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百濟어린이博物館 ::

서울百濟어린이博物館

All Menu View

서울百濟어린이博物館입니다.

111

 

서울 夢村土城 (史跡 第297號)
百濟 漢城時代 王城으로 南漢山에서 이어지는 丘陵性 山地 끝자락에 位置한다. 城壁 둘레는 2.383m이며, 높이는 現在 6∼40m로 地點에 따라 다르다. 城壁 바깥 쪽에 기둥 痕跡이 있으며, 東南쪽에서 흘러온 성내천이 桐·北·西쪽 城壁을 감싸고 돌아 垓子 役割을 한다. 이 土築性에는 王宮·官廳·王室 直屬 軍隊 等이 存在하였고, 非常時 避難處의 機能도 하였다. 1980年代부터 오늘날까지 數次例의 發掘調査를 통해 各種 집자리와 建物地, 貯藏구덩이, 道路, 蓮못 等이 確認되었다. 數千 點의 土器와 動物뼈로 만든 甲옷을 비롯하여 中國製 靑瓷, 日本産 스에키가 出土되어 百濟의 積極的인 國際交流를 理解할 수 있는 重要한 遺跡이다.
 
서울 암사동 遺跡 (史跡 第267號)
紀元前 5,000∼4,000年 頃 漢江 地域을 中心으로 形成된 新石器 時代 마을 遺跡이다. 이 遺跡에서 40期 以上의 집자리터가 發見되었는데, 只今까지 알려진 우리나라의 住居 遺跡 中 第一 큰 規模이다. 빗살무늬 土器와 돌도끼, 그물錘, 불에 탄 도토리 等이 確認되어 新石器時代 사람들의 漁撈, 採集 活動과 삶의 痕跡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靑銅器時代의 민무늬土器 遺跡도 隣接해 있으며, 初期 백제時代의 住居地들도 發見되어 新石器時代에서 歷史時代에 이르는 다양한 文化를 보여주는 貴重한 遺跡이다.
 
서울 방이동 古墳群 (史跡 第270號)
방이동 丘陵地帶에 位置한 百濟 漢城時代 무덤으로 總 8期가 자리하고 있다. 1970年代에 1·4·5·6號墳, 2017年에 3號墳을 發掘調査 하였다. 돌로 房을 만든 뒤 通路인 널길을 設置한 窟式돌房무덤이며, 出土遺物로는 鐵製篇과 흙으로 만든 굽이 달린 접시와 뚜껑 等이 있다. 6號墳에서 確認된 굽이 달린 접시의 境遇 典型的인 新羅土器의 形式으로 漢江流域이 新羅領土로 되었을 때 만들어진 무덤이라는 見解가 提示되었으나, 가깝게 位置한 석촌동 古墳群과 함께 백제의 무덤으로 보기도 한다.
 
서울 풍납동 土星 (史跡 第11號)
百濟 漢城時代 王城으로 只今은 約 2.7km 假量만 남아 있으나, 元來 全體 둘레 3.7km에 達하는 規模의 土城이었다. 土城의 形態는 南北으로 길게 뻗은 楕圓形으로 마치 옛날 나룻배 模樣과 같다. 城壁은 고운모래를 한 層씩 다져 쌓았으며, 이는 돌이 없는 平野地帶에 적합한 方法이다. 城壁의 아랫면 너비는 43m, 元來 높이는 約 12m 였을 것으로 推定된다. 1925年 큰 洪水가 났을 때 中國製 靑銅자루솥을 비롯한 高級 遺物이 出土되어 널리 알려졌으며, 1997年 土星 안 아파트 建設現場에서 遺物이 많이 發見된 뒤 發掘調査하기 始作했다. 地下 4m 깊이에서 백제王宮의 一部로 보이는 各種 建物址와 우물 倉庫, 道路 等이 發見되었으며, 各種 土器, 甓돌, 기와, 土官, 裝身具 等 貴重한 遺物이 數十萬 點이 出土되었다.
 
서울 석촌동 古墳群 (史跡 第243號)
百濟 漢城時代 王과 王族·貴族들을 비롯해 많은 사람들이 묻힌 무덤 遺跡이다. 1917年頃에는 큰 무덤 290餘 氣가 있었으나, 1970-80年代 都市開發로 모두 破壞·毁損되고 只今은 8期 程度만 남아있다. 백제의 代表的인 돌무지무덤으로 階段式 돌무지무덤과 돌 덮은 흙무지무덤, 움무덤, 독무덤 等 여러 形態의 百濟 무덤을 만날 수 있다. 무덤 안과 밖을 모두 돌로 채워 만든 高句麗의 돌무지무덤과 달리, 쌓아올린 흙 위에 다시 돌을 올려서 만든 것이 特徵이다. 本格的인 發掘調査는 1974年 蠶室 一帶의 開發을 契機로 1987年까지 數次例 進行되었으며, 2015年부터는 백제 古墳의 構造와 性格을 把握하고 保存·整備 方案을 위한 發掘을 施行 中이다. 各種 土器, 기와, 金裝身具, 琉璃구슬, 多量의 動物뼈, 鐵帽 等이 確認되었다.
 
아차산 一帶 堡壘軍 (史跡 第455號)
중랑천과 峨嵯山·용마산·忘憂山 一帶에 集中的으로 分布하고 있는 堡壘로 이루어진 遺跡이다. 아차산 一帶 堡壘들 사이의 距離는 400~500m 假量으로 比較的 一定한 便이다. 規模가 작은 구의동 보루에는 10餘 名, 紅蓮鳳 1보루에는 50名, 아차산 4堡壘와 시루봉 보루에는 100餘 名의 高句麗軍이 生活하였다. 特히 구의동 보루는 아차산 一帶 堡壘軍 가운데 最南端 堡壘로서, 漢江을 건너거나 百濟·新羅의 길목을 遮斷하는 最前方 部隊의 基地였던 것으로 推定한다. 堡壘에서 武器와 함께 農器具와 土器類가 많이 出土되었으며, 배식용 土器에는 個人 食器를 區別하기 위한 여러가지 符號가 새겨져 있기도 하다.
 
阿且山城 (史跡 第234號)
三國時代 砲穀食 石築 酸性으로, 둘레는 約 1,125m, 높이는 平均 10m 程度이다. 桐·서·남쪽에 門이 있던 痕跡과 물길이 남아있고, 城門을 밖으로 둘러 가려서 保護하는 甕城 兼 網루터가 남아있다. 一名 아單性(阿旦城)·장한성(長漢城)·廣場性(廣壯城)으로도 불린다. 1997年 阿且山城 堡壘에 對한 發掘調査를 實施한 結果 100餘 點의 土器와 30餘 點의 鐵器, 100餘 點의 武器를 비롯한 수많은 遺物이 確認되었으며, 主로 高句麗 系統의 토기들이 出土되어 高句麗와 깊은 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다. 築城 連帶는 백제가 漢江流域에 都邑하였을 때 高句麗의 南進에 對備하여 쌓았다는 見解가 있으며, 新羅가 漢江流域을 차지한 以後도 重要한 役割을 하였던 城으로 여겨지고 있다.

QUICK MENU

  • 교육안내
  • 교육신청
  • 오시는길
  • TOP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