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7度 以上 出入 禁止, 無症狀 感染 不安은 如前|週刊東亞

週刊東亞 1224

..

포커스

37度 以上 出入 禁止, 無症狀 感染 不安은 如前

4番째 確診者 入院 盆唐서울大病院 가보니…철저한 選別診療, 院內 2次 感染 憂慮 遮斷

  • 강지남 記者

    layra@donga.com

    入力 2020-01-30 10:36:0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경기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1층 로비에서 직원들이 열 감지기를 설치해놓고 내원객의 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지호영 기자]

    京畿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1層 로비에서 職員들이 열 感知器를 設置해놓고 內院客의 體溫을 測定하고 있다. [지호영 記者]

    “잠깐 열 좀 재볼게요.” 

    1月 29日 午前 9時 京畿 성남시 분당서울대병원 地下駐車場으로부터 病院 本館으로 連結되는 出入口에서 마스크를 쓴 職員이 記者의 목에 體溫計를 갖다 댔다. 體溫이 36度로 確認된 다음 通行이 許諾됐다. 患者, 保護者, 職員 等 ‘身分’을 가리지 않고 모두가 體溫이 37.5度 以下인 것이 確認된 뒤에야 ‘院內 進入’이 可能했다. 

    1月 28日 疾病管理本部가 ‘우한肺炎’(新種 코로나非이러스感染症) 危機 段階를 ‘注意’에서 ‘警戒’로 上向하면서 全國 主要 病院들은 一齊히 發熱 症勢가 있는 사람의 院內 進入을 遮斷하기 始作했다. 盆唐서울大病院度 28日부터 1層 出入口에 熱 感知器를, 地下駐車場 出入口에 體溫計를 備置하고 內院客을 對象으로 全數 체크에 나섰다. ‘빈틈’을 없애고자 地下駐車場에서 病院으로 連結되는 出入口 一部는 閉鎖됐다. 入院患者 訪問客도 保護者 1名을 除外하고는 全面 禁止했다.

    確診患者는 別途 建物에…“상태 安定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4번째 확진환자가 입원해 있는 분당서울대병원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 외부인 출입이 철저히 제한되며 의료진은 방호복을 착용하고 출입한다. [지호영 기자]

    新種 코로나바이러스感染症 4番째 確診患者가 入院해 있는 분당서울대병원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 外部人 出入이 徹底히 制限되며 醫療陣은 防護服을 着用하고 出入한다. [지호영 記者]

    新種 코로나바이러스에 感染된 것으로 確認된 4番째 確診患者가 盆唐서울大病院에 入院하면서 京畿地域 및 이 病院 內院客 사이에서 不安感이 擴散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2015年 메르스(MERS·中東呼吸器症候群) 事態 때 186名의 確診患者 中 184名(99%)李 病院에서 感染됐다(표 參照). 特히 14番째 患者가 삼성서울병원 應急室에서 사흘間 滯留하면서 85名을 感染시킨 初有의 事態가 벌어지기도 했다. 

    1月 29日 盆唐서울大病院 1層 로비에서 만난 裵某(66·女) 氏는 “一週日 後에 男便이 大腸癌 手術을 받기로 해 오늘로 잡힌 手術 前 診療를 取消할 수 없는 노릇이라 病院에 왔다”며 “或是나 메르스 때처럼 病院에서 感染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前立샘癌 手術 次 22日 入院한 患者 姜某(54) 氏는 “우한肺炎 患者가 여기에 入院했다는 뉴스를 病室에서 보고 慌忙했다. 病問安을 오겠다던 이들이 ‘못 오겠다’고 하더라”며 “入院室 밖으로 나올 땐 마스크를 꼭 쓰고 손도 자주 씻으며 或是 모를 可能性에 對備하고 있다”고 말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隔離陰壓시스템이 갖춰진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을 保有하고 있다. 京畿 南部地域 感染病 患者는 이곳으로 移送돼 治療 받는다. 4番째 確診患者는 京畿 평택시 居住者로, 1月 26日 平澤地域 保健所에서 肺炎 診斷을 받고 이곳으로 移送돼 이튿날인 27日 新種 코로나바이러스感染症 確診 判定을 받았다. 

    或是 모를 ‘院內 感染’ 憂慮에 對해 이 病院 關係者는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을 一般 病棟과 分離된 建物에 構築해놨기 때문에 크게 憂慮할 必要는 없다”고 말했다. 實際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에 가려면 2棟 應急室 右側 오르막길로 200m假量 올라가야 해 一般 內院客과 物理的 動線이 區分된다. 4番째 確診患者는 應急車를 타고 바로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으로 移送됐다.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 내 바이러스는 外部 流出이 全面 遮斷되며, 醫療陣은 防護服을 着用하고 該當 病棟에 들어간다. 또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 擔當 醫療陣은 一般 病棟에 出入하지 않는다. 

    1月 29日 現在 이곳 國家指定入院治療病床에는 4番째 確診患者 外에도 네댓 名의 疑心患者가 入院해 있었다. 疑心患者는 新種 코로나바이러스에 感染되지 않은 것으로 確認되면 退院하게 된다. 疾病管理本部에 따르면 29日 午後 6時까지 有症狀者 204名 中 164名이 陰性 判定으로 隔離가 解除됐고, 40名이 檢査를 進行하고 있다. 27日 以後 追加 感染者는 나오지 않았다.

    疑心 症勢 있다면 1339 電話부터

    분당서울대병원 1층에 마련된 발열확인 데스크(왼쪽). 지하주차장을 통해 들어오는 모든 내원객은 체온계로 발열 여부를 검사받는다.

    盆唐서울大病院 1層에 마련된 發熱確認 데스크(왼쪽). 地下駐車場을 通해 들어오는 모든 內院客은 體溫計로 發熱 與否를 檢査받는다.

    발열확인 데스크에 놓인 손소독제(왼쪽). 열 감지기가 놓인 1층 로비 앞으로 내원객들이 지나가고 있다. 대부분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다.

    發熱確認 데스크에 놓인 손消毒劑(왼쪽). 熱 感知器가 놓인 1層 로비 앞으로 內院客들이 지나가고 있다. 大部分 마스크를 着用한 모습이다.

    新種 코로나바이러스感染症의 代表的 增稅는 發熱이다. 世界的인 醫學저널 ‘랜싯(Lancet)’에 실린 ‘2018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의 感染歷’ 論文에 따르면 新種 코로나바이러스感染症 確診患者 41名 中 大部分(98%)에게서 發熱 症狀이 나타났다. 이에 全國 病院들은 發熱 症勢가 있는 사람의 院內 進入을 遮斷하는 데 注力하고 있다. 

    盆唐서울大病院의 매뉴얼은 이렇다. 熱 感知器에서 體溫이 35度 以上으로 나온 內院客은 體溫計로 다시 測定을 받는다. 여기서 37.5度 以上으로 나오면 1人用 가운을 입히고 마스크를 着用시켜 應急室에 마련된 ‘選別診療所’로 보낸다. 選別診療所는 應急室과 分離된 別途의 診療施設로, 感染病 疑心患者가 一般患者와 接觸하지 않도록 하는 役割을 한다. 

    1層 出入門 發熱確認 데스크를 지키고 있던 한 職員은 “아직까지 37.5度 以上인 내원者는 한 名도 없었다”고 傳했다. 內院客 大部分이 마스크를 着用하고 있었고, 發熱체크 데스크에 備置된 손消毒劑를 兩손에 듬뿍 바르고 病院으로 들어가는 사람도 자주 눈에 띄었다. 熱 感知器조차 設置되지 않았던 2015年 메르스 事態 때와는 사뭇 다른 雰圍氣다. 

    問題는 無症狀 感染者다. 實際 4番째 確診患者度 20日 우한發(發) 直航便을 타고 仁川國際空港에 到着했을 때 空港의 發熱 檢査臺를 그대로 通過했다. 이 病院 關係者는 “發熱 症勢가 없는 感染者를 찾아낼 方道가 現在로서는 그 어떤 醫療機關에도 없는 實情”이라고 말했다. 

    無症狀 感染者도 바이러스를 퍼뜨릴까. 世界保健機構(WHO)는 1月 28日 “어느 水準의 症狀이어야 바이러스가 傳播하는지는 斷定할 수 없다”며 無症狀 感染者의 傳播 可能性에 對해 조심스럽게 言及했다. 中國에서 症狀이 없는데도 周邊 사람을 感染시킨 것으로 推測되는 事例가 알려지기도 했다. 이에 對해 疾病管理本部는 “無症狀 感染者가 바이러스를 傳播할 수 있다고 볼 만한 根據가 아직은 不足하다”는 立場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응급실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의심환자를 일반환자와 격리하기 위한 별도의 선별진료소가 마련돼 있다.

    盆唐서울大病院 應急室에는 新種 코로나바이러스感染症 疑心患者를 一般患者와 隔離하기 위한 別途의 選別診療所가 마련돼 있다.

    萬若의 不祥事를 막으려면 市民 意識이 要求된다. 最近 中國에 다녀왔거나 疑心 症勢가 있다면 病院을 찾기에 앞서 疾病管理本部 感染病 專門콜센터 1339에 電話해 相談하고, 選別診療所가 마련된 保健所나 醫療機關을 찾아야 한다. 醫療陣에게는 반드시 海外旅行 關聯 事實을 알리도록 한다. 選別診療所가 마련된 全國 482個 醫療機關 目錄은 疾病管理本部 홈페이지에서 確認할 수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