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大 걸친 王室 어른 노릇 두 次例 禮訟論爭 觸發|週刊東亞

週刊東亞 756

..

4大 걸친 王室 어른 노릇 두 次例 禮訟論爭 觸發

仁祖의 繼妃 장렬왕후 徽陵

  • 이창환 상지영서대 造景學科 敎授 55hansong@naver.com 寫眞 提供·文化財廳, 서헌강, 이창환

    入力 2010-10-04 14:4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4대 걸친 왕실 어른 노릇 두 차례 예송논쟁 촉발

    외롭고 힘없는 장렬왕후를 永遠히 지키는 徽陵의 文·武人石과 潟湖와 夕陽.

    徽陵(徽陵)은 朝鮮 第16代 賃金 仁祖의 繼妃 장렬왕후(莊烈王后, 1624~1688) 조氏의 單陵이다. 京畿道 구리시 창인동 산2-1의 東九陵地區 내 太祖 健元陵의 西쪽 稜線에 자리한다. 整備 인열왕후가 죽은 지 3年 뒤, 15歲인 장렬왕후가 44歲인 仁祖와 家禮를 올렸다. 仁祖, 孝宗, 顯宗, 肅宗 臺까지 4代에 걸쳐 王室 어른으로 지냈으나 子息 없이 65歲로 世上을 떠났다. 이 時期 調整은 極甚한 朋黨政治로 政權다툼이 尖銳化돼, 特히 玄宗이 昇遐했을 때와 孝宗의 비인 仁宣王后가 昇遐했을 때 조大妃(장렬王后)가 입어야 할 服喪(服喪) 問題를 놓고 두 次例 禮訟論爭이 벌어졌다.

    仁祖 16年(1638) 인열왕후가 昇遐하고 3年 되는 3月 어느 날, 仁祖는 中宮殿이 빈 지 오래돼 中前 揀擇을 指示했으나 代身들이 積極的이지 않고 士大夫들도 揀擇에 呼應하지 않자 노여워했다. 左議政 崔鳴吉은 唐慌하며 士大夫가 協助하지 않아 揀擇에 어려움이 있다고 恨歎했다. 그도 그럴 것이 44歲인 仁祖가 15歲 以下의 어린 王妃를 揀擇한다 하니 스물아홉의 나이 差가 負擔이 됐고, 게다가 1年 前 1月 30日 仁祖가 三田渡에 나가 淸 太宗에게 무릎을 꿇어 臣下의 例를 갖췄고, 世子인 소현世子 內外와 봉림大君 內外, 인평대군 內外가 瀋陽에 볼모로 잡혀가 있으니 王妃의 자리라 한들 선뜻 딸을 내놓겠다는 이가 없었다.

    이런 狀況에서 어렵게 揀擇된 장렬왕후는 漢陽이 本으로 翰苑府院君 조창원과 어머니는 完山夫婦인 崔氏의 막내딸이다. 仁祖 2年(1624) 11月 情事(丁巳)일에 稷山(稷山)縣의 官衙에서 태어났다.

    完山府夫人이 胎夢 때 달이 품 안으로 들어오고, 誕生 때 상서로운 무지개가 房에 가득했다 한다. 玉女가 내려와 “갓 태어난 貴人이 張差 玉冊을 열 것이다”라고 했다는 이야기가 傳해진다. 두 살 때부터 行動이 남다르고 말이 적었으며, 높은 곳에 앉기를 좋아하고 欲心이 담박(淡泊)하고 남에게 베풂이 많았다 한다. 워낙 어렵게 揀擇된 王后인지라 아름답게 描寫된 듯하다.

    王后라고는 하나 소현세자보다 열두 살 아래이며 봉림大君보다는 다섯 살, 막내 인평대군보다도 두 살 아래이니 仁祖는 아들들보다 어린 새 王妃를 맞은 것이다. 그러나 이미 仁祖의 寵愛를 받는 貴人 조氏의 시샘과 안主人 行世에, 장렬왕후는 어쩔 수 없이 房에 蟄居하며 힘을 發揮하지 못했다. 貴人 조氏는 昭顯世子와 世子嬪 姜氏가 瀋陽에서 돌아오자 그의 行世에 危機를 느끼고 소현세자 除去에 앞장섰다. 이때 갓 結婚한 장렬왕후는 소현世子가 急逝하자 어머니의 例로 三年服을 입었다. 1649年 仁祖가 昇遐할 때 장렬왕후는 敬德宮에 나가 있다 國母로써 仁祖의 臨終도 지키지 못하고 그 자리를 貴人 조氏가 代身했다.



    孝宗이 卽位하자 貴人 조氏는 힘을 잃었고 조氏의 後援者였던 金自點도 쫓겨났다. 그러나 가만히 있을 조氏가 아니었다. 自身의 무리를 請에 보내 仁祖의 章陵 指紋에 宋時烈이 淸의 年號를 쓰지 않았다고 고자질해서 淸의 詰問을 받게 했고, 甚至於 自身의 아들 숭선군을 王位에 앉히려는 逆謀를 꾸미기도 해 結局 死藥을 받았다. 그악했던 貴人 조氏에 질려서인지 孝宗은 中前 時節 아무런 힘도 發揮하지 못한 장렬왕후를 어머니로 極盡히 모셨다.

    仁祖의 아들들보다 어린 새 王妃

    장렬왕후는 1649年 仁祖가 昇遐하자 對備가 됐고, 1659年 孝宗이 昇遐하자 大王大妃가 됐다. 孝宗 局長 때 大王大妃 장렬왕후의 喪服 입는 期間을 놓고 政治的 論爭이 벌어졌다. 1年만 着服하면 된다는 西人 宋時烈의 朞年說로 복상을 치렀다. 하지만 이듬해 男인 許穆 等이 大王大妃의 복상은 3年을 입어야 한다는 3年雪을 提起하며 西人을 攻擊했다.

    이때 ‘國朝五禮儀’에 記錄이 確實치 않아 中國의 ‘周禮’와 ‘朱子家禮’ 等 禮論에 依據, 다섯 가지 복상을 例로 舌戰을 벌였다. 첫째 3年 福인 斬衰(斬衰), 둘째 3年 또는 1年 服人 齊衰(齊衰), 셋째 9個月 服人 對共(大功), 넷째 5個月 服人 小功(小功), 다섯째 3個月 服人 緦麻(?麻) 等이 있다. 斬衰는 父母喪에는 子女가 3年服을 입고, 反對로 큰아들인 長子床이 먼저나면 그 父母가 3年服을 입는 制度다. 따라서 當時 禮學의 最高인 吏曹判書 宋時烈은 孝宗이 둘째이기 때문에 1年 服을 입어야 한다고 主張했고, 禮曹參議 尹鑴는 孝宗이 長子인 소현世子가 죽고 次子로서 王位를 繼承했으니 莊子의 禮에 따라 齊衰 3年服을 입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宋時烈은 4種설(正而不體, 體而不正, 正體不得傳重, 傳重非正體)을 들어 嫡妻가 낳은 둘째 아들부터는 모두가 庶子이고 孝宗 또한 그렇다고 해 朞年服을 主張했다. 結局 1次 禮訟論爭은 宋時烈 等의 主張에 따라 朞年說이 받아들여져 西人의 勝利로 끝났다.

    그러나 南人은 西人의 主張이 曉鐘을 涕洟否定(體而不正·庶子가 代를 이은 것)으로 몰아가는 것이라며 攻擊했다. 卽 孝宗이 庶子라는 뜻이라며 尹善道 等이 主張해 混亂에 빠졌다. 論爭이 政治的 葛藤으로 飛火하자 玄宗은 論爭을 禁止시키고 朞年服으로 決定했다.

    以後 西人이 政權을 主導했다. 하지만 1674年 孝宗의 妃 仁宣王后 張氏가 昇遐하자 다시 媤어머니인 大王大妃(장렬王后)의 服喪 問題가 提起됐다. 南人은 朞年說(1年 服喪)을, 庶人은 대공설(9個月)을 主張했다. 庶人은 中國 古禮(古禮·史家의 風習)에 맏며느리 上에는 朞年說(1年福)을 입고, 둘째부터는 大功服(9個月服)을 입는다고 主張했다. 이에 南人은 國喪에서는 큰아들과 맏며느리의 複製가 모두 1年이며, 孝宗 때도 그랬고 ‘國朝五禮儀’에도 例示돼 있음을 들어 孝宗 國喪 때 斬衰(3年福)를 齊衰(1年福)로 하고, 이제 와서 재최복을 大功服으로 하는 것을 指摘하며 西人의 主張을 攻擊했다. 當時 宋時烈이 落鄕해 있었다.

    4대 걸친 왕실 어른 노릇 두 차례 예송논쟁 촉발

    1 아직도 服喪 問題로 다투는 듯한 徽陵의 文·武石人. 2 人組의 사랑도, 後嗣도 없이 平生을 賞福 問題로 어려움을 겪은 장렬왕후는 太祖 李成桂의 健元陵 곁에 永眠했다.

    이에 對해 南人은 顯宗의 아버지와 어머니를 庶子의 손으로 하려는 意圖라며 西人을 攻擊했다. 論難이 繼續되자 玄宗은 “己亥年(孝宗國喪)에 複製를 國家 예제(國禮)에 依한 것으로 알았는데 古禮(古禮)에 依據했다 하니, 이것은 國家에 쓰는 福은 가볍게 여기고 先王(孝宗)을 ‘涕洟否定’으로 여긴 것이다. 임금에게는 薄하고 누구에게 후덕하자는 것이냐. 이番 仁宣王后 床에 自意對比(장렬王后)의 福은 朞年으로 마련하고, 國家制度에 장자복 朞年을 3年의 斬衰服으로 고쳐라”고 命했다. 結局 2次 禮訟論爭은 南人의 朞年說이 採擇돼 南人이 政權을 잡는 契機가 됐다.

    國家的 混亂 속에 子息들보다 어린 나이에 王妃가 된 장렬왕후는 ‘國朝五禮儀’ 等 先例가 없는 子孫의 國喪을 當해 2次例나 禮訟論爭에 휘말렸다. 事實 禮訟論爭은 單純히 ‘儀禮’에 關한 論爭이 아니라 王位의 正統性 是非와 聯關된 政權다툼이었으며, 政治的 立場 表明이었다. 庶人은 新券(臣權)을 强化하기 위해 “天下의 例는 모두 같다(天下同禮)”는 것으로 王室도 士大夫 집안의 예와 다르지 않다는 主張했고, 南人은 “王室의 例는 一般 士大夫와 다르다(王者不同士庶)”는 論理를 세워 强力한 王權 中心의 國家를 運營하고자 했다.

    肅宗 14年(1688) 8月 大王大妃(장렬王后)의 患候가 날이 갈수록 危篤해 肅宗은 鉏曾祖母인 장렬왕후의 快癒를 빌기 위해 代身을 宗廟와 社稷에 보내고, 終身을 山川에 보내 精誠껏 祈禱하고 罪囚들을 釋放하고 量田(兩銓·吏曹와 兵曹)에 免稅와 蕩滌(蕩滌·罪를 면해줌)을 했으나 그해 8月 26日 卯時(卯時·새벽 5時부터 7時)에 大王大妃가 昌慶宮 內班院(內班院)에서 昇遐했다. 鉏曾孫인 肅宗이 喪主가 돼 局長을 치렀다.

    그동안 장렬왕후는 男便인 人組, 서세자 소현세자, 庶子 孝宗 內外, 庶孫 顯宗 內外를 앞세우면서 自身이 어떻게 喪服을 입어야 하는지 西人, 南人의 政爭으로 많은 試鍊을 겪은 張本人이다. 王室에 들어와 歷代 가장 많은 여섯 番의 喪服을 입는다. 賞福 問題로 混亂에 빠진 狀態에서 喪主가 된 肅宗은 鉏曾祖母인 장렬왕후의 葬禮 때 어떤 喪禮服을 입어야 하는지 銳敏해졌다. 肅宗은 마땅히 國喪 喪禮服을 입으려 하나, 親孫까지는 ‘五禮儀’에 따라 親子의 儀禮 制服을 입고 曾孫부터는 記錄도 없고 先例도 없어 苦悶하다, 結局 古禮(사가)의 例를 따라 宗親의 朞年예(1년)로 簡略하게 입는다.

    4대 걸친 왕실 어른 노릇 두 차례 예송논쟁 촉발

    1 徽陵의 석호는 坡州 章陵에서부터 나타난 세련되고 諧謔的인 彫刻을 보여준다. 2 肅宗 代에 照映된 徽陵은 直前에 만든 崇陵, 直後에 만든 翼陵과 더불어 丁字閣 停電이 左右 한 칸씩을 덧붙인 것이 特異하다.

    여섯 番 喪服 입으며 朋黨政治 지켜봐

    諡號는 千里가 바르면서 뜻이 和平하고 德을 갖고 善業을 遵守했다고 해 壯烈(壯烈)이라 하고, 陵戶는 徽陵(徽陵)이라 했다. 徽陵의 조영 過程을 記錄한 山陵都監儀軌가 없고 ‘肅宗實錄’에도 簡略한 記錄만 있어 선지(選地)와 조영의 詳細 過程은 알 수 없다. 徽陵은 孫子인 玄宗과 孫子며느리 명성왕후(明聖王后)가 묻힌 崇陵(崇陵)보다 5年 뒤에 조영해 全般的으로 石物의 形態가 崇陵과 비슷하며, 屛風石 없이 欄干石만 둘러쳐 있다. 文·武石人은 얼굴이 크고 목이 없어 턱이 가슴에 붙은 形象이다. 魂遊石 아래의 고석이 健元陵 形式을 따른 5個인 것을 보아 옆의 健元陵의 例를 一部 따른 것으로 思料된다.

    欄干席 바깥쪽에 潟湖 2雙과 夕陽 2雙이 밖을 向해서 封墳을 護衛하며 事實的, 諧謔的으로 描寫돼 있다. 潟湖(石虎)는 陵을 守護하는 守護神의 意味를 지니며, 夕陽(石羊)은 邪惡한 것을 避하고 죽은 이의 冥福을 祈願하는 뜻을 담고 있다. 또한 虎狼이는 地上의 動物 가운데 가장 勇猛한 것으로 地上의 모든 微物을 守護해주기를 위해서이고, 夕陽은 地下의 微物을 지켜주는 靈物로 地下世界 微物의 守護神으로 解釋하기도 한다. 석호는 中國과 베트남의 陵에서는 볼 수 없는 우리만이 갖는 守護 彫刻物이다.

    徽陵은 丁字閣이 直前에 造營한 崇陵(玄宗과 명성왕후, 1683)과 翼陵(肅宗의 整備, 1680)처럼 停電의 兩옆에 한 칸씩 翼廊이 덧붙은 게 特異하다. 當代의 조영 特性으로 보인다.

    男便의 사랑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後嗣도 두지 못한 장렬왕후는 賞福 問題로 끌려다니다 黨爭의 名分만 提供하고 世上을 떠났다. 죽어서도 人造 옆으로 가지 못하고 東九陵에 묻혔다. 多幸히 280年 前 幽宅을 造營한 太祖의 健元陵과 이웃하고 있으니, 太祖 李成桂의 사랑을 永遠히 받는 것 같다. 太祖도 외롭게 홀로 쉬고 있으니 더욱 그런 생각을 해본다. 仁祖의 王陵은 이곳에서 먼 京畿道 坡州市 탄현면에 整備 인열왕후와 合掌돼 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