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血壓 越冬準備 서둘러라|주간동아

週刊東亞 607

..

高血壓 越冬準備 서둘러라

氣溫 1℃ 내려갈 때마다 收縮期 血壓 1.3mmHg 程度 上昇

  • 글_ 김효수 서울대 醫大 서울대병원 循環器內科 敎授

    入力 2007-10-22 10:0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고혈압 월동준비 서둘러라

    겨울철에는 추위에 따른 血壓의 變化가 잦으므로 特히 注意해야 한다.

    찬바람이 불면 病院을 찾는 高血壓 患者도 늘어난다. 血壓은 여름철이 되면 떨어졌다가 10月 以後 上昇하기 始作한다. 氣溫이 1℃ 내려갈 때마다 收縮期 血壓은 約 1.3mmHg 올라가고, 擴張期 血壓도 0.6mmHg 程度 높아진다. 그만큼 高血壓으로 인한 危險度 높아지게 된다. 겨울철을 安全하게 나려면 가을부터 ‘高血壓 越冬準備’를 서둘러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高血壓 合倂症 死亡, 1~2月 最多

    季節에 따른 血壓의 變化는 正常人보다 高血壓 患者에게서, 一般 成人보다는 老人에게서 더 크게 나타난다. 또한 이런 變化는 밤보다 主로 낮에 나타나는데, 추위에 露出되는 낮에는 外部로 열 發散을 막아야 하므로 體內 血管이 收縮해 血壓이 上昇하게 된다.

    氣溫이 떨어지면 血管收縮에 더해 血液이 津해지고 地質(脂質) 含量이 높아져 血壓上昇과 더불어 動脈硬化症의 進行도 加速化할 可能性이 높다. 겨울철 아침은 그래서 危險하다. 아침엔 血管收縮이 增加해 血壓이 上昇하는데, 여기에 차가운 바깥 날씨를 만나면 心臟發作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高血壓 合倂症으로 因한 死亡은 10月부터 늘기 始作해 1~2月에 가장 많이 發生한다. 大韓高血壓學會가 統計廳 資料를 土臺로 2000年부터 2003年까지 4年 동안 腦血管 疾患과 虛血性 心臟疾患 等 高血壓性 疾患에 依한 死亡者 數가 가장 높았던 달과 가장 낮았던 달의 死亡患者 數 差異를 알아본 結果, 겨울철이 여름철보다 平均 33%나 높은 死亡率을 보였다.



    高血壓 患者는 年末 會食 때 節酒해야

    年末이 다가오면 會食자리가 잦아진다. 高血壓 患者는 이때 節酒를 해야 한다. 過飮은 血壓을 올라가게 할 뿐 아니라 藥물治療 效果도 떨어뜨린다. 血壓을 상승시키지 않는 安全한 飮酒量은 하루 알코올 攝取量으로 30g 以下다. 이는 麥酒 1~2컵, 燒酒 1~2盞이다. 吸煙은 心臟疾患 危險을 2倍 以上 증가시키고 血壓을 상승시키는 主要 要因 中 하나이므로 高血壓 患者에게 禁煙은 必須다.

    카페인도 血壓을 上昇시키므로 커피와 카페인 含有量이 높은 갖가지 疲勞回復劑, 鎭痛劑, 綠茶, 雀舌茶 等의 濫用을 삼가는 것이 좋다.

    고혈압 월동준비 서둘러라
    外出할 때는 갑자기 추위에 露出되지 않도록 옷을 한 겹 더 챙겨 입는 게 바람직하다. 추운 밤에도 두껍고 무거운 이불을 덮는 것보다는 얇고 가벼우면서 保溫性이 좋은 이불을 겹쳐 덮는 것이 좋다.

    겨울엔 氣象 詩에도 注意가 必要한데, 操心性 없이 일어나다가 發作으로 쓰러지는 境遇가 種種 있으므로 이불 속과 房 溫度 差가 적도록 暖房에 神經 써야 한다. 또한 아침에 大門 밖으로 新聞을 가지러 갈 때는 덧옷을 입어야 한다. 겨울철 새벽運動은 避하고, 햇볕이 내리쬐는 낮에 充分히 準備運動을 한 뒤 運動을 始作하는 게 좋다. 平素와 다른 症狀을 느낀다면 곧바로 醫師의 診察을 받도록 하자.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