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漢江·蔚山 太和江·晉州 南江… 東西로 흐르는 물길에 豐饒로움|주간동아

週刊東亞 1438

..

서울 漢江·蔚山 太和江·晉州 南江… 東西로 흐르는 물길에 豐饒로움

[안영배의 웰빙 風水] 東西로(東西路)는 財物 길, 南北路(南北路)는 權力 길

  • 안영배 美國 캐롤라인臺 哲學科 敎授(風水學 博士)

    入力 2024-05-05 09: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朝鮮 首都가 漢陽 땅으로 決定된 後 정도전(1342~1398)은 首都 建設 總責任者로 일했다. 朝鮮 建國功臣이기도 한 鄭道傳은 當時 漢陽都城 設計圖에 儒敎式 禮法을 담았다. 王은 南쪽을 바라봐야 한다는 原則에 따라 北쪽 北岳山 자락에서 正南向으로 景福宮을 設計했다. 또 景福宮을 中心으로 왼쪽(東쪽)엔 王室 祠堂인 宗廟를 지어 國家 權力을 象徵했고, 오른쪽(西쪽)엔 土地와 穀食의 神에게 祭祀를 지내는 社稷壇을 지어 國家 經濟의 根本을 밝혔다.

    사람이 오가는 道路도 ‘權力 길’과 ‘經濟 길’로 나눴다. 景福宮 正門인 光化門 앞쪽 南北으로 펼쳐진 道路는 六曹(六曹)거리로 造成됐다. 議政府, 六曹, 司憲府 等 朝鮮 主要 權力 機關이 들어섰다.

    東西 雲從街의 時前, 南北 六曹거리의 官廳

    종각을 중심으로 동서로 펼쳐진 종로(鐘路)는 조선시대 이후 서울의 전통 상업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GETTYIMAGES]

    鐘閣을 中心으로 東西로 펼쳐진 鍾路(鐘路)는 朝鮮時代 以後 서울의 傳統 商業 中心地로 자리매김했다. [GETTYIMAGES]

    南北 軸으로 造成된 육조거리는 現在 光化門에서 世宗大王 및 李純信 將軍 銅像이 들어선 世宗大路 一帶를 가리킨다. 只今도 이 大路에는 大韓民國歷史博物館(吏曹 터), 政府서울廳舍(禮曹 터), 美國大使館(漢城府 터), KT빌딩(好調 터), 世宗文化會館(刑曹 및 兵曹 터) 等이 들어서 있다. 鄭道傳은 六曹거리에 들어선 官廳들을 보고 “마치 별들이 北斗七星(景福宮)을 向해 揖하는 듯하다”며 흐뭇한 마음으로 글을 짓기도 했다.

    육조거리는 現 세종대로 四거리쯤에서 끝난다. 바로 이곳에서부터 東쪽 東大門 方向으로 이어지는 길이 經濟 길인 雲從街(雲從街)다. 종루(鐘閣)를 中心으로 東西軸으로 펼쳐진 이 大路를 따라 國家 公認을 받은 市長인 市廛과 六矣廛 等이 들어섰다. 雲從街, 卽 鍾路는 以後 朝鮮 最高 商業 中心地로 蕃盛했다. 또한 雲從街를 境界線 삼아 그 北쪽은 北村이라고 해 權力家 等 上流層 住宅街가 形成됐고, 南쪽 南村에는 商人이나 庶民層 居住地가 造成되기도 했다.

    事實 鄭道傳의 이 같은 漢陽都城 配置는 하늘 별자리를 본뜬 것이기도 하다. ‘天孫(天孫) 民族’이라는 自負心을 가진 韓國 사람들은 漢陽都城을 建設할 때도 하늘의 重要 별자리를 地上에 具現했다. 우리 固有의 天文圖인 ‘天象列次分野之圖’에 依하면 하늘 中心엔 三元(紫微垣·太微垣·天市垣)이 있다. 紫微垣은 北쪽 하늘 最高新人 喪制(上帝)와 그 家族이 사는 宮闕이고, 太微垣은 하늘 閣僚들이 일하는 政府綜合廳舍이며, 天市垣은 하늘 百姓들의 삶터다. 이 같은 三元이 地上에 그대로 投影된 形態가 바로 漢陽都城이다. 卽 하늘 神이 사는 紫微垣은 임금이 居住하는 景福宮에 該當한다. 天文圖에서 紫微垣 바로 下段에 位置한 太微垣은 景福宮 南쪽 六曹거리라고 할 수 있다. 銀河水를 끼고 經濟 活動을 擔當하는 하늘 市長인 天市垣은 바로 청계천을 끼고 東西 軸으로 發達한 雲從街가 된다.



    “東西로 물길 흐르는 곳에 財産과 寶物 無窮”

    六曹거리와 雲從街로 大別되는 南北路와 東西로는 漢字語에서도 區分해 表現된다. 中國 後漢 때 지은 ‘풍속통의(風俗通義)’에서는 南北으로 난 길을 千(阡)이라 하고, 東西로 난 길을 脈(陌)이라 했다. 이때 千(南北路)은 작은 두렁길, 山기슭 길, 무덤길 等을 의미하는 反面, 맥(東西로)은 田畓 사이 길, 都市의 큰길 等을 뜻했다. 主로 經濟的으로 풍요로움을 象徵하는 길이 맥, 卽 東西路임을 暗示한다.

    南北路와 東西路의 差異點은 서울 市內 主要 道路에서도 어느 程度 確認된다. 東西로는 過去 雲從街였던 鍾路와 청계천을 따라 길이 나 있는 淸溪川路, 을지로 等이 該當한다. 南北路로는 光化門에서 崇禮門 쪽으로 이어지는 世宗大路, 曹溪寺 앞 郵政局路 等을 꼽을 수 있다. 이들 東西路와 南北路를 比較해보면 商去來 活動이나 人波 移動 側面에서 東西路가 南北路보다 훨씬 活潑했음을 알 수 있다.

    風水學에서도 東西 方向 물길은 각별하게 取扱된다. 中國 風水 古典인 ‘請五經(靑烏經)’에는 “瘦果薯童(水過西東) 財寶無窮(財寶無窮)”이라는 表現이 登場한다. 물길이 東西 方向으로 흐르는 곳에는 財産과 寶物이 無窮하다는 뜻이다. 이는 中國 大陸을 貫通하는 荒墟(黃河)와 창장(長江)을 背景으로 삼고 있는 듯하다. 서출동류(西出東流: 西쪽에서 出發해 東쪽으로 흐름)하는 두 江 모두 물줄기를 中心으로 商業 都市가 發達하고 物流 移動, 商去來 等 經濟 活動이 旺盛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風水에서는 물길과 道路의 特性이 비슷하다고 봐서 물길이 發達하지 못한 곳에선 道路가 그 役割을 한다고 解釋한다. 結局 東西數나 東西路가 財物과 豐饒의 기운이 剛한 길이라는 뜻이다.

    漢江·양재천이 陰陽 調和 이루는 江南 땅

    경남 진주 남강 오백리 물길을 따라 삼성가, LG가, 효성가 등 한국을 대표하는 재벌이 탄생했다. [GETTYIMAGES]

    慶南 晉州 南江 五百里 물길을 따라 三星家, LG가, 曉星가 等 韓國을 代表하는 財閥이 誕生했다. [GETTYIMAGES]

    韓國 經濟의 젖줄로 불리는 限强盜 東쪽에서 西쪽으로 흐르는 東西數에 該當한다. 이를 보면 韓國의 飛躍的 經濟發展을 ‘漢江의 奇跡’이라고 表現하는 게 過言은 아닌 셈이다. 한便 韓半島처럼 東高西低(東高西低: 東쪽이 높고 西쪽이 낮음) 地形에선 東西수 中 서출동류數를 더욱 貴하게 여긴다. 山과 물이 陰陽 調和를 이뤄 땅에서 더 吉하고 좋은 기운이 맺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代表的인 서출동류 물길이 慶南 晉州 南江이다. 南江 五百里 물길을 따라 三星家, LG가, 曉星가 等 韓國을 代表하는 財閥이 誕生했다고 보는 理由이기도 하다. 蔚山 太和江度 서출동류數에 該當한다. 豐饒 기운이 넘치는 물줄기 德分에 蔚山은 全國에서도 매우 富者 地域으로 소문났다. 蔚山의 1人當 地域內寵生産(GRDP)은 全國 1位를 記錄하고 있고, 1人當 個人所得度 서울에 이어 全國 2位를 達成했을 程度다(2021년 統計廳 資料).

    서출동류(西出東流)하는 양재천은 동출서류(東出西流)하는 한강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흘러 강남 일대 발복(發福) 규모를 키운다고 할 수 있다. [GETTYIMAGES]

    서출동류(西出東流)하는 양재천은 동출書類(東出西流)하는 漢江과 서로 反對 方向으로 흘러 江南 一帶 發福(發福) 規模를 키운다고 할 수 있다. [GETTYIMAGES]

    事實 서울 江南의 經濟的 豐饒도 서출동류數의 惠澤 德分이라고 할 수 있다. 서초구와 강남구 等 富者 洞네로 有名한 江南 땅의 境遇 西쪽 果川에서 發源해 東쪽 炭川까지 가로지르는 양재천이 한몫하고 있음을 否認할 수 없다. 特히 양재천은 江南 땅을 사이에 두고 동출書類하는 漢江과 서로 反對 方向으로 흐르는데, 이런 물길을 大吉수(大吉水)라고 해 發福(發福) 規模가 훨씬 크다고 본다. 동출書類와 서출동류 또한 陰陽 調和를 이루기 때문인데, 강북의 청계천과 漢江도 같은 境遇에 該當한다.

    風水 地運說(地運說)에 依하면 앞으로는 東西 方向으로 흐르는 물길이 더욱 注目받을 것이라고 한다. 理事하더라도 집 앞으로 東西수가 흐르는 곳을 選擇하는 게 풍요로운 삶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豫測이다. 내가 사는 洞네에 東西 方向의 실개川이나 도랑물이라도 있는지 有心히 살펴볼 일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