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로(Zero)’ 마케팅의 眞實|週刊東亞

週刊東亞 1439

..

‘제로(Zero)’ 마케팅의 眞實

[Food Trend] 代替 糖이 칼로리 낮춰 健康에 도움 주지만 燒酒는 例外

  • 이채현 自由寄稿家

    入力 2024-05-16 09: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제로(zero) 식품에서 제로는 설탕이 들어가지 않은 ‘제로 슈거’를 뜻한다. [GETTYIMAGES]

    제로(zero) 食品에서 제로는 雪糖이 들어가지 않은 ‘제로 슈거’를 뜻한다. [GETTYIMAGES]

    지난 몇 年間 健康에 對한 關心이 커지면서 食品 市場에 제로(zero) 烈風이 불고 있다. 飮料뿐 아니라 主流, 아이스크림, 菓子·빵, 소스類 等으로 그 領域이 繼續해서 擴大되는 모습이다. 特히 ‘갓生’을 키워드로 삼는 MZ世代가 健康管理를 目的으로 一般 食品 代身 제로 食品을 選擇하면서 제로 烈風을 키우고 있다.

    제로 食品에서 제로는 ‘제로 슈거’, 卽 ‘無雪糖’을 意味한다. 雪糖 代身 적은 量으로 强한 단맛을 내는 알룰로스, 스테비아, 아스파탐, 소르비톨, 자일리톨 等 代替 黨을 使用해 食品 칼로리를 크게 낮춘 것이다. 사람들이 제로 食品을 찾는 理由는 雪糖이 들어간 食品보다 健康에 이로울 거라는 생각 때문이다. 다이어트에 제로 食品이 도움이 되리라는 認識도 함께한다. 그렇다면 제로 食品은 果然 健康에 이로울까.

    正答은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이다. 元來부터 雪糖이 많이 들어가는 食品群이라면 大體 黨을 使用했을 때 그만큼 칼로리가 낮아지기에 健康에 더 낫다고 볼 수 있다. 알룰로스의 境遇 95% 以上이 體內에 吸收되지 않고 排出되며, 스테비아는 熱量이 0㎉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애初에 雪糖이 적게 들어가는 食品이라면 大體 黨을 써도 炭水化物, 나트륨 等 다른 營養成分이 안 좋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代表的인 例가 燒酒다. 燒酒엔 糖類가 100㎖當 0.12g밖에 包含되지 않아 一般 燒酒와 제로 燒酒의 칼로리 差異는 크지 않다. 代替 黨을 使用하더라도 燒酒의 主要 成分인 알코올 自體가 g當 7㎉ 熱量을 내기에 全體 칼로리가 그다지 줄지 않는 것이다. 最近 한국소비자원이 市中에 販賣되는 제로 燒酒 5種을 分析한 結果 이들 제로 燒酒의 熱量은 100㎖當 最小 88㎉에서 最大 106㎉人 것으로 나타났다. 一般 燒酒에 비해 겨우 2.85(2.6㎉)~13.7%(14.7㎉) 낮은 數値다. 大多數 사람이 제로라는 말만 듣고 제로 燒酒 칼로리가 훨씬 낮을 거라고 생각하지만 實狀 그렇지 않은 것이다.

    그 밖에 제로 마케팅의 포인트를 嚴密히 살피는 것도 重要하다. 麥酒業界에선 비알코올 麥酒(알코올 含量 1% 未滿)를 제로 麥酒라고 稱하는 境遇가 많다. 이에 많은 사람이 제로 麥酒를 알코올이 全혀 들어가지 않은 麥酒라고 誤認하는데, 알코올이 一切 包含되지 않은 麥酒는 無알코올 麥酒다. 따라서 微量의 알코올에도 影響을 받을 수 있는 患者, 술을 全혀 못하는 사람은 用語 差異를 區分할 必要가 있다.



    複雜하게 進化하는 제로 트렌드 속에서 健康한 食習慣을 追求하고 싶다면 제로라는 말에 眩惑되기보다 食品 表記를 꼼꼼히 따지는 게 賢明하다. 또 食品 市場에선 제로 슈거, 제로 칼로리, 제로 알코올 等 各其 다른 意味로 제로라는 키워드를 活用하고 있기에 食品을 選擇할 때 ‘무엇이 제로인지’ 嚴密히 살펴보기를 勸한다.



    Food Trend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