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있는 그대로, 보이는 그대로|週刊東亞

週刊東亞 1131

..

冊 읽기 萬步

있는 그대로, 보이는 그대로

朝鮮時代 肖像畫에 담긴 놀라운 皮膚의 祕密

  • 入力 2018-03-27 11:36:3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이성낙 지음/ 눌와/ 224쪽/ 1만8000원

    肖像畫, 그려진 선비精神 이성낙 지음/ 눌와/ 224쪽/ 1萬8000원

    ‘그림1’과 ‘그림2’를 보자. 그림 속 人物은 同一人일까. 2000年代 初 이를 둘러싸고 美術史學界에서 論難이 일었다. 多數說은 ‘그림1’李 할아버지 이재(李縡?·?1680~1746)이고, ‘그림2’가 孫子 이채(李采?·?1745~1820)라는 것이었다. ‘그림2’에는 主人公이 이채라는 것을 알 수 있는 글이 적혀 있지만 ‘그림1’에는 아무런 說明이 없었기 때문이다. 고(故) 오주석 美術史學者는 同一人이라고 確信했지만 決定的 證據를 찾지 못했다. 그런 그에게 亞州大 義務副總長 等을 지낸 著名한 皮膚科 醫師 이성낙 博士가 答을 줬다. 

    ‘그림3’과 ‘그림4’를 보자. 두 肖像 모두 正確히 같은 部位에 검정콩 半쪽 크기의 납작한 點이 있다. 點은 遺傳되지 않는다. 또 왼쪽 눈꼬리를 보면 도톰한 脂肪腫이 있는데 亦是 遺傳되지 않는 稀貴疾患이라는 것이다. 이런 皮膚病變을 볼 때 ‘그림1’과 ‘그림2’는 이채라는 것이 이 博士의 結論이었다. 

    李 博士가 그림만 보고 明快한 結論을 내릴 수 있었던 것은 朝鮮時代 肖像畫가 ‘털 하나, 머리카락 하나라도 다르게 그리면 그건 다른 사람이다’라는 原則 아래 그려졌기 때문이다. 肖像畫를 그릴 程度의 人物은 大部分 有力者임에도 얼굴 短點을 ‘뽀샵’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하나도 빼놓지 않고 그린 것이다. 甚至於 朝鮮을 開國한 太祖의 御眞에도 오른쪽 눈썹 위에 작은 혹을 加減 없이 그려 넣었다. 

    著者인 이성낙 博士는 朝鮮時代 肖像畫 519點 가운데 判讀이 可能한 368點을 仔細히 調査했다. 그 結果 268點에서 點, 검버섯, 天然痘 흉터, 여드름 흉터, 白斑症, 慢性 肝疾患에 依한 黑色黃疸 等 20餘 種의 皮膚病變을 發見했다. 이 冊은 그中에서 代表的인 그림 18點을 紹介하고 있다. 

    같은 東아시아지만 中國과 日本은 이토록 仔細히 얼굴을 그리지 않았다. 大槪 祖上 崇拜用이나 權力 誇示用으로 그렸기에 短點을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같이 世界的으로 獨特하고 獨步的인 朝鮮時代 肖像畫를 著者는 ‘선비精神의 발로’라고 解釋한다. 美化하지 않는 鄭職銜, 얼굴에 담긴 精神까지 表現하려 한 올곧음 等이 이런 肖像畫를 낳았다는 것이다. 



    著者는 오랫동안 肖像畫의 皮膚病變에 穿鑿해왔지만 더 深化된 硏究를 위해 70代에 大學院 美術史學科를 들어가 2014年 76歲에 博士學位를 받았다. 

    冊에는 國寶로 指定된 ‘尹斗緖 自畫像’(1710)과 유럽에서 細密한 肖像畫로 有名한 ‘알브레히트 뒤러 自畫像’(1500) 中 어느 것이 더 精巧했는지를 털의 個數로 比較하는 等 흥미로운 內容이 여럿 들어 있다. 勿論 尹斗緖 自畫像의 勝利.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