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自殺 勸하는 社會|週刊東亞

週刊東亞 323

..

自殺 勸하는 社會

  • 조용준 記者

    入力 2004-10-29 13:52: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자살 권하는 사회
    自殺에 關한 限 나는 두 가지 態度를 警戒한다. 첫番째는 自殺을 犯罪 或은 疾病으로 몰아붙이는 態度이고, 두 番째는 自殺을 統計로 還元함으로써 自殺로부터 그 실존적 意味를 剝奪해 버리는 態度다.”(알프레드 알바레즈, ‘自殺의 硏究’)

    그럼에도 不拘하고 自殺에 對한 統計數値부터 言及해야겠다. 지난 90年 韓國人의 自殺死亡率은 人口 10萬名 黨 9.8名이었다. 그러나 지난 2000年에는 14.6名으로 49% 增加했다. 自殺로 인한 男性의 死亡은 女性의 2.2倍다(2001년 9月 統計廳 發表 ‘2000年 死亡原因 調査’). 우리나라 人口를 4700萬名(2000年 7月 基準)으로 잡았을 때 한 해 平均 6862名, 每日 18.8名이 自殺로 死亡한다는 얘기다.

    아시아의 ‘自殺 王國’은 如前히 日本이다. 韓國은 모든 面에서, 甚至於 ‘自殺에 對한 傾向’까지도 日本을 매우 急速度로 따라가고 있다. 지난 2月14日 밤 서울警察廳에서는 自殺幇助 嫌疑로 調査받은 22歲 吳某氏가 갑자기 死亡하는 事件이 發生했다. 一旦 毒劇物에 依한 自殺로 推定된다는 警察 發表가 나왔다. 지난해 1月 영등포拘置所 警備敎導隊를 脫營해 手配를 받아온 吳氏는 지난 8日 國內 有名 포털사이트에 開設된 3個의 사이버 카페에 ‘自殺團 100名을 募集한다’는 글을 올렸다는 嫌疑로 14日 緊急逮捕됐다. 逮捕 當時 吳氏는 지난해 11月 自殺한 金某氏(22)의 紙匣과 住民登錄證, 手帖을 所持하고 있었다. 吳氏는 金氏가 自殺하기 直前인 지난해 10月 ‘안티 自殺 사이트’에 “必要한 藥을 판다. 高架(高價)지만 確實하다”는 等의 揭示物을 올렸던 것으로 밝혀졌다.

    每日 18.8名 自殺 … 이젠 되돌아보아야 할 때

    이 事件은 모든 言論에 실렸지만, 主要 記事로 取扱되진 않았다. 警察 調査中 自殺로 死亡한다는 것은 매우 드문 境遇지만, 이미 ‘自殺 사이트’에 對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그 衝激性이 덜하게 判斷된 것인지 모르겠다. 그러나 그렇다고 ‘自殺에 對한 問題의 深刻性’마저 덩달아 稀釋되는 것은 아니다. 如前히 10∼30代에선 自殺이 交通事故를 除外한 最大 死亡 原因이다.



    마침 大衆文化批評 專門 포털사이트 ‘컬티즌’(cultizen.co.kr)에서 ‘自殺, 都大體 왜들 騷亂인가’라는 이슈 特輯을 내보내고 있다. 먼저 미디어評論家 변정수氏의 膈한 ‘檄文’이 눈길을 끈다. “…그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것은, 무슨 짓을 한다 해도 그 苦痛이 손톱만큼도 解決되지 않으리라는 ‘絶望’이다. 우리는 그 숱한 絶望 앞에서 좀더 謙虛해져야 한다. ‘自殺 勸하는 社會’는 내버려둔 채 傍觀하면서 ‘自殺하는 사람’들만 나무라는 그 ‘傲慢하기 짝이 없는 卑怯함’이 나는 역겹다!”.

    에세이스트 김보일氏의 다음과 같은 글도 있다. “…‘殉敎에서 개죽음까지’. 왜 죽음마저도 徹底하게 等級化시키고 位階化시켜야 하는 것인지.…모든 大義名分을 向한 殉敎者들의 죽음이 餘他의 뭇 죽음을 깎아내릴 수는 없다. 어떤 죽음이든 그 죽음엔 實存의 總重量이 얹혀 있는 것이므로. 그러므로 우린 이렇게 말할 수 있다. 自殺이 決斷의 問題이지 評價의 問題가 아니라고….”

    少壯 哲學家로 筆名이 알려진 김영민 敎授(한일대)도 거들었다. “…于先 우리가 할 수 있고 또 해야 하는 것은, 自殺에 對한 公論이 보다 豐盛하고 자유롭게 活性化될 수 있는 ‘談論的 與件’을 造成해 주는 것이다. …特히 自殺을 個人의 問題, 그리고 倫理와 宗敎의 問題로만 置簿하려는 惰性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질 必要가 있다. 萬一 이 같은 訓鍊이 없다면, ‘바른生活’ 水準의 이데올로기만 再生産할 뿐, 成熟한 市民社會로 나아가는 公論의 活性化를 期待할 수 없을 것이다….”

    自殺은 그것이 ‘病理 現象’이든 아니든, 自殺에 關한 뒤르켐의 有名한 3分法(利他的 自殺, 利己的 自殺, 아노미的 自殺)에 屬하든 아니든, 이미 우리 社會의 ‘主要 現象’이 되었다. 이는 모른 척한다고, 無視한다고 없어지는 現象은 아닐 듯하다. 正말로 우리 社會가 ‘自殺을 勸하는 社會’는 아닌지 深刻히 되돌아볼 必要는 없는 것일까?

    다음은 ‘컬티즌’에서 實施中인 輿論調査(2月18日 午前 現在 總 7592名 參與)의 結果다. 勿論 온라인 調査이므로 正確性은 떨어지겠지만 參考할 必要는 있겠다. ‘自殺? △생각해 본 적 있다(19.6%) △試圖해 본 적 있다(25.9%) △하고 싶지만 勇氣가 없다(18.5%) △計劃中이다(23.7%) △생각해 본 적 없다(12.4%)’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