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길 닿는 곳마다 빼어난 ‘山水畫’|週刊東亞

週刊東亞 338

..

눈길 닿는 곳마다 빼어난 ‘山水畫’

  • < 양영훈/="" 여행작가=""> www.travelmaker.co.kr

    入力 2004-10-12 15:2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눈길 닿는 곳마다 빼어난 ‘산수화’
    우리 國土의 東西를 가로지르는 짝數 番號의 國道는 西쪽 끝이 始發點이다. 反面 南北을 縱斷하는 홀數 番號의 國道는 南쪽에서 始作해 北쪽에서 끝난다. 2001年 8月에야 全體 路線이 確定된 59番 國道도 南海岸의 光陽에서 始作해 東海岸의 襄陽에서 끝난다. 이 國道의 總길이는 562km. 56個 路線의 一般國道 가운데 세 番째로 길다. 더욱이 國道로 昇格된 지 얼마 안 된 탓에 線形(線形)李 複雜하고 路幅(路幅)도 비좁은 데가 적지 않다. 甚至於 울퉁불퉁한 非鋪裝 山길 區間도 一部 끼여 있다. 그래서 59番 國道를 따라가는 旅程은 全體 區間을 襄陽~丹陽, 聞慶~光陽의 둘로 나누었다. 또한 서울 方面에서는 南쪽으로 내려가는 게 더 便利하고 자연스럽기 때문에 59番 國道의 元來 終點인 襄陽을 이 旅行의 始發點으로 삼았다.

    襄陽邑內와 襄陽郡 현남면 어성전리 사이의 南大川 물길을 따라 달리는 길은 元來 415番 地方도 區間이었다가 59番 國道로 昇格되었다. ‘鰱魚의 故鄕’으로도 有名한 襄陽 南大川은 鰱魚뿐만 아니라 隱語 黃魚 메기 꺽지 뚜거리(동사리) 等 다양한 種類의 민물고기가 棲息한다. 特히 어성전리는 민물고기가 많아 川獵(川獵)이나 민물낚시의 名所로 소문난 마을이다. 어성전(魚成田, 또는 漁城田)이라는 地名조차 ‘물고기가 많아 밭을 이루었다’는 뜻이라고 한다. 또한 이 區間에는 잘 가꾸어진 소나무숲이 길을 따라 연이어진다. 우리나라에서 自然産 송이가 가장 많이 난다는 바로 그 숲이다. 이 俊秀한 소나무숲은 어성전리를 지나 강릉시 연곡면 부연동(가마소)으로 가는 길에도 繼續된다.

    눈길 닿는 곳마다 빼어난 ‘산수화’
    어성전리의 웃말에서부터 전후치를 넘어서기까지의 10餘km는 희뿌연 흙먼지를 피워 올리며 疊疊山中을 비집고 달리는 非鋪裝 區間이다. 부연동 藥水로 목을 축이고 나서 이 區間의 가장 難코스人 전후치를 넘어서면 연곡면 삼산리 회골에서 6番 國道와 만난다.

    진고개를 넘고 月精寺 入口의 病內 三거리를 지나온 59番 國道와 6番 國道의 重用區間(重用區間·西로 다른 路線이 겹치는 區間)은 平昌 하진부 三거리에서 끝난다. 왼쪽으로 갈리는 59番 國道는 옛적의 33番 地方도 區間이다. 하진부에서 旌善의 螺鈿 三거리까지 80里 假量 이어지는 이 길은 南漢江의 最上類인 오대천 물길과 나란히 달린다. 물길 左右에는 海拔 1000m 以上의 高峯들이 우뚝하고, 그 사이를 헤집고 흐르는 물길은 긴 峽谷을 이룬다. 내내 巨大하고 肉重한 山자락 아래로 달려야 하는 탓에 여느 江邊길의 壯快한 맛은 느끼기 어렵다. 하지만 곳곳마다 茂盛한 숲과 奇奇妙妙한 바위와 맑은 물길이 어우러져 빼어난 風光을 演出한다.

    59番 國道는 江이나 河川의 물길과 나란히 달리는 區間이 唯獨 많다. 旌善 螺鈿 三거리에서 旌善邑內까지 42番 國道와의 重用區間은 조양강, 旌善邑內와 德友 三거리 사이는 동대천, 璅才 너머의 南面 選評마을과 별어곡까지는 동남천, 南面 所在地인 별어곡에서 馬車値를 넘어 寧越邑內까지 이어지는 38番 國道와의 重用區間에서는 寧越 동강의 支流인 席항천을 따라간다. 寧越 邑內를 지나는 途中에는 端宗의 流配地인 청령포, 그리고 아득한 絶壁 위에서 寧越 西江을 한눈에 眺望할 수 있는 선돌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눈길 닿는 곳마다 빼어난 ‘산수화’
    寧越邑內를 지나온 59番 國道는 소나기再, 연당교 三거리를 거쳐 昌原 三거리에서 南쪽으로 꺾어진다. 여기부터는 33番 地方道의 옛 區間이라, 路幅이 좁고 屈曲도 많은 便이다. 閑寂한 시골 風景 속으로 달리는 길은 슬그머니 忠淸北道 丹陽 땅에 들어서더니 이내 軍間나루에 이른다. 丹陽郡 영춘면에는 高句麗 長壽 온달에 關聯된 地名과 傳說이 여럿 있다. 이 軍間나루度 그中 하나인데, 只今은 軍間校가 놓여 있어 나루터의 痕跡은 찾아보기 어렵다.

    丹陽 땅의 길은 크게 두 가지다. 江물을 따라가는 길, 아니면 하늘로 오르는 듯한 길이다. 낮은 곳에서는 江 따라가는 길이 江물처럼 굽이치고, 높은 땅에서는 山등성이를 휘감은 길이 하늘과 맞닿아 있다. 그리 順坦치 않은 길인데도 그 變化無雙한 律動感은 온몸이 절로 들썩거리게 한다.

    丹陽地方의 自然風光은 山과 물과 돌의 어우러짐이 아주 絶妙하다. 백두대간의 疊疊한 山자락과 南漢江의 맑은 물길이 가시버시처럼 서로 부둥켜안은 德澤이다. 山자락에 가로막힌 물길이 주춤거리거나, 물길에 깎인 山자락이 隱密한 속내를 드러낸 곳에는 어김없이 奇奇妙妙한 바위 하나가 우두커니 서 있다. 丹陽 땅을 지나는 59番 國道는 丹陽八景 中 세 絶景, 卽 上仙巖 中仙巖 下仙巖이 있는 腺癌溪谷을 거슬러 오르다가 慶尙北道 聞慶 땅으로 넘어간다. 忠淸北道 丹陽郡과 慶尙北道 문경시의 境界를 이루는 곳은 丹陽郡 대강면 방곡리 陶藝村(陶藝村)의 적性交라는 작은 다리다. 이제부터 59番 國道는 높고도 깊은 白頭大幹 東쪽의 內陸地方을 내달리게 된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