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거북의 '3000年' 된 習慣…알 낳으러 태어난 곳 돌아가 : 동아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바다거북의 '3000年' 된 習慣…알 낳으러 태어난 곳 돌아가

統合檢索

바다거북의 '3000年' 된 習慣…알 낳으러 태어난 곳 돌아가

네덜란드 硏究陣 "地球溫暖化로 危險에 處해"
바다거북은 3000년 동안 지중해의 특정 지역에서 알을 낳고 키웠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바다거북은 3000年 동안 地中海의 特定 地域에서 알을 낳고 키웠다. 게티이미지뱅크 提供

바다거북은 알을 낳을 때가 되면 반드시 自身이 孵化한 地域으로 돌아간다는 數千年 된 習性이 確認됐다.

 

빌레美言 드 콕 네덜란드 그로닝엔 考古學硏究所 博士後硏究員 硏究팀은 北아프리카에 免한 地中海에 棲息하는 바다거북(學名 Chelonia mydas)李 알을 낳을 때가 되면 自身이 태어난 特定 海草 牧草地로 돌아가며, 이는 靑銅器부터 3000年 間 維持돼 온 習性이라는 硏究 結果를 17日(現地時間) 學術誌 '美國國立科學院會報'에 發表했다.

 

硏究陣은 地中海 沿岸에 살았던 古代人의 遺跡에서 바다거북의 痕跡을 찾았다. 靑銅器부터 鐵器에 이르기까지 그 地域에 居住했던 사람들이 바다거북을 즐겨 먹었다는 事實을 土臺로 約 2700年~ 4700年 된 遺跡에서 發見된 먹다 남은 뼈와 등 껍데기 等을 蒐集했다. 뼛속 蛋白質을 分析했더니 뼈의 主人이 바다거북이라는 事實이 밝혀졌다.

 

硏究陣은 바다거북이 알을 孵化하는 海草 牧草地에는 다양한 海草가 자라며, 이들 海草는 各其 다른 化學的 特性을 띤다는 旣存 硏究 結果를 適用했다. 바다거북이 海草를 먹으면 海草의 化學的 特性이 거북의 體內에 貯藏된다. 硏究陣은 蒐集한 바다거북 뼛속 海草의 化學的 成分을 分析해 이를 現在 바다거북이 株 棲息地로 삼고 있는 海草 牧草地의 海草와 比較했다. 그 結果 두 종이 같은 海草임이 밝혀졌다. 

 

硏究陣은 이를 土臺로 바다거북이 3000年이 넘는 期間 동안 地中海의 特定 海草 牧草地를 株 棲息地로 삼았다는 結果를 導出해냈다. 또 그 海草를 알에서 孵化한 새끼에게 먹이기 위해 牧草地로 돌아간다는 事實도 發見했다. 

 

드 콕 博士後硏究員은 "動物들도 '慣習'을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地球溫暖化로 地中海 沿岸의 氣溫이 오르면서 바다거북의 海草 牧草地度 危險에 處했고, 바다거북이 먹이를 잃을 수 있다"라고 憂慮를 표했다. 

 

또 硏究가 進行된 北아프리카 沿岸 地域이 "國家 間 紛爭으로 인해 硏究가 制限된 地域인데다 石油 開發이 計劃돼 있다"며 "바다거북들이 새로운 棲息地를 찾아야할 지도 모른다"라고 덧붙였다.  

 

關聯 태그 뉴스

이 記事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記事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科學技術과 關聯된 分野에서 紹介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告發 素材 等이 있으면 躊躇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提報하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