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샤워 하우스’에 租稅 레이디가 살았다”|주간동아

週刊東亞 855

..

“‘샤워 하우스’에 租稅 레이디가 살았다”

朝鮮人 慰安婦 痕跡 찾기, 太平洋戰爭 激戰地 사이판·팔라우를 가다

  • 이혜민 記者 behappy@donga.com

    入力 2012-09-14 16:45: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샤워 하우스’에 조센 레이디가 살았다”

    김영길 사이판 가이드가 \'挺身隊 洞窟\'이라 불리는 곳의 淵源을 說明하고 있다.

    “파라오(팔라우)에 간 지 1年쯤 있다가 戰爭이 났다. 하루에 20, 30名이 普通이었다. 土曜日과 日曜日에는 줄을 길게 서서 軍人이 옷 벗을 사이도 없이 벨트를 풀어 銃대 옆에 놓고 당고바지 단추를 풀곤 했다. 質이 너무 부어서 들어가지 않으면 男根에 緣故를 바른다. 그러면 미끄덩거려서 들어갔다. 들어오자마자 싸는 놈, 밖에서 싸는 놈, 커튼 열고 들어와 빨리 가라고 끄집어내는 놈도 있었다. 어떤 때는 銃대로 얼굴을 때렸다. 軍人을 받은 다음엔 精神이 없었다. 일어나려고 하는데 몸이 말을 듣지 않고 사타구니 兩쪽이 툭 터져서 그냥 피고름이 나왔는데, 子宮 안에 생긴 고름이 썩은 後 부풀어 저절로 터진 것이었다. 다리도 부었다. 밑이 뒤집어져서 大小便도 못 봤다.”(강무자·가명)

    慰安婦 實態調査 未洽

    “‘샤워 하우스’에 조센 레이디가 살았다”

    사이판 老人亭에서 만난 호세 아이토레서(왼쪽), 萬요엘 알 메사 氏는 “朝鮮人 慰安婦가 사이判에 살았다”고 證言했다.

    8月 27日 日本 노다 요시히코 總理가 “日本이 日本軍慰安婦를 强制로 動員한 證據가 없다”고 發言해 우리 國民을 刺戟했다. 이에 駐韓 日本大使館 앞에서 21年 동안 ‘水曜集會’에 參席하며 日本 政府의 謝過를 促求하고 있는 慰安婦 할머니들은 “나만큼 더 確實한 證據가 어디 있느냐”며 거세게 抗議했다. 하지만 歷史의 證人인 慰安婦 할머니는 그 數가 漸漸 줄고 있다. 강무자 할머니 또한 亡人이 돼 ‘强制로 끌려간 朝鮮人 慰安婦들 證言集 2’(한울)를 통해 證言할 뿐이다.

    팔라우. 日本은 1914年 괌과 파푸아뉴기니 사이에 位置한 이곳을 占領한 뒤 南洋群島(1914~45年 日本의 委任統治를 받은 적도 以北의 中部太平洋 地域) 統治機構인 南陽廳을 設置해 南太平洋 進出을 圖謀했다. 朝鮮人 勞務者 6000餘 名을 飛行場 等 軍事施設 工事에 投入한 것도 그 때문이다(상자 記事 參考).

    하지만 이곳에서 벌어진 펠렐리우 戰鬪, 秧歌우르 戰鬪, 美 海軍 第58機動艦隊의 팔라우 攻襲 等으로 朝鮮人을 包含한 日本軍 4萬餘 名이 死亡했다. 팔라우 隣近의 사이판(現 美國領)에서도 熾烈한 戰鬪가 벌어졌다. 美軍이 日本軍 司令部가 있던 사이判을 占領하기 위한 作戰에서 日本軍 3萬餘 名과 美軍 3000餘 名이 戰死했다. 사이판 隣近 티니언 섬(現 美國領)은 原子爆彈을 실은 爆擊機가 發進한 곳으로 有名하다.



    그렇다면 太平洋戰爭의 激戰地였던 이곳에 强制 動員된 朝鮮人 慰安婦는 몇 名이나 될까. 오랫동안 慰安婦 問題를 硏究해온 정진성 서울대 社會學科 敎授는 “日本이 팔라우에 南陽廳을 두고, 南洋群島에서 慰安所 行政管理를 管掌한 데다 日本軍이 戰線을 擴大하면서 朝鮮人 慰安婦를 大規模로 動員했을 것”이라고 診斷하면서도 “그 規模를 把握하기는 어렵다”고 說明했다.

    現在까지 이 地域 慰安婦 實態 調査는 未洽한 狀態. 2001年 發刊한 ‘日本軍 慰安婦 問題의 責任을 묻는다’(풀빛)에 兆최혜란 韓國挺身隊硏究所 硏究院이 現地 調査報告書를 내고, 海外犧牲同胞追念事業會가 1995年 踏査를 進行했을 뿐이다. 記者는 이런 理由로 9月 3~7日 사이판, 팔라우 地域에 머물며 慰安婦 痕跡 찾기에 나섰다.

    9月 3日 사이判에 到着한 뒤 먼저 ‘水曜集會’ 1000回 記念으로 사이판 現地에서 同時 集會를 進行한 김영길 氏를 만났다. 事實上 사이判의 朝鮮人 慰安婦에 對한 資料는 全無한 狀態라 僑民들이 ‘挺身隊 洞窟’이라고 부르는 곳부터 찾았다. 라오라오 베이로부터 150餘m 떨어진 이 洞窟은 깊이 10餘m, 길이 30餘m에 達했다. 들어가 보니 그 안에는 人爲的으로 洞窟을 판 痕跡뿐 아니라 洞窟 안에 房처럼 보이는 空間 서너 個가 있었다. 觀光가이드들은 1990年代부터 정글투어 코스에 이곳을 넣어 “房처럼 보이는 空間에 慰安婦들이 들어가 日本軍과 强壓的으로 性關係를 맺었다”고 說明해 왔다.

    하지만 記者는 洞窟 淵源에 對한 間接 證言조차 確保할 수 없었다. 사이판 移民開拓 世代에 屬하는 임재열 사이판韓人會 副會長은 “1980年代에 移民을 왔는데, 精神對 洞窟 안에 野戰寢臺가 있었고 洞窟 밖에 鐵窓이 있다는 證言만 들었을 뿐 正確한 건 모른다”고 말했다. 觀光가이드 1世代들조차 “慰安婦가 登場하는 드라마 ‘黎明의 눈瞳子’를 이곳에서 撮影한 뒤 觀光 코스가 된 것 같다”(이는 事實과 다르다. 드라마 ‘黎明의 눈瞳子’는 필리핀에서 撮影했다), “洞窟을 彈藥庫로 썼다고 들었다”고만 答했다. 이 같은 前言만 亂舞해 慰安婦 存在에 疑問을 갖자 김영길 氏는 “많은 軍人이 있었던 곳에 慰安婦가 없었을 理 없다”면서 “痕跡이 없다면 모두 沒殺됐을 蓋然性이 크다”고 主張했다.

    뒤이어 兆최혜란 硏究者가 現地 調査한 카라베라 洞窟로 向했다. 當時 사이판 僑民人 임윤재 長老는 硏究者에게 “이곳에 慰安所가 있다는 말을 現地人에게 傳해 들었다”고 證言한 바 있다. 車를 타고 ‘挺身隊 洞窟’에서 홈이 깊게 파인 흙길을 40餘 分 동안 달려 到着했지만 외진 곳이라 마을 사람을 찾아볼 수 없었다(기자가 韓國에 머무는 임 長老에게 關聯 內容을 묻자 그 以上은 모른다고 答했다).

    티니언視 高位 公職者 匿名 要求

    “‘샤워 하우스’에 조센 레이디가 살았다”

    朝鮮人 慰安婦가 性病 檢査를 하러 訪問한 팔라우 코롤病院 은 팔라우地域專門大學으로 變했다.

    9月 4日 5分餘 동안 輕飛行機를 타고 사이판에서 5km 떨어진 티니언 섬에 到着해 證言者를 物色했다. 티니언 섬 僑民人 신창수 氏 案內로 老人 서너 名의 집을 찾아갔지만 朝鮮人 慰安婦를 아는 사람은 없었다. 以後 티니언 섬에 對한 歷史冊을 쓴 돈 패럴(Don A. Farrell) 氏를 찾아가 慰安婦에 對해 묻자 “이 事案에 關心이 없어서 調査해보지 않았지만 티니언 섬에 朝鮮人 慰安婦는 分明 있었을 것”이라고 確信했다. 때마침 패럴 氏를 찾아온 티니언視 高位 公職者에게도 같은 質問을 던지자 대수롭지 않은 表情으로 “우리 아버지는 티니언 土박이인데 어린 내게 韓國 慰安婦 女性이 많이 살았다고 알려줬다”고 말했다. 드디어 證言者를 찾았다고 생각했지만 지난週 業務上 日本을 다녀왔다는 그는 期於코 이름을 밝히지 않았다.

    이튿날 사이판 老人 70餘 名이 낮에 찾아온다는 ‘마낭코’(Man’amko·老人亭)로 向했다. 사이판 現地 原住民의 證言을 들으려고 앞으로 이 事案을 取材해보겠다는 ‘사이판타임스’(사이判 僑民新聞) 최민석 記者가 同行했고, 어렵지 않게 證言을 들을 수 있었다.

    “戰爭 前 韓國 女性들이 비즈니스(老人은 性賣買라고 表現하지 않고 에둘러 말했지만 비즈니스가 性賣買를 뜻하는지 묻자 그렇다고 答했다)를 하려고 1000餘 名이 왔다. 오키나와人, 日本人, 韓國人 女性이었다. 가라판(사이判 中心街) 地域에 主로 살았다. 이들은 各各 다른 집에서 살았다.”(호세 아이토레서·89)

    “當時 나는 어려서 朝鮮人 慰安婦를 본 記憶이 없다. 하지만 아버지가 어린 내게 朝鮮人 慰安婦 女子들이 周邊에 산다고 말했다.”(만요엘 알 메사·71)

    뒤이어 太平洋戰爭博物館으로 向해 第2次 世界大戰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檢索한 結果, 慰安婦와 關聯된 資料로 ‘洞窟 안에서 죽은 日本人 女子’ 寫眞을 發見할 수 있었다. 勿論 寫眞 속 主人公이 日本 女性일 수도 있지만 當時 朝鮮人이 日本人에 包含됐던 만큼 朝鮮人 慰安婦日 蓋然性 또한 排除할 수 없다.

    9月 5日 午後 5時 사이판에서 出發해 괌에서 飛行機를 갈아타자 밤에 팔라우에 到着했다. 取材할 수 있는 期間은 다음 날 하루뿐이었지만 강무자, 李相玉, 강순애 氏의 證言이 있어 痕跡 찾기는 比較的 수월할 듯했다.

    다음 날 아침 하순섭 海外犧牲同胞 追念事業會 팔라우 支部長의 案內로 코롤 市內 慰安所 터부터 찾았다. 이곳이 바로 강무자 할머니가 “軍人들이 데리고 간 집은 코롤 病院 뒤에 있는 慰安所였다. 看板이 漢字로 쓰여 뭐라고 돼 있는지 몰랐다. 집은 四角形인데 放은 30個가 넘었다. 그들은 房 서너 個를 터서 하나로 만들더니 우리에게 들어가라고 했다”고 말한 그 場所일 듯했다.

    韓國 女性 카後에라고 불러

    “‘샤워 하우스’에 조센 레이디가 살았다”

    “팔라우 코롤 市內에 朝鮮人 마사지 레이디가 있었다”고 證言한 토마스 오바 氏.

    때마침 周邊을 걸어가던 토마스 오바(73) 氏에게 朝鮮人 慰安婦에 對해 묻자 그는 “이곳 마사지 業所에 租稅 마사지 레이디가 살았다”면서 隣近 茶집에 있는 80代 親舊를 紹介했다. 이 老人은 匿名으로 인터뷰하면 內容을 알려주겠다고 했는데, 住民들은 匿名을 固執하는 理由에 對해 “팔라우가 작아서 이름이 나오면 누군지 今方 알아 損害 볼 수 있기 때문”이라고 귀띔했다.

    “우리는 그곳을 ‘샤워 하우스’라고 불렀다. 거긴 오직 日本軍人만 들어갈 수 있었다. 팔라우 原住民은 갈 수 없었다. 그들은 이걸 (自身의 손을 두 손으로 맞잡아 치면서) 하려고 갔다. 女子들은 日本 政府가 데려왔다. 안에서 샤워하게 시켰다. 그런 女子들은 只今은 팔라우地域專門大學(Palau Community College)의 前身인 코롤 病院에도 있었다.”

    그가 指目한 팔라우地域專門大學을 찾아가 確認하자 그곳은 現在 大學 建物의 核心 本部로 使用 中이었다. 투티 漆튼 學士處長을 만나 慰安婦에 對해 묻자 그 內容은 처음 듣는다고 했다. 結局 故人이 된 李相玉 할머니가 ‘强制로 끌려간 朝鮮人 慰安婦들 證言集1’(한울)에 남긴 “陸軍 卒兵이 가슴, 팔, 발을 칼로 찔러 病院에 入院한 뒤 日本人 軍醫官의 도움으로 看護助務士 구실을 했다”는 말을 떠올리며 그 實態를 斟酌하는 수밖에 없었다.

    “一週日에 한 番씩 100名이 넘는 女子가 檢査를 받으러 왔다. 朝鮮 女子가 50名 程度 됐다. 病院에 있으면서 팔라우에는 日本 遊廓과 朝鮮 遊廓이 各其 하나씩 있다는 것을 알았다. 病이 있는 女子들은 喇叭管에 고름이 생겨서 잘 빠지지 않았다. 10名 以上이 늘 入院해 治療를 받았다. 增稅가 덜한 女子는 2, 3日 만에 나가고 甚한 女子들은 한 달 程度 있었다. 檢査하면서 보니 애기를 낳은 經驗이 있는 사람도 있었다.”(이상옥)

    “‘샤워 하우스’에 조센 레이디가 살았다”

    팔라우 國旗와 함께 日本 國旗가 그려진 팔라우 老人亭 버스.

    漠然한 期待를 안고 팔라우 地域文化社會局(Ministry of Community&Cultural Affairs)을 찾았다. 原住民 歷史를 記錄한다는 한 調査員은 “日本 政府로부터 支援받는 것이 많기 때문에 이름이 露出되는 걸 願치 않는다”면서 “느가드마우(Ngarmau)에 사는 83歲 팔라우 女性이 性을 파는 조선인 女性들이 살았다고 말했던 것이 기억난다”고 말했다. 記者의 要請에 그는 그 女性과 通話 後 “當時 팔라우 原住民은 日本 女性을 난카이로, 韓國 女性을 카後에라고 불렀다”는 證言을 더해줬다. 앞으로 이 內容을 持續的으로 찾아보겠다는 그를 뒤로하고 코롤 市內에서 이를 記憶할 만한 老人을 만나기 위해 老人亭을 찾아갔지만 證言은 들을 수 없었다. 다만 팔라우 老人亭 봉고차에 그려진 日本 國旗가 보였다.

    나흘間의 짧은 取材 日程에서 잃어버린 歷史 痕跡을 찾았음에도 韓國으로 돌아오는 마음은 便치 않았다. 어느 누구도 제대로 整理하지 않아 버려진 南太平洋 朝鮮人 慰安婦들의 痕跡을 살펴보니 “記憶되지 않은 歷史는 反復된다”는 名言이 귓전에 맴돌았다.

    一齊强制動員犧牲者 遺族 사이판·팔라우 秋도순례

    난生처음 “아버지!” 외치고 말을 못 이어…


    “아버지… 일흔 해 前 시골집에서 옹알이하던 소리가 이젠 깨진 臺 퉁소에서 나는 쉰 소리가 돼 처음 아버지라 불러봅니다. 每番 불러봤지만 그 소리는 메아리조차 삼켜버리고 하늘 저便으로 빗겨나고 말았습니다. 그 五臟에 맺힌 絶叫가 하늘을 깨우치고 땅을 明洞시켜 오늘 우리가 追悼 巡禮를 오게 돼 울부짖습니다.”

    9月 6日 팔라우 韓國人 慰靈塔 앞에서 國務總理 所屬 對日抗爭機 强制動員 被害調査 및 國外 强制動員 犧牲者 等 支援委員會(以下 强制動員委員會)의 進行으로 日帝强占期에 强制 動員된 朝鮮人을 기리는 追悼祭가 열렸다.

    김국환(72) 氏는 9月 4日 사이判에 到着한 遺族들이 韓國人平和追念塔에서 追悼祭를 지내며 아버지를 부르고 嗚咽할 때도 꿋꿋했다. 慶北 大邱에서 個人택시를 運轉한다는 그는 태어나 처음으로 아버지에게 便紙를 드리게 됐다면 설렌다고 했다. 그의 아버지인 故(故) 김위석(1897年生) 氏는 五男妹 中 막내인 김국환 氏가 돌 무렵인 1941年 日帝에 强制 動員돼 팔라우에 있던 亂요 알루미늄鑛業(週) 팔라우鑛業所 鑛區에서 勞務者로 일하다 死亡해 그의 목소리조차 제대로 듣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個人的으로 팔라우를 두 次例 찾아와 아버지의 痕跡을 되짚었던 그는 追悼祭가 始作되자 壇上에 올라 “아버지!” 單 한마디만 외치곤 말을 잇지 못했다. 난生처음 아버지를 부르는 탓에 눈물이 앞을 가렸던 것이다. 結局 進行 要員이 代身 便紙를 읽었고, 이런 金氏를 보면서 사이판, 팔라우 等 南洋群島 地域에서 父母나 兄弟를 잃어 追悼巡禮에 同參한 遺族 18名은 소리 없이 눈물을 훔쳤다.

    金氏처럼 日帝强占期에 父母, 兄弟가 南洋群島에 强制 動員돼 强制動員委員會에 被害 申告를 接受한 사람은 1萬6000餘 名. 强制動員委員會는 2006年부터 每年 1~2回씩 秋도순례 申請者 가운데 地域別 抽籤을 통해 ‘日帝 强制動員 犧牲者 遺族 海外 秋도순례’를 進行하는데, 사이判과 팔라우 地域은 2006年에 訪問한 데 이어 이番이 두 番째다.

    强制動員委員會가 이 地域에 傍點을 둔 것은 避해 規模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2007年과 2008年 두 次例에 걸쳐 南洋群島 現地 調査를 통해 作成한 ‘南洋群島 地域 韓人 勞務者 强制動員 實態에 關한 調査’에 따르면, 南洋群島 韓人 居住者는 1941年 當時 6000名에 肉薄했다. 南洋群島 調査 責任者인 김명환 强制動員委員會 調査官은 “南洋群島를 管轄한 南陽靑(팔라우 素材)에 依해 韓人 勞務者 供給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南陽廳과 各 會社에서 動員한 勞務者 數와 韓人 增加 數가 一致한다”고 說明했다. 實際로 日本은 朝鮮人을 南洋群島에서 港口, 道路公社 같은 土木工事와 沙糖수수農場 勞動者로 大擧 動員했다.

    하지만 遺族들에게 略式으로나마 祭祀를 지낼 수 있게 해 마음의 짐을 덜어주는 追悼祭는 더는 進行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强制動員委員會 任期가 올해 末로 終了되기 때문이다. 追悼巡禮에 同參한 박인환 强制動員委員會 委員長은 “委員會 力量이 不足해 罪悚하다”면서 “强制 動員 死亡者들의 遺骸를 收拾하지 못한다 해도 忠南 天安에 있는 ‘望鄕의 동산’에 나라를 위해 犧牲된 强制 動員者의 位牌를 모시는 일까지는 마치고 싶다”고 밝혔다.

    이에 對해 박동현(71) 氏는 “우리 政府가 日帝强占期에 强制 徵用된 사람들의 눈물 값으로 韓日協定을 맺어 日本 政府로부터 有償, 無償 援助를 받았는데도 被害者 遺族들을 헌신짝 取扱한다”며 憤痛을 터뜨렸다. 强制 動員 被害者 支援金으로 1人當 2000萬餘 원을 支給했지만 그것만으로 아픔을 治療할 수 없다는 說明이다.

    “아버지가 1941年 南洋群島 地域에서 死亡하자 어머니가 再婚하는 바람에 나는 아홉 살 때부터 떠돌았다. 多幸히 軍에 自願入隊해 3男 1女를 키웠지만 돌이켜보면 父母가 없어서 힘들었던 瞬間이 많았다. 아버지 한 사람이 없어서 家族 모두가 받는 苦痛은 當하지 않은 사람은 모른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