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每日 ‘秋夕’이었으면 좋겠네|주간동아

週刊東亞 503

..

每日 ‘秋夕’이었으면 좋겠네

날씨 좋고 豐饒로운 韓國 最大 名節 … 松편과 술 빚어 祖上에게 收穫의 기쁨 알려

  • 장옥경/ 自由寄稿家

    入力 2005-09-14 16:14: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매일 ‘추석’이었으면 좋겠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 우리 民族 最大 名節 秋夕놀이 강강술래와 市場의 豐盛한 祭需用品(오른쪽).

    이달에는 百物(百物)李 成熟하기 때문에 中樞(仲秋)를 佳節(佳節)이라고도 부른다. 그러므로 民間에서는 이를 가장 所重하게 여긴다. 이날에는 農村의 가난한 사람들까지도 모두 술을 담그고 닭을 잡아 飯饌을 만들며 여러 과일과 飮食을 床에 가득 차려 먹는다. 그러면서 하는 말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다.’

    ‘冽陽歲時記’에 記錄된 秋夕에 對한 說明이다. 秋夕은 설, 端午와 함께 3代 名節 中 하나로 예부터 盛大하게 보내왔다. 가을의 한가운데라는 뜻에서 仲秋節, 한가위, 가위, 加倍 等 다양한 이름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한가위의 ‘韓’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卽 한가위는 8月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意味다.

    ‘次例’와 ‘忌祭’ 性格과 形式 若干 差異

    ‘三國史記’에 依하면 新羅 儒理王은 길쌈을 奬勵하기 위해 해마다 한가위 한 달 前인 7月이 되면 六部(六部·氏族을 中心으로 나눈 慶州의 여섯 行政區域으로 及梁部, 沙梁部, 本彼部, 漸梁部, 한기부, 習比部를 이름)의 모든 兒女子들을 두 便으로 나눠 내기를 시켰다. 그리고 한 달 동안 熱心히 베를 짜게 한 뒤 한가윗날에 어느 便이 더 많이 짰는지 가려냈던 것이다. 내기에 진 便은 이긴 便에게 松편, 고기, 前, 밤, 대추, 다래, 배 等 飮食을 푸짐하게 마련하여 待接하고 함께 遊戱를 즐기며 내기에 진 빚을 갚았다. 여기에서 ‘加倍(嘉俳)’라는 말이 나왔고, 이는 나중에 ‘가위’라는 말로 바뀌었다. 진 便과 이긴 便이 모두 둘러앉아 즐거운 날을 보낸 新羅의 名節이 오늘날까지 繼續 이어져 秋夕이 된 것이다.

    秋夕에 行해지는 놀이로는 강강술래, 줄다리기, 가마싸움, 씨름, 밭고랑 機器 等이 있다.



    秋夕 茶禮는 햅쌀로 밥을 짓고 松편을 만들고, 술을 빚어 祖上에게 收穫의 기쁨을 알리는 行事라고 할 수 있다. 說이나 秋夕 等의 名節에 지내는 祭祀를 特別히 次例(茶禮)라고 하는데 옛말은 茶禮였다. 그러나 茶禮는 ‘車 禮節’을 뜻하는 말이 되어 ‘次例’라는 말로 定着되었다. 큰 틀로 보면 祭祀에 次例도 包含된다. 그러나 性格과 形式에서 若干의 差異가 있다.

    첫째, 祭祀는 故人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忌祭(忌祭)’를 말한다. 茶禮는 설이나 秋夕 같은 名節에 지낸다.

    둘째, 祭祀는 밤에 지내지만 次例는 낮에 지낸다.

    셋째, 祭祀는 그날 돌아가신 祖上과 配偶者에 對해서만 지내지만, 次例는 機制를 받드는 모든 祖上을 한 床에서 지낸다.

    넷째, 祭祀는 長孫의 집에서 지내지만, 次例는 집에서 지내기도 하고 祠堂이나 墓地에서 지내기도 한다.

    다섯째, 祭祀는 床에 밥과 국을 올리지만, 次例는 季節의 特別食을 準備해서 올린다. 설에는 떡국, 한가위에는 松편을 올리는 式이다.

    여섯째, 祭祀 때는 술을 세 番 올리는 反面, 茶禮 때는 한 番만 올린다. 祭祀는 殘飯(술盞과 받침臺)을 내려 술을 따른 뒤 올리지만, 次例는 酒煎子를 들고 祭祀床 위의 盞半에 直接 따른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