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랩큐멘터리_技術0 藝術을 融合하는 實驗室 : 동아사이언스

동아사이언스

[랩큐멘터리_技術0 藝術을 融合하는 實驗室

統合檢索

[랩큐멘터리_技術0 藝術을 融合하는 實驗室

포스텍 디자인 인텔리전스 硏究室
 

올해 포스텍에 문을 연  ‘浦項 체인지업 그라운드’ 3層에는 메이커스페이스라는 創業 空間이 있다. 수많은 나무 조각들로 엮어진 壁體가 마치 하나의 藝術作品처럼 서 있었다. 普通은 匠人들이 엄청난 時間을 들여 한땀 한땀 만들어 내는 構造物이지만 여기서는 로봇이 이를 한 치의 誤差도 없이 빠르게 쌓아 올려 製作한다. 옆에는 酒煎子를 든 로봇팔이 커피 필터에 물을 부으며 커피를 操心스레 내리고 있었다. 너머에는 사람 키보다 큰 3次元(3D) 프린터가 建物 材料를 부어 構造를 만들고 있었다.
 

박주홍 포스텍 IT融合工學科 敎授가 이끄는 디자인 인텔리전스 硏究室의 指向點인 藝術과 技術을 融合하는 巨大한 實驗室이다. 硏究室은 디자인이 必要한 都市, 建築, 機械부터 飮食 等 多樣한 分野에 사람과 人工知能(AI)李 가지는 知能(인텔리전스)를 椄木하는 硏究를 遂行하고 있다.

 

박주홍 포스텍 IT融合工學科 敎授

硏究室의 代表的인 硏究 分野는 로보틱 建築이다. 나무 조각을 活用한 壁體는 建築에 藝術을 附與해 附加價値를 높이는 任務를 로봇을 통해 더욱 精巧하게 具現해 낸 例다. 포스텍 隣近 農地를 求해 로봇이 木材와 鐵材를 運搬하고 로봇을 活用한 3D 프린팅 技術을 適用하는 로봇 建築硏究度 遂行하고 있다. 朴 敎授는 “住宅 建築을 數千, 數百萬 원에 解決할 수 있다고 하면 自動車 分野의 電氣車와 같은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朴 敎授는 本人 스스로를 藝術과 人文學에 技術을 融合하는 特異한 敎授라고 紹介한다. 올해 浦項文化財團과 都市再生프로젝트에 藝術과 技術을 混合하는 프로젝트를 遂行하고 있다. 浦項製鐵에서 退職한 技術者들의 技術을 스틸아트 形態로 再創出시켜 活用하는 것이다. 造船所 衰落으로 어려움을 겪는 프랑스 낭트를 超大型 動物形 機械 等을 製作하며 觀光都市로 復活시킨 ‘라 머신’과 같은 事例를 만드는 것이 目標다.

 

硏究室의 特徵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效率이나 性能이 아닌 아름다움을 追求한다는 것, 다른 하나는 머리 外에도 마음이 必要한 硏究를 한다는 것이다. 硏究室의 다른 硏究主題人 假想現實(VR)과 增强現實(AR) 機器 開發에도 이러한 디자인的 要素가 考慮된다. 朴 敎授는 “硏究가 人類의 發展에 寄與한다는 觀點에서 보면 哲學이나 人文學, IT 技術이 모두 같은 範疇에 있다”고 말했다.

 

 

▼포스텍 디자인 인텔리전스 硏究室 바로가기

 

※大學 硏究室은 人類의 未來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窓門입니다. 人類 知識의 地平을 넓히는 硏究부터 實際 人間의 삶을 便하게 하는 技術 開發까지 다양한 冒險과 挑戰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오늘도 硏究室마다 敎授와 硏究員, 學生들이 머리를 맞대고 熱情을 펼치고 있습니다.  硏究者 한 名 한 名은 모두 하나하나의 學問입니다. 동아사이언스는 210個에 이르는 硏究室을 保有한 포스텍과 함께 누구나 쉽게 硏究를 理解할 수 있도록 2分 分量의 硏究室 다큐멘터리, 랩큐멘터里를 每週 水曜日 紹介합니다.

關聯 태그 뉴스

이 記事가 괜찮으셨나요? 메일로 더 많은 記事를 받아보세요!

댓글 0

###
    科學技術과 關聯된 分野에서 紹介할 만한 재미있는 이야기, 告發 素材 等이 있으면 躊躇하지 마시고, 알려주세요. 提報하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