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英雄’ 李國鍾의 誕生|週刊東亞

週刊東亞 1116

..

손석한의 世上 關心法

‘英雄’ 李國鍾의 誕生

  • 入力 2017-12-05 14: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李國鍾 烈風’이다.

    11月 13日 北韓軍 兵士 오청성(25) 氏가 板門店 共同警備區域(JSA)을 통해 大韓民國으로 歸順했다. 北韓軍 追擊條가 쏜 銃彈을 여러 發 맞아 목숨이 위태로웠지만 李國鍾 亞州大 醫科大學 敎授는 死境을 헤매던 吳氏를 살렸다.

    大韓民國이 北韓보다 더 살기 좋고 앞선 나라임을 다시 한 番 確認했고, 甚한 銃傷을 입은 靑年을 外傷手術 分野 最高 權威者가 살려낸 感動 스토리로 끝날 수 있었다. 그러나 靑年의 몸에서 寄生蟲이 發見됐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事件은 政治的으로 變質될 兆朕을 보였다.

    兵士 몸속에서 큰 寄生蟲이 나왔다는 事實이 過去 1970年代 國民의 驅蟲劑 服用을 想起케 하면서 ‘亦是 北韓은 落後된 나라로 住民들이 悲慘하게 살아가는구나’라는 聯想을 불러일으켰다.

    正義黨 金鍾大 議員이 이를 批判하고 나섰다. 그는 醫療法 違反을 擧論하면서 患者의 權利를 擁護했고, 北韓 離脫住民이 ‘嫌惡 對象’으로 낙인찍힐 수도 있다는 憂慮를 表明했다. 말 自體는 그리 틀린 것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國民은 곧바로 憤怒했다. ‘한 生命을 살려놨는데 그의 寄生蟲 感染 事實을 알린 것이 그렇게 잘못인가’라는 意見과 함께 ‘김종대 議員에게는 北韓 사람의 體面 또는 尊嚴이 더 重要한가’라는 非難 輿論이 들끓었다. 國民은 人之常情(人之常情)과 常識 次元에서 狀況을 把握하고 있었다. 輿論 向背를 把握한 金 議員은 “李國鍾 敎授를 直接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解明하면서 함께 謝過하자고 했다. 그러자 國民은 더욱 憤怒했다. ‘本人이 謝過하면 될 일을 왜 함께 謝過하자고 하는가’라는 反應이었다. 甚至於 어떤 사람은 “‘국개議員’(國會議員을 貶毁하는 表現)李 어디 敢히 사람을 살린 醫師先生님(李國鍾 敎授)에 對해 함부로 말해”라는 原色的인 表現을 쏟아냈다.



    “‘국개議員’李 醫師先生님을…”

    게다가 이 敎授가 言論에 患者 手術 過程을 積極的으로 說明하는 同時에 自身의 平素 생각과 主張을 거침없이 얘기하자 그의 人氣는 신드롬으로 번졌다. 圈域外傷센터(圈域 內에서 發生하는 外傷患者의 應急醫療를 擔當하기 위해 指定된 病院) 支援을 促求하는 靑瓦臺 國民請願 意見이 23萬 件을 넘어섰고, 保健福祉部는 圈域外傷센터 豫算과 人力 擴充에 나서기로 했다. 政治權도 與野 區分 없이 支援을 約束했다.

    醫師 한 名이 大多數 國民으로부터 사랑받고 나아가 政策 過程에 影響을 미친 一連의 過程을 들여다보면 이 敎授 個人과 國民이 보인다. 먼저 이 敎授에 對해 살펴보자. 그가 쏟아낸 말들이다. 


         “人權 死角地帶에서 悲慘하게 일하고 있는 重症外傷센터 職員들을 考慮해주세요.”

         “萬一 醫療法 違反이라면 제가 어떠한 處罰도 받겠습니다.”

         “모든 責任은 센터長人 저에게 있습니다.”

         “저는 病院 內에서 人氣가 없고, 醫療界에서도 歡迎받지 못합니다.”



    그는 自身의 利益이나 名譽보다 함께 일하고 苦生하는 職員들을 먼저 言及했다. 表情이 多少 차갑고 무뚝뚝한 性格으로 알려졌지만 다른 사람을 配慮하는 ‘利他主義(altruism)’를 보여주고 있다. 醫療法 違反 可能性에 對해 그는 辨明하지 않았다. 하지만 北韓 兵士 몸속의 寄生蟲은 手術 過程에서 대단히 重要한 事實이었기에 國民의 理解를 돕고자 밝히는 것이 낫겠다고 判斷한 過程을 率直하게 告白했다.

    過去 ‘아덴灣의 英雄’ 석해균 船長을 手術할 當時 여러 臆測과 誤解를 經驗했던 그가 選擇할 수 있는 最善의 카드였다고 여겨진다. 堂堂함과 率直함이 엿보인다. 더 重要한 價値를 選擇하는 苦悶의 過程은 그가 신중한 사람이라는 事實을 보여준다. 모든 責任이 自身에게 있다는 것은 그가 리더십을 지닌 ‘指導者’임을 立證하는 表現이다. 組織 構成員의 犧牲과 獻身을 强要하는 一部 ‘보스’와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 自身은 오로지 重症外傷을 입어 목숨이 위태로운 사람을 살리는 分野에서 最善을 다하는 醫師일 뿐 魅力 없는 사람임을 밝히는 대목에서는 謙遜함이 느껴지고, 또한 自身을 客觀的으로 評價함으로써 自我陶醉 陷穽에 빠져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줬다. 社會性이 뛰어나고 社交的李라면 그렇게 險難하고 어려운 길을 默默히 걸어올 수 있었겠는가. 患者를 살리려는 ‘뚝심(grit)’과 反比例하는 ‘妥協(compromise)’李 鮮明하게 對比된다.

    그는 健康保險審査評價院의 醫療費 削減에도 患者를 살리는 데 必要한 醫療行爲를 讓步하거나 抛棄하지 않았다. 病院이 져야 할 負擔에 對해서는 비록 未安한 마음이 있었을지언정 눈치를 보고 妥協하는 法이 없었다. 그에게는 患者 生命을 살리는 일이 最上位 價値에 놓여 있다. 現實을 살면서 어쩔 수 없이 놓아줘야 했던 ‘理想主義(idealism)’를 實現하고 있다.

    劣惡하고 숨 막히며 不合理한 韓國 醫療 制度 아래서 몸과 마음을 많이 다친 그이지만, 只今 이 瞬間에도 理想主義를 繼續 펼치는 ‘幸福한 少年’이라고 볼 수 있다.


    利他主義·理想主義 兼備

    경기 수원시 아주대병원
옥상에 설치된 환자 이송용
헬기장에 선 이국종 교수.[홍중식 기자]

    京畿 水原市 亞州大病院 屋上에 設置된 患者 이송용 헬기場에 선 李國鍾 敎授.[홍중식 記者]

    이제 國民의 마음을 읽어보자. 많은 國民이 ‘代理滿足’을 느끼고 있다. 北韓 住民이 悲慘하게 살아간다는 實狀은 알게 됐지만, 우리 國民이 해줄 수 있는 일은 別로 없다. 人道的 次元의 食糧, 醫藥品, 物品 支援이 可能할 뿐 그들을 直接的으로 보듬어줄 수 없다. 어떤 이들은 ‘나 살기도 바쁜데 北韓 住民은 神經 쓰고 싶지 않다’고 생각한다. 金正恩이 核·미사일 開發에만 沒頭하고 있으니 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제 발로 歸順한 兵士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自由, 幸福, 平和, 豐饒를 찾아 목숨 걸고 大韓民國으로 온 젊은 北韓 靑年이 잘 適應하고 제대로 살아가기를 應援한다. 그런데 兵士의 목숨이 위태로워졌고, 그를 도와주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다. 이때 이 敎授가 그를 살렸다. 어려운 處地에 놓인 사람을 돕고자 하는 人間의 普遍的 心性과 道德的 價値를 代理滿足으로 實現한 것이다. 國民은 自信感과 希望을 느꼈다. ‘석해균 船長을 살린 다음에도 重症外傷센터는 달라지지 않았는데 이番 機會에 改善된다고 하니 多幸이다. 나도 劣惡한 環境에서 別로 待遇받지 못하지만, 李國鍾 敎授처럼 本然의 業務에 充實하다 보면 分明히 달라질 것이다.’ 그間 수많은 失望과 挫折을 經驗한 國民에게 이 敎授는 한 줄기 빛처럼 느껴졌을 테다.

    綜合編成채널 JTBC 孫石熙 앵커와 李 敎授의 인터뷰에서 成形外科와 一般外科를 比較하는 대목이 있었다. 孫 앵커는 이른바 돈을 좇는 成形外科 醫師에 빗대 眞情으로 사람 목숨을 살리고자 하는 外科醫師인 李 敎授를 稱讚하려는 意圖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는 다른 사람들과 比較優位를 通해 돋보이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사람 生命을 살리는 大學病院 外科 敎授 못지않게 뛰어난 醫療 술氣를 배우고 開發하는 成形外科 醫師도 훌륭하다.”

    李 敎授의 非社會性·非妥協性·非共感性이 그가 追求하는 最高 價値인 ‘生命’을 살리면서 漸次 정의로움, 非凡함, 配慮, 따뜻함으로 變化, 發展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條件을 제대로 갖춘 英雄 誕生의 畫龍點睛이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