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難治病·不治病 完全征服 ‘挑戰狀’|週刊東亞

週刊東亞 708

..

難治病·不治病 完全征服 ‘挑戰狀’

太半줄기細胞 利用, 腦出血·肝硬化 等 治療劑 開發 러시

  • 최영철 記者 ftdog@donga.com

    入力 2009-10-21 15:00: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난치병·불치병 완전정복 ‘도전장’

    最近 地方 聖體줄기細胞를 複製해 誕生한 개들.

    누군가가 火를 내면 흔히 ‘핏대가 섰다’고 한다. 여기서 핏대란 心臟에서 목을 거쳐 腦로 올라가는 頸動脈(頸動脈).

    火가 나면 心臟은 많은 血液을 腦로 보내게 되는데, 이때 血管이 膨脹해 커지는 걸 보고 ‘핏대가 섰다’고 表現한다.

    萬一 頸動脈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면(뇌출혈) 腦로의 酸素 供給이 一時에 中斷되면서 腦 機能이 停止하고(뇌사), 곧 心臟이 멈춘다. 映畫에서 ‘킬러’가 相對方을 單番에 制壓할 때 목 오른쪽을 칼로 베는 理由도 그 때문이다. 이런 棋戰은 사람이나 動物이나 다를 게 없다.

    普通 腦出血은 頸動脈이나 腦 안의 血管이 외상 또는 動脈硬化에 依해 터지면서 생기는데 어떤 血管이 터졌는지에 따라, 또한 고인 피가 腦의 어느 部位를 壓迫하는지에 따라 症狀이 다르게 나타난다. 사지 全體 또는 一部分만 痲痹될 수도 있고, 意識不明(腦死 包含) 狀態에 이르기도 한다. 最惡의 狀況은 勿論 死亡. 現在 腦出血에 對한 治療法은 手術을 통해 腦에 고인 피를 除去하거나, 고인 피의 量이 적을 境遇 몸이 스스로 피를 吸收하도록 기다리는 두 가지 方法밖에 없다.

    이런 가운데 最近 腦出血 治療에 曙光이 비치는 實驗結果가 나왔다. 비록 動物實驗이지만, 인태反物質이 腦 損傷을 沮止하고 豫防할 수 있다는 結果가 導出된 것. 高麗大 小兒科學敎室과 CHA 醫科學臺 小兒科學敎室이 어린 흰쥐의 腦 속 總頸動脈(頸動脈과 連結된 腦 속 左右 한 雙의 大動脈)을 切斷한 後 太半物質을 12時間 間隔으로 배에 4回 注射했다. 그 結果, 生理食鹽水를 注射한 對照群 쥐의 腦가 損傷을 입어 거의 破壞된 反面, 太半物質을 注射한 쥐에게서는 腦 損傷이 거의 發生하지 않았다.



    特히 總頸動脈을 切斷해 腦로의 酸素 供給이 원활하지 않은 狀態에서 酸素가 8%밖에 없는 空間에 2時間 동안 쥐를 露出시켰지만 太半物質을 注射한 쥐의 腦는 멀쩡했다. 硏究陣은 “항염증 作用과 抗酸化 作用이 太半物質의 重要한 棋戰으로 說明되고 있지만 正確한 棋戰은 아직 硏究 中”이라고 밝혔다.

    太半줄기細胞의 無限한 潛在能力

    太半은 이처럼 只今까지 밝혀진 것보다 앞으로 밝혀가야 할 效能이 더 많다. “治療醫學에서 胎盤 硏究의 끝이 어딘지 알 수 없다”는 말이 硏究陣의 입에서 나오는 理由도 그 때문. 이들은 現在 動物實驗 段階에 머물러 있는 硏究가 大部分이지만, 가까운 將來에 太半에서 難治病이나 不治病을 克服할 수 있는 治療法, 治療藥이 나오리라 確信한다.

    太半을 使用한 治療에서 가장 注目받고 있는 分野는 聖體줄기細胞를 利用한 細胞治療劑 開發. 女性의 卵子에서 뽑아냄으로써 生命倫理 論難에 直面한 胚芽줄기細胞와 달리, 聖體줄기細胞는 自己 地方, 骨髓, 胎盤, 臍帶血(胎盤 내 胎줄에서 나온 血液) 等에서 얻기 때문에 硏究가 相對的으로 자유롭다. 現在 一部 成形外科와 泌尿器科에선 患者 自身의 배꼽이나 허벅지 地方에서 빼낸 줄기細胞를 皮膚美容, 가슴成形, 性器成形에 利用하고 있다. 甚至於 腦硬塞으로 怪死한 腦 組織에 聖體줄기細胞를 注入해 治療하는 神經外科議員도 있다.

    이는 聖體줄기細胞가 죽은 細胞 代身 새로운 細胞를 供給하는 機能을 하는 데다, 自己 것을 쓰는 만큼 免疫拒否 反應이 적다는 點을 利用한 것. 聖體줄기細胞는 必要한 瞬間에 特定 組織의 細胞로 分化되는 未分化 狀態의 細胞로, 過去에는 自身이 屬한 組織細胞만으로 分化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最近에는 다른 組織의 細胞로도 分化할 수 있다는 硏究 結果들이 報告됐다. 例를 들어 皮膚의 聖體줄기細胞가 神經細胞, 筋肉細胞, 脂肪細胞 等으로 分化될 수 있다는 硏究結果가 그것이다.

    난치병·불치병 완전정복 ‘도전장’

    CHA 醫科學臺 金基鎭 敎授는 最近 動物實驗에서 太半줄기細胞를 利用해 간 纖維化 抑制에 成功했다.

    臍帶血보다 다양한 줄기細胞 包含

    聖體줄기細胞 硏究에서 特히 胎盤 由來 줄기細胞가 注目받는 理由는 地方, 骨髓, 제대혈에서 由來된 줄기細胞보다 여러 面에서 長點이 많기 때문이다. 紙榜이나 骨髓 줄기細胞에 비해 太半줄기細胞를 쓸 때의 長點은 △出産 後 積出돼 廢棄되는 臟器를 有用한 生物學的 資源으로 再活用할 수 있다 △回收되는 量에 비해 많은 量의 줄기細胞를 쉽게 分離할 수 있다

    △外胚葉, 中胚葉, 內胚葉 等의 다양한 胚葉으로 分化할 수 있는 機能을 갖췄다 △地方이나 骨髓 줄기細胞가 分離, 抽出되는 供與者의 나이에 影響을 받아 증식력에 制限을 받는 反面, 太半줄기細胞는 태어날 때 한 番 保管해두면 供與者의 나이에 따른 增殖力에 制限을 받지 않는다 △太半은 妊娠期間에 母體 免疫體系의 攻擊으로부터 胎兒를 保護하는 機能을 하는 長期이므로 基本的으로 免疫을 抑制할 수 있는 能力을 지녔다 等이다.

    또한 太半은 臍帶血보다 다양한 줄기細胞를 包含한다는 長點도 지닌다. 除隊穴은 造血모 줄기細胞로만 構成된 反面, 太半에는 造血모 줄기細胞를 包含해 羊膜 由來 줄기細胞, 中間葉 줄기細胞, 營養막 줄기細胞 等이 들어 있다. 따라서 治療할 수 있는 疾患의 範圍도 太半줄기細胞가 더 많을 수밖에 없다. 太半줄기細胞의 分化能力을 考慮할 때 神經系 疾患, 肝 疾患, 筋骨格系 疾患 等에 太半이 널리 適用될 수 있으리라는 게 專門家들의 意見이다.

    이와 關聯해 國內에선 動物實驗에서 一部 成果를 올리는 快擧가 있었다. CHA 醫科學臺 生命科學科 金基鎭 敎授 硏究팀은 太半줄기細胞를 간 疾患이 있는 動物에 移植해 간 纖維化를 抑制하는 結果를 얻었다. 이 같은 肝 纖維化 抑制 效果가 人間에도 똑같이 適用된다는 事實이 確認될 境遇, 只今까지 不治病으로 알려진 肝硬化를 治療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셈.

    金 敎授는 “이番 實驗에서 太半줄기細胞를 移植하는 方法에 따라 간 纖維化 抑制 效果에 差異가 나타난다는 事實을 觀察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胎盤줄기細胞가 어떤 棋戰을 통해 간 纖維化를 抑制하는지 밝혀내겠다”고 말했다.

    太半注射로 慢性 어깨痛症에서 解放

    80% 痛症 減少 … 退行性 部分破裂 患者들에 希望


    난치병·불치병 완전정복 ‘도전장’
    찢어질 듯한 어깨 痛症은 緋緞 過激한 身體活動을 하는 運動選手에게만 생기는 것이 아니다. 退行性 疾患의 一環으로, 中年層에게서 심심찮게 나타난다. 어깨를 움직이게 하는 힘줄이 反復的 衝擊이나 磨耗로 徐徐히 損傷되기 때문. 많은 이들이 五十肩으로 誤認하고 침으로 고쳐보려 하지만 그다지 效果를 보지 못한 채 밤마다 끙끙 앓기 일쑤다.
    太半主事가 이런 어깨 痛症 緩和와 어깨 힘줄 再生에 效果가 있다는 事實이 早晩間 臨床實驗으로 밝혀질 豫定이라 關心을 모은다. CHA 醫科學臺 江南車病院 慢性痛症센터는 現在 1年 以上 어깨 痛症을 앓아온 退行性 部分破裂 患者들을 對象으로 綠十字의 太半注射 ‘지씨제이砒鈹 라이넥’이 어깨 痛症과 어깨 힘줄 再生에 미치는 影響을 硏究하고 있다. 어깨 痛症 緩和에 效果가 있다는 事實은 이미 立證됐다. 30名의 患者에게 2週間 4回 太半注射 治療를 했더니 平均的으로 80% 以上 痛症이 減少했다. 超音波로 觀察하는 어깨 힘줄 再生 效果는 注射 後 6個月 以上 觀察해야 하기 때문에 來年 初 結果가 나올 豫定이다. 그러나 注射 後 6個月이 지난 患者의 힘줄 破裂 크기가 5cm에서 4.5cm로 減少한 事例가 나오는 等 希望的 結果가 나올 兆朕이 보인다. 이 硏究를 主導하는 센터長 이영진 敎授(家庭醫學科·神經科 專門醫)는 “大部分의 退行性 部分破裂 患者들은 鎭痛劑를 服用하고 物理治療를 받는 데 머물면서 不便을 안고 살아간다”며 “이런 患者들에게 胎盤主事가 하나의 代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展望했다.
    강지남 記者 layra@donga.com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