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이 주는 苦痛, 사람이 주는 治癒|週刊東亞

週刊東亞 1005

..

사람이 주는 苦痛, 사람이 주는 治癒

민병훈 監督의 ‘사랑이 이긴다’

  • 강유정 映畫評論家·강남대 敎授 noxkang@daum.net

    入力 2015-09-14 11:30: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사람이 주는 고통, 사람이 주는 치유
    所重한 것의 價値는 생각보다 작게 여겨진다. 손을 뻗으면 닿는 門고리, 언제나 같은 자리에 있는 家具처럼 別 것 아닌 듯 對하기 쉽다. 사람 亦是 日常의 領域에 包含되는 瞬間 所重함을 잊곤 한다. 特히 家族이 그렇다. 민병훈 監督의 ‘사랑이 이긴다’는 바로 이 日常에 對한 이야기다. 映畫를 보고 나면 어떤 點에서 고개를 갸웃거리게 된다. 왜 ‘사랑이 이긴다’는 題目이 붙었을까 하고 말이다.

    줄거리만 乾燥하게 추리면 이렇다. 大學病院 醫師인 아빠는 助敎를 性醜行했다는 嫌疑로 裁判을 받고 있다. 그의 아내, 엄마의 關心은 오로지 全校 3等인 딸 수아가 1等이 되는 것이다. 겉보기엔 完璧한 이 父母의 딸은 엄마 期待에 副應하려고 戰戰兢兢한다. 親舊가 보기엔 더할 나위 없는 優等生이지만, 수아는 오늘도 不安하기만 하다.

    그 背景에는 쉴 새 없이 딸을 몰아붙이는 엄마가 있다. 成績이 優秀한 親舊와 같이 工夫하겠다는 수아의 말에 엄마는 “넌 自尊心도 없냐”고 詰難한다. 全校 3等인데 稱讚 한 番 안 해준다. “大體 왜 發展이 없느냐. 언제까지 3等만 할 거냐”고 다그칠 뿐이다.

    딸에게는 숨 쉴 틈도, 기댈 곳도 없다. 수아는 도움을 求하려고 아빠에게 電話를 걸지만 아빠는 그 나름의 苦悶에 빠져 아이의 呻吟을 듣지 못한다. 택시費를 두고 記事와 昇降이를 벌이는 아빠의 모습은 憤怒調節障礙에 빠진 現代人 그 自體다. 裁判과 手術 같은 深刻한 狀況에서 받은 스트레스와 憤怒를, 그는 엉뚱하게도 택시技士에게 풀고자 한다. 마트에서, 百貨店에서 感情勞動者에게 憤怒를 쏟아내는 우리 時代 못난 甲(甲)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사람이 주는 고통, 사람이 주는 치유
    映畫 속에서 수아는 이런 父母에게 여러 番 救助 要請을 보낸다. 物件을 훔치고, 自害를 하고. 하지만 엄마는 이런 警告조차 아이의 懦弱함으로 여겨버린다. “그까짓 工夫가 뭐가 힘들다고 유난을 떠느냐”는 式으로 말이다. 막상 父母가 수아의 말을 들으려 할 때, 이미 때는 늦었다. 結局 엄마는 單 한 番도 딸을 稱讚해주지 못하고, 아빠는 單 한 番도 아이의 呼訴를 귀담아듣지 못하고 만다.



    생각해보면 우리 곁에서 도움을 必要로 하는 사람은 끊임없이 信號를 보낸다. 도와달라고, 理解해달라고 要請하지만 우리는 귀머거리처럼 듣지 못한다. 아니, 들으려 하지 않는 것이다. 甚至於 苦痛을 呼訴하는 것조차 日常의 一部로 녹여버린다. 뻔한 말, 뻔한 呼訴, 뻔한 苦痛. 하지만 그러한 些少한 龜裂이 때로는 日常을 日常이 아닌 것으로 만든다. 우리는 그렇게 所重한 것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그 價値를 알곤 한다.

    映畫 ‘사랑이 이긴다’는 그런 苦痛과 喪失 가운데서도 人間을 救援하는 건 바로 사랑이라고 말한다. 민병훈은 省察的이고 哲學的인 監督이다. 조용한 바람 소리, 沈默하는 畵面 가운데서 日常의 괴로움과 그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려는 人間의 안간힘이 조금씩 浸透한다. 結局 사람은 사람으로 治癒할 수밖에 없다. 家族이란 사람이 사람에게 傷處를 주는 地獄이기도 하지만, 同時에 사람이 사람을 治癒할 수 있는 聖所이기도 하다. 그 家族과 家族의 사랑에 對한 이야기가 ‘사랑이 이긴다’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