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가 꾸준히 하면 그것이 才能”|週刊東亞

週刊東亞 355

..

“아이가 꾸준히 하면 그것이 才能”

神童 피아니스트 임동혁 兄弟 敎育期 … “健康 챙기고 冊 사준 것이 뒷바라지 全部”

  • 전원경 記者 winnie@donga.com

    入力 2002-10-11 16:39: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아이가 꾸준히 하면 그것이 재능”

    임동혁은 지난해 12月 프랑스 롱티보 콩쿠르에서 優勝하며 彗星처럼 나타난 新銳 피아니스트다. 9月 初에 열린 그의 첫 來韓 獨奏會는 全席 賣盡을 記錄했다.

    젊은 피아니스트 임동혁(18)의 人氣가 하늘을 치솟고 있다. 9月7日 서울 역삼동 LG아트센터에서 열린 獨奏會에서 적잖은 數의 팬들이 票를 求하지 못해 公演場 바깥에서 CC TV로 演奏를 지켜보았는가 하면, 9月 初 EMI에서 發賣된 첫 獨집 音盤은 發賣 한 달 만에 1萬餘張 가까이 販賣됐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daum’에 組織된 임동혁의 팬클럽 會員 數는 2500名 線, 클래식 音樂家 팬클럽으로는 조수미 다음가는 規模다.

    現在 모스크바音樂院 4學年에 在學中인 임동혁이 本格的으로 國內에 紹介된 것은 지난해 12月 프랑스 롱티보 콩쿠르에서 優勝하면서부터다. 不過 1年 만에 놀라운 人氣를 얻은 셈이다. 임동혁의 兄 洞民群(22) 亦是 올해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4位에 入賞한 有望株다. 임동민 동혁 兄弟를 모두 피아니스트로 키워낸 父母는 音樂과는 無關한 사람들. 아버지인 임홍택 삼성물산 모스크바 支社長은 勿論이고 어머니인 박현옥氏度 러시아로 移住하기 前까지 中學校 家庭 敎師였다.

    父母는 具體的 關心 가져야

    “저는 音樂을 專攻하지 않아서 아이들이 피아노를 치기만 하면 되는 줄 알았어요. 잘 치는지 못 치는지도 잘 몰랐는데 그게 오히려 아이들에게 스트레스를 덜 주는 要因이 아니었나 싶어요.” 어머니 박현옥氏의 말이다. 아버지인 임홍택氏 亦是 “父母가 音樂에 對해서는 아는 바가 없기 때문에 健康에 神經 써준 것과 冊 사준 것이 뒷바라지의 全部였다”고 말한다.

    “아이들이 어릴 때 音樂的인 環境에서 자란 것도 아니었으니 저희는 早期敎育 같은 것과는 距離가 멀었죠. 다만 두 아이 모두 音樂을 듣고 그대로 피아노로 옮기는 聽音 實力이 뛰어났어요. 동혁이는 어릴 때부터 演奏를 듣고 ‘惡報償에는 샤프(#)가 있는데 演奏者는 그냥 쳤어’ 하고 正確히 指摘할 程度였어요.”



    동혁은 어린 時節부터 유난히 머리가 좋은 아이였다. 6歲 때 기독교방송이 主管한 英才學校에서 ‘最上位 0.001% 안에 드는 秀才’라는 判定을 받고 1年間 英才敎育을 받기도 했다. 初等學校 3學年 때인 10歲에 러시아로 건너가 러시아 初等學校 過程 1學年부터 다니기 始作한 동혁은 越班에 越班을 거듭해 15歲에 大學 課程인 모스크바音樂院에 入學했다. 兄 洞民度 2年을 越班해 現在 동혁과 같은 4學年 過程에 다니고 있다.

    모스크바로 移住하면서 敎職을 그만둔 朴氏는 그때부터 아이들 敎育에 專念했다. 朴氏의 敎育方法은 音樂敎育을 시키는 父母가 아니더라도 귀담아들을 만하다. 朴氏의 敎育方針은 크게 세 가지. 어릴 때부터 運動을 시킨다, 잠을 充分히 재운다, 아이에게 具體的인 關心을 기울인다 等이 그것이다.

    “아이들이 커서 어떤 일을 하더라도 體力과 健康이 가장 重要하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運動을 하면 目標에 끝까지 매달리는 根性도 배울 수 있죠. 제가 요즘도 가장 걱정하는 것은 아이들의 健康이에요. 特히 피아노 演奏는 肉體的으로도 많은 힘을 必要로 하거든요.”

    洞民과 동혁은 엄청난 練習벌레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하루에 平均 7時間씩 피아노를 練習한다. 그처럼 오랜 時間 피아노에 매달리고도 音樂 아닌 다른 길에 눈을 돌린 적은 한 番도 없었다. “어떤 分野든 아이가 꾸준히 한다면 곧 才能이 있는 것”이라는 朴氏는 “아이들이 피아노에 싫症내지 않는 것을 보고 音樂에 才能이 있다는 事實을 알았다”고 한다.

    “언젠가 동혁이한테 ‘네가 生物 같은 科目을 잘하니 醫師가 되면 어떻겠니?’ 하고 勸誘한 적이 있었어요. 그러자 동혁이가 ‘只今껏 피아노에 投資한 時間이 아까워서라도 그렇게는 못한다’고 對答하더군요. 그 後부터는 아이들의 進路에 對해 아무 말도 하지 않았어요.”

    “아이가 꾸준히 하면 그것이 재능”

    아버지 임홍택氏(맨 왼쪽)와 함께 한 임동혁(가운데). 林氏 夫婦는 音樂을 專攻하지 않았지만 아들 둘을 모두 훌륭한 피아니스트로 키워냈다.

    러시아式 音樂 敎育이 미친 影響도 빼놓을 수 없다. “매니지먼트나 音盤社의 눈에 띄기는 美國이 더 쉬웠을 거예요. 하지만 敎育의 秩滿 따져보면 러시아에 가기를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러시아의 音樂的 水準이 世界 最高다 보니 차이코프스키 콩쿠르 같은 權威 있는 콩쿠르에 入賞한 學生들이 한둘이 아니에요. 敎授의 水準도 무척 높고요.”

    아이들의 레슨에 恒常 同行하는 朴氏는 “韓國에서는 先生님들이 레슨할 때 細細한 테크닉을 가르치는 데 注力하는 反面, 러시아 先生님들은 曲의 全體的인 스타일이나 音樂性을 重視하는 것 같다”고 所感을 이야기했다. 特히 러시아의 音樂敎師들은 學生이 처음 接하는 曲을 연주할 때 으레 ‘2樂章을 연주해보라’고 말한다고 한다. “느린 樂章인 2樂章에서 學生이 얼마나 自然스러운 ‘音樂’을 이끌어내는지를 보기 위한 것이죠.”

    朴氏는 ‘單純한 關心이 아닌, 具體的인 關心을 통해 아이의 性向을 把握하는 것이 重要하다’고 말한다. 于先 父母가 아이들을 確實하게 알아야 거기에 걸맞은 敎育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朴氏는 아이들의 스타일에 對해 이처럼 客觀的인 評價를 내린다. “洞民이 境遇는 性格이 內省的인 便이다 보니 抒情的인 曲을 연주하는 데에 能하고 동혁이는 外向的이고 스케일이 큰 曲의 演奏가 어울려요.”

    周圍에서 ‘成功했다’고 말하지만 朴氏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이제 艱辛히 成年이 된 아이들이고 音樂家로서의 커리어度 始作하는 段階라고 봐요. ‘成功의 祕訣을 이야기해달라’는 質問을 받으면 문득 두렵기도 해요. 父母의 立場에서는 뛰어난 피아니스트 못지않게 좋은 사람으로 成長해가기를 바랄 뿐이죠.”





    敎育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