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伴侶犬과 아기 단둘이 두는 건 危險|週刊東亞

週刊東亞 1439

..

伴侶犬과 아기 단둘이 두는 건 危險

[최인영의 멍냥대백과] 스스로 몸 가눌 수 없는 아기, 伴侶犬이 기대거나 안겨도 못 밀어내

  • 최인영 러브펫動物病院腸

    入力 2024-05-14 09: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 伴侶動物에게도 ‘올바른 養育’이 必要하다. 健康管理부터 問題 行動 矯正까지 伴侶動物을 잘 기르기 위해 알아야 할 知識은 無窮無盡하다. 伴侶動物行動醫學 專門家인 최인영 獸醫師가 ‘멍냥이’ 養育에 關한 모든 것을 알려준다.
    家族에게 아기가 태어나는 等 새 食口가 생기면 保護者도 여러 가지로 혼란스럽지만 伴侶犬 亦是 唐慌하게 됩니다. 이때 伴侶犬이 겪게 될 困難을 理解하고 그로 인해 發生할 수 있는 危險을 訓鍊을 통해 最大限 豫防하는 게 무엇보다 重要합니다.

    人形, 아기用·伴侶犬龍 區分 必要

    아기가 태어나면 아기가 집에 오기 전 반려견이 아기의 존재를 인식하고 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 [GETTYIMAGES]

    아기가 태어나면 아기가 집에 오기 前 伴侶犬이 아기의 存在를 認識하고 好感을 가질 수 있도록 環境을 造成해줘야 한다. [GETTYIMAGES]

    집안에 아기가 태어났다면 아기를 집으로 데려오기 前 伴侶犬이 앞으로 變化하게 될 生活 스케줄에 먼저 適應하도록 훈련시키는 게 좋습니다. 保護者가 아기 돌보기를 中心으로 生活하다 보면 伴侶犬에게 飼料나 間食을 주고, 빗질 또는 양치를 해주고, 散策을 나가고, 장난감으로 놀아주는 일을 特定 時間에만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事前에 練習시킴으로써 伴侶犬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해주는 겁니다. 例를 들어 散策 時間을 午前 8時와 午後 8時로 固定하고, 하루 中 伴侶犬의 要求에만 集中하는 5~10分 時間을 서너 番 程度 確保하는 겁니다. 짧지만 確實하게 交感하는 時間을 定하고 그것을 루틴으로 만들어 伴侶犬으로 하여금 安定感을 느끼게 하는 거죠.

    또 아기가 집에 오기 前 伴侶犬에게 아기의 生活空間을 미리 探索할 機會를 주는 것도 좋습니다. 伴侶犬이 該當 空間의 냄새를 여러 番 맡아 親近感을 느끼면 向後 그 空間을 使用할 아기에게도 好意的 態度를 보일 可能性이 크기 때문입니다. 아기가 쓸 베이비파우더, 보디로션, 모빌, 기저귀 等 物件 냄새를 맡게 해주거나 앞발과 코로 건드려보게 하는 것도 勸합니다. 事前에 아기用品에 對한 好奇心을 모두 解消해야 나중에 그것을 갖고 말썽을 부리는 것을 豫防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아기의 生活空間에서 伴侶犬이 잠자는 習慣을 들여선 안 됩니다. 아기가 집에 온 後 그곳에서 잘 수 없게 하면 伴侶犬이 固執을 피우거나 不滿을 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生活空間을 探索해보게 하는 것은 괜찮지만 伴侶犬이 그곳을 새로운 休息 空間으로 삼아선 안 된다는 뜻입니다. 또 아기用 장난감과 伴侶犬龍 장난감은 처음부터 確實하게 區分하는 게 좋습니다. 봉재人形 같은 장난감은 外觀上 아기用과 伴侶犬用에 큰 差異가 없기 때문에 伴侶犬이 아기用 人形을 갖고 놀아도 된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이를 區分해놓지 않을 境遇 伴侶犬이 人形을 뺏으려다가 意圖치 않게 아기가 물리거나 다치는 不祥事가 생길 수 있습니다. 人形을 두고 다투는 狀況을 防止하기 爲해 伴侶犬에게 “가져와” “내려놔” 같은 指示語를 徹底히 敎育시키는 것도 한 方法입니다.

    아기 10歲 될 때까지 父母 監督 必要

    집안에 아기가 태어나면 반려견이 크고 작은 변화에 곤란을 겪을 수 있다. [GETTYIMAGES]

    집안에 아기가 태어나면 伴侶犬이 크고 작은 變化에 困難을 겪을 수 있다. [GETTYIMAGES]

    아기가 집으로 온 뒤엔 어떤 理由에서든 아기와 伴侶犬을 단둘이 있지 않게 해야 합니다. 新生兒 時期는 勿論이고 아기가 10歲가 될 때까진 恒常 父母의 監督이 必要합니다. 伴侶犬이 아기에게 攻擊性을 보일 수 있어서가 아닙니다. 平素 問題行動을 보이는 伴侶犬이 아니라면 아기에게도 마찬가지로 好意的인 모습을 보일 겁니다. 그러나 아기는 스스로 몸을 가눌 수 없기에 伴侶犬이 사랑의 表現으로 기대거나 안겼을 때 그 무게가 무거워도 밀어낼 힘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기가 어느 程度 자라 伴侶犬과 適切하게 지낼 수 있을 때까지, 또 다양한 狀況에 對應하는 法을 익힐 때까진 注意가 必要합니다.



    이 같은 生活을 위해선 基本的으로 保護者가 以前보다 한層 더 부지런해져야 합니다. 알람時計를 5分씩 일찍 맞춰두고 生活해야 하는 거죠. 伴侶犬은 아기가 집에 온 뒤 自身을 向한 保護者의 關心度가 떨어지면 그것을 確實히 認知합니다. 그래서 안 하던 行動을 하면서 保護者의 關心을 끌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防止하려면 保護者가 위 方法들을 基盤으로 아기를 돌보는 中間中間 伴侶犬을 살피고 配慮해야 합니다. 또 가벼운 장난감 놀이 같은 活動을 할 때 아기가 옆에서 함께하는 雰圍氣를 만들면 伴侶犬이 아기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겁니다.

    최인영 獸醫師는…
    2003年부터 獸醫師로 活動한 伴侶動物 行動學 專門家다. 現在 서울 永登浦區 러브펫動物病院 代表院長, 서울市獸醫師會 理事를 맡고 있으며 代表 著書로 ‘어서 와 伴侶犬은 처음이지?’가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