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칸 映畫祭서 ‘소고기 메뉴 退出’… 炭素 줄이기 위한 方針
어린이 뉴스
  • [오늘의 뉴스] 칸 映畫祭서 ‘소고기 메뉴 退出’… 炭素 줄이기 위한 方針
  • 장진희 記者
  • 2024-05-21 11:21:00
  • 인쇄프린트
  • 글자 크기 키우기
  • 글자 크기 줄이기
  • 공유하기 共有하기
  • URL복사


第77回 칸 映畫祭 開催를 앞두고 關係者들이 레드카펫을 設置하고 있다.  칸=AP뉴시스




프랑스 南部의 칸에서 제77회 칸 映畫祭가 오는 25日까지 열리는 가운데 主催 側이 食事 메뉴에 더 以上 소고기를 包含시키지 않기로 決定해 話題를 모아요. 칸 映畫祭는 이탈리아의 베니스 映畫祭, 獨逸의 베를린 映畫祭와 함께 世界 3代 映畫祭로 꼽혀요.

칸 映畫祭를 主催하는 側은 炭素 발자국(個人, 團體가 發生시키는 溫室가스의 總量)을 줄이기 위해 올해 映畫祭에서 달라지는 것들이 있다고 最近 홈페이지를 통해 紹介했어요.


主催 側은 代表的으로 食事 메뉴에 소고기를 올리는 것을 禁止한다고 밝혔어요. 소고기를 얻기 위해 소를 키우는 過程에서 溫室가스가 많이 發生한다고 덧붙였지요. 그러면서 앞으로는 菜食 爲主의 메뉴를 擴大할 豫定이라고 했어요.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쓰레기가 發生하는 것을 막기 위해 페트甁에 담긴 물을 나눠주지 않기로 했어요. 代身 飮水臺(물을 마실 수 있게 한 施設)를 곳곳에 設置했다고 主催 側은 밝혔어요.



칸 映畫祭가 열리는 프랑스 南部의 都市 칸의 前景




映畫祭 期間 동안 쓰이는 公式 車輛은 모두 電氣車로 交替됐고, 映畫祭에 參加하는 모든 사람들은 칸 市內에서 모든 大衆交通을 無料로 利用할 수 있어요. 主催 側은 아예 交通手段을 利用하지 않는 것도 勸奬해요. 大部分 걸어서 移動할 수 있도록 主要 施設들을 가깝게 配置한 것.


參席者들을 歡迎하기 위해 行事場에 깔리는 레드카펫은 그 크기를 줄이고 交替 週期도 늘리기로 했어요. 資源이 浪費되는 것을 막기 위한 試圖이지요.


칸 映畫祭가 炭素 排出을 줄이기 위해 이렇게 努力함에도 不拘하고 一部 映畫俳優들은 專用機(特定한 사람만이 利用하는 飛行機)를 타고 行事場에 到着해 主催 側의 趣旨에 어긋나는 行動을 하고 있다고 英國 日刊 텔레그래프는 報道했어요.



[한 뼘 더] 專用機 타는 사람들에게 傳할 말은?



飛行機는 二酸化炭素를 가장 많이 排出하는 移動手段. 乘客 1名이 飛行機를 타고 1㎞를 移動할 때 나오는 二酸化炭素의 量은 같은 距離를 버스로 移動할 때의 4倍, 汽車로 移動할 때의 20倍에 達해요. 칸 映畫祭 主催 側이 二酸化炭素 排出을 줄이기 위해 努力함에도 不拘하고 專用機를 타고 行事에 參席하는 이들이 問題로 떠올랐어요. 이들을 說得하기 위해 어떤 말을 傳하고 싶은지 아래에 적어보아요.


▶어린이東亞 장진희 記者 cjh0629@donga.com

위 記事의 法的인 責任과 權限은 어린이동아에 있습니다.

< 저작권자="" ⓒ="" 어린이동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지단
한미약품
  • 댓글쓰기
  • 로그인
    • 어동1
    • 어동2
    • 어동3
    • 어동4
    • 어솜1
    • 어솜2
    • 어솜3

※ 商業的인 댓글 및 도배성 댓글, 辱說이나 誹謗하는 댓글을 올릴 境遇 任意 削除 措置됩니다.

더보기

NIE 예시 답안
시사원정대
  • 단행본 배너 광고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