나 綿으로 만든 海物파스타.

    周邊에도 파스타를 直接 만들어 料理하는 이가 꽤 있다. 반죽을 만들어 模樣을 빚고 바로 料理해 먹을 수 있는 것을 흔히 ‘生파스타’라고 한다. 生파스타로 즐겨 만드는 料理는 앞서 말한 탈리아텔레, 소스와 파스타를 켜켜이 쌓는 料理에 적합한 라자냐(lasagna), 달걀노른자만 넣어 샛노랗게 반죽하는 他야린(tajalin), 饅頭처럼 소를 넣어 빚는 라비올리(ravioli) 等이다. 生파스타에 關心 있거나 제대로 맛보고 싶다면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자리한 ‘파스타 工作所’에 가보길 勸한다. 

    이곳 셰프이자 主人丈의 이름은 알폰소(Alfonso), 韓國 이름은 노순배다. 오랫동안 이탈리아 料理를 만들고 있는 盧 셰프는 8年餘 前부터 生파스타에 푹 빠져 있다. 數次例 이탈리아 全域으로 파스타 紀行을 다녀왔고, 現地 할머니를 包含해 파스타 匠人들로부터 祕法을 배웠다. 파스타 道具를 만드는 技術者와도 因緣을 맺었다. 數年 동안 工夫하고 經驗한 內容을 冊으로도 펴냈고, 마침내 自身만의 工作所를 만들어 無窮無盡한 파스타 스토리를 펼치고 있다. 




    1 길이가 짧은 여러 가지 생파스타. 2 베틀과 흡사한 틀로 모양을 내는 가르가넬리. 3 노순배 셰프의 이름인 ‘알폰소’가 새겨진 파스타 도구. [사진 제공·김민경]

    1 길이가 짧은 여러 가지 生파스타. 2 베틀과 恰似한 틀로 模樣을 내는 가르街넬리. 3 노순배 셰프의 이름인 ‘알폰소’가 새겨진 파스타 道具. [寫眞 提供·김민경]

    ‘파스타 工作所’에는 이탈리아 旅行 中에도 쉽게 볼 수 없는 珍奇한 파스타 道具들이 가득하다. 直接 만난 여러 丈人을 통해 蒐集한 것으로, 노 셰프는 이 道具들을 使用해 生파스타를 만든다. 우리나라 베틀과 模樣이 恰似한 틀로 만드는 ‘가르街넬리(garganelli)’라는 파스타가 있다. 틀로 반죽을 꾹 누르면서 데구루루 굴려가며 만들기에 반죽 겉에 촘촘한 홈이 생긴다. 料理할 때 그 홈으로 소스가 잘 스며들게 된다. 가르街넬리는 ‘食道’라는 뜻의 가르街넬(garganel)에서 온 말이다. 힘 調節이 매우 重要한 ‘誤레키에테(orecchiette)’는 ‘작은 귀’라는 뜻인데, 파스타 模樣이 꼭 귓불처럼 생겼다. 쫄깃하고 獨特한 形態 때문에 양념이 잘 묻어 어떻게 料理해도 大體로 맛있다. 노 셰프가 個人的으로 가장 좋아하는 파스타는 ‘키타라(chitarra)’다. 같은 이름인 키타라라는 道具로 만드는데, 여러 가닥의 기타 줄을 팽팽하게 걸어둔 것처럼 생겼다. 얇게 편 반죽을 키타라 위에 놓고 밀대로 꾹꾹 누르면 줄 사이로 반죽이 하늘하늘 가늘게 떨어진다. 本來 이름은 ‘키타라로 만든 스파게티’인데 줄여서 ‘키타라’로 通한다. 

    ‘파스타 工作所’는 食事時間에는 食堂으로 運營되고, 그 外에는 파스타를 工夫하고 가르치는 空間으로 使用된다. 食事 메뉴는 當然히 노 셰프가 直接 만든 生파스타가 中心이다. 반죽을 低溫 熟成시켜 쫄깃한 맛이 一品인 로마式 팔라피자도 있다. 食堂에서 使用하는 살時差(이탈리아式 소시지)와 판체타(이탈리아式 베이컨) 亦是 모두 盧 셰프가 一一이 만든 것이다. 或是 이곳에 가게 된다면 ‘스트로車프레티’ ‘末路레두스’ 따위의 暗號로 櫓 셰프에게 말을 걸어보길 勸한다. 맛있는 파스타 이야기와 그보다 더 맛있는 파스타 料理를 膳賜받을 것이다.

    노순배 ‘파스타 工作所’ 셰프

    [사진 제공·김민경]

    [寫眞 提供·김민경]

    生파스타의 魅力은? 

    “오랫동안 件파스타 料理를 數없이 만들어왔지만 마음 便히 먹지 못했다. 집안 代代로 胃腸이 弱해 消化를 잘 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生파스타는 乾播스타보다 消化 負擔이 적다. 속이 便해 즐겨 만들기 始作했는데 氣分 좋은 食感, 소스와 弔花, 無窮無盡한 形態, 多樣한 반죽 比率의 妙味를 알게 되면서 더욱 깊이 빠져들었다.” 

    파스타 授業은 누구나 들을 수 있나. 

    “初步者와 熟鍊된 料理師는 區分해 授業한다. 授業을 통해 料理를 못 하는 사람은 파스타를 만드는 經驗을 해보길, 料理에 能熟한 이는 파스타의 더 넓은 世界를 알아가길 바란다. 生파스타는 소스와 宮合이 매우 重要하다.” 

    파스타 工作所 서울 麻浦區 월드컵北路42가길 24 1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