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 世代는 어떻게 ‘五月 光州’를 對面하는가|주간동아

정민아의 시네똑똑

젊은 世代는 어떻게 ‘五月 光州’를 對面하는가

강상우 監督의 ‘金君’

  • 映畫評論家·성결대 敎授

    yedam98@hanmail.net

    入力 2019-05-27 10:00: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사진 제공 · 1011 필름]

    [寫眞 提供 · 1011 필름]

    ‘第1광수’로 불리는 사나이가 있다. 흐릿한 黑白寫眞 속 그를 보고 一群의 사람은 北韓軍의 5·18 民主化運動 介入說을 굳게 믿는다. 또 어떤 사람들은 그를 ‘金君’이라고 稱한다. 

    다큐멘터리 ‘金君’은 그렇게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눈매가 날카로운 한 사나이를 追跡한다. 여러 時間帶와 人物을 經由해 하나의 眞實에 到達하고자 하는 이 다큐멘터리는 憐憫과 憤怒를 넘어 一定 程度 距離를 두면서 차근차근 實體에 接近해간다. 

    ‘中央日報’ 寫眞記者였던 이창성은 2008年 寫眞集 ‘28年 만의 約束’을 發刊했다. 映畫는 이창성이 1980年 5月 光州에서 목숨을 걸고 찍은 寫眞 가운데 탱크에 올라선 채 兩손으로 機關銃을 잡고 카메라를 쏘아보는 한 20代 市民軍의 모습을 담은 黑白寫眞으로 始作한다. 

    極右論客 池萬元은 寫眞 속 人物을 5·18 民主化運動을 背後에서 主動한 北韓 特殊軍 1號, 이른바 ‘第1광수’라고 主張한다. 根據는 寫眞 속 人物의 耳目口鼻가 金昌植 前 北韓 農業上과 엇비슷하다는 게 다이다. 

    이창성의 필름에는 金君이 여러 次例 登場했지만 1980年 5月 以後 그의 行跡은 五里霧中이다.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도, 그를 찾는 사람도 없다. 강상우 監督은 金君을 아는 사람들을 찾아 나섰고, 그 過程에서 하나하나 퍼즐을 맞춰나간다. 그는 果然 北韓軍 광수일까, 아니면 市民軍 金君일까. 



    5·18 民主化運動 當時 21歲 妊産婦였던 珠玉은 展示會를 觀覽하던 中 그를 알아보고 소스라치게 놀랐다. 市民軍 트럭에 주먹밥을 실어 나르면서 金君과 마주쳤던 記憶이 났기 때문이다. 아버지 가게의 단골손님이던 그를 아버지는 金君이라고 불렀다. 珠玉은 그를 광주천 先天다리 밑에 살던 넝마주이 靑年으로 알고 있었다. 

    ‘第36광수’이자 北韓 權力 序列 2人者인 최룡해 國務委員會 第1副委員長으로 指目된, 當時 19歲였던 양동남은 金君과 같은 트럭을 타고 抵抗한 市民軍이었다. 映畫는 이렇게 한 사람, 한 사람 찾아 나서면서 金君의 實體에 다가선다. 口述 資料, 抗爭 寫眞과 記錄 映像, 國內外 言論 報道, 硏究書와 論文을 蒐集하고 이를 바탕으로 寫眞을 時間 順으로 엮어 敍事가 漸次 完全하게 構成된다. 5·18 民主化運動 以後 자취를 감춘 市民軍 中에는 孤兒, 구두닦이, 넝마주이도 있었다. 이들은 사람이 하나 둘 죽어나가는 現場에서 누구보다 앞장섰지만 緣故가 없기에 申告되지 않았다. 그래서 이들은 犧牲者 統計에서도 漏落됐고, 所聞으로만 登場하고 사라지다 때로는 陰謀의 아이콘으로 消費됐다. 

    歷史 發掘 現場에서 金君을 찾는 것은 假說과 證據로 歷史의 틈새를 메우는 作業이다. 이렇게 構築된 한 市民軍의 敍事는 幽靈처럼 登場하고 사라지던 歷史 속 人物을 具體的인 몸과 목소리를 가진, 證言하는 主體로 만든다. 强烈했던 抗爭의 時間을 거치며 트라우마와 身體的 苦痛을 안은 채 살아남았다는 安堵感, 罪責感으로 數十 年을 견뎌낸 수많은 얼굴, 그들 모두가 金君이다. 

    映畫는 剝製化된 歷史를 생생하게 살아 있는 敍事로 만들어낸 젊은 世代의 ‘光州 記憶하기’이며, 이웃이 죽어가는 것을 볼 수 없던 民草들이 스스로를 불태운 아름다운 記憶의 採錄集이다. 民主主義 社會에서 侮辱당하지 않을 權利에 對해 다시금 생각해본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