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세비우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 ( 그리스어 : Ευσ?βιο? τη? Καισαρε?α? ; 263年頃 - 339年) 또는 팜필로스의 에우세비오스 [1] ( 그리스어 : Ε?σ?βιο? το? Παμ??λου )는 로마 帝國 神學者 , 歷史가 , 釋義學者 이다. 314年 즈음에 팔레스타인 에서 가이사랴 마리티마 ( 라틴語판 ) 主敎 가 되었다. 當代 情景을 硏究하던 學者 中 가장 名望이 높은 學者로 팜필로스 와 함께 擧論된다. [2]

카이사레이兒의 유세비우스

生涯

編輯

유세비우스는 260年頃에 태어난 것으로 推定된다. [3] 家族에 對해서는 알려진 部分은 거의 없지만, 디오클레티아누스 基督敎 迫害 中 스승 팜필로스 와 同門들이 殉敎 한데 反해, 유세비우스는 짧게 投獄되었다가 풀려난 點을 두고 有力人士의 家族에 屬했다고 보기도 한다. [4] 유세비우스는 안티오케이兒와 後에 카이사레이兒에서 敎育을 받았다.유세비우스는 카이사레이兒에서 洗禮를 받았고 司祭로 敍品되었다. 296年頃 유세비우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와 함께 팔레스타인을 通過하는 콘스탄티누스 를 처음 보았던 것으로 記錄한다. [5] 팜필로스가 殉敎한 後, 그는 티로스 와 이집트로 旅行하면서 迫害를 目擊하였다. 315年頃, 유세비우스는 滿場一致로서 카이사레이兒의 主敎로 選出되었다.

神學

編輯

그리스도 의 使役을 先知者, 祭祀場, 王의 三重職으로 처음 區分했다고 알려져 있다. [6]

著書

編輯

敎會史

編輯

유세비우스가 쓴 《 敎會史 》( 그리스어 : ?κκλησιαστικ? ?στορ?α ; 라틴語 : Historia Ecclesiastica 또는 Historia Ecclesiae )는 初代 敎會 의 歷史를 年代記的으로 整列하여 體系的으로 쓴 冊으로 現存하는 最高(最古)의 敎會史 書籍이다. 使徒들로부터 유세비우스가 이 冊을 執筆한 時代까지 로마 帝國과 初代 敎會를 中心으로 일어난 事件들과 人物들을 다룬다. [7] [8] 正確하지 않은 部分이 一部 있지만, [9] 유세비우스가 參考한 書籍들 中 消失된 資料들이 많고 또 最初의 敎會史 書籍이라는 意義는 두루 인정받는다. [10]

기타

編輯
  • 팔레스타인의 殉敎者들( en ) ( Martyrs of Palestine )
  • 福音의 豫備 ( en ) ( Praeparatio evangelica )
  • 福音의 證明 ( Demonstratio Evangelica )
  • 신현 ( Theophany )
  • 마르켈루스 論駁서 ( Against Marcellus )
  • 敎會 神學에 關하여 (Upon the Church Theology)
  • 이름 ( Onomasticon )

各州

編輯
  1. “The church history of Eusebius.?:§2. Eusebius’ Birth and Training. His Life in Cæsarea until the Outbreak of the Persecution.”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 2022年 1月 29日에 確認함 .  
  2. “유세비우스” . 2020年 3月 7日에 確認함 .  
  3. The exact date of our author’s birth is unknown to us, but his Ecclesiastical History contains notices which enable us to fix it approximately. In H. E. V. 28 he reports that Paul of Samosata attempted to revive again in his day (καθ? ?μ??) the heresy of Artemon. But Paul of Samosata was deposed from the episcopate of Antioch in 272, and was condemned as a heretic at least as early as 268, so that Eusebius must have been born before the latter date, if his words are to be strictly interpreted. Again, according to H. E. III. 28, Dionysius was bishop of Alexandria in Eusebius’ time (καθ? ?μ??). But Dionysius was bishop from 247 or 248 to 265, and therefore if Eusebius’ words are to be interpreted strictly here as in the former case, he must have been born before 265. On the other hand, inasmuch as his death occurred about 340, we cannot throw his birth much earlier than 260. It is true that the references to Paul and to Dionysius do not prove conclusively that Eusebius was alive in their day, for his words may have been used in a loose sense. But in H. E. VII. 26, just before proceeding to give an account of Paul of Samosata, he draws the line between his own and the preceding generation, declaring that he is now about to relate the events of his own age (τ?ν καθ? ?μ??). This still further confirms the other indications, and we shall consequently be safe in concluding that Eusebius was born not far from the year 260 A.D. 《NPNF2-01.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by Philip Schaff )
  4. CATHOLIC ENCYCLOPEDIA : Eusebius of Caesarea
  5. An instance of this we have ourselves seen, when he passed through Palestine with the senior emperor, at whose right hand he stood, and commanded the admiration of all who beheld him by the indications he gave even then of royal greatness. (Vit. Const., I, 19).
  6. Fesko, J. V., 1970-.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 Wheaton, Illinois. 185쪽. ISBN  978-1-4335-3311-2 .  
  7. Chesnut, Glenn F. (1986), 〈Introduction〉, 《The First Christian Histories: Eusebius, Socrates, Sozomen, Theodoret, and Evagrius》  
  8. Maier, Paul L. (2007), 《Eusebius: The Church History ? Translation and Commentary by Paul L. Maier》, 9 and 16쪽  
  9. See, e.g., James the Brother of Jesus (book) by Robert Eisenman.
  10. 〈Ecclesiastical History〉, 《Catholic Encyclopedia》 , New Advent  

같이 보기

編輯

外部 링크

編輯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