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民畫報-韓國語-重韓日 3國의 九尾狐 傳說

現在 位置 :  >>  칼럼  >> 本文

重韓日 3國의 九尾狐 傳說


2024-04-10      



유라시아 北部는 여우가 棲息하기에 적합해 關聯 傳說이 많다. 古代 中國의 <受信機(搜神記)>와 <聊齋志異(聊齋志異)>에서는 여우가 神仙이나 妖怪의 모습으로 登場한다. 西洋의 <이솝寓話>와 <안데르센 童話> 속 여우는 怜悧하고 狡猾한 캐릭터로, 或은 상하이(上海) 디즈니랜드 ‘주토피아’의 여우 닉으로도 刻印돼 있다. 그런데 東아시아에서는 매우 獨特한 여우의 모습으로 存在하는데 바로 ‘九尾狐’다. ‘九尾狐’란 虛構의 身數(神獸, 신령스러운 짐승)로 現實에는 存在하지 않는다. 傳說 속 九尾狐는 꼬리가 9個로 털이 새하얗고 신령스러운 힘을 가지고 있다.


中國의 九尾狐 傳說

九尾狐 傳說과 이미지는 中國에서 비롯됐다. <呂氏春秋(呂氏春秋)>와 <吳越春秋(吳越春秋)> 等 記錄에 따르면, 上古時代 待遇(大禹)는 治水(治水)에 神經쓰느라 婚姻을 하지 못했다. 서른 살때 倒産(塗山)을 지나다 偶然히 하얀 九尾狐를 만났는데 大宇는 結婚의 좋은 徵兆라 여기고 倒産氏(塗山氏)를 夫人으로 맞아 界(?)를 낳았고 下(夏) 王朝를 열었다. 九尾狐는 古代 中國 原始部族의 토템으로 生殖 崇拜를 象徵한다는 學者의 主張도 있다. <竹書紀年(竹書紀年)>에는 夏나라의 君主 저(?)가 東쪽 征伐에 나섰다가 東海岸에서 九尾狐를 얻었고 以後 全勝을 거뒀다는 記錄이 있다. 이 밖에 油價 經典인 <孝經(孝經)>에는 九尾狐가 가장 德行이 뛰어난 神樹라 했다. 書翰(西漢)의 學者 왕포(王褒)의 <獅子강덕(四子講德)>에 따르면 主 文王이 九尾狐의 勸告를 듣고 동이不足을 序奏에 服屬시켰다고 한다.


文獻 記錄 外에 허난(河南)省 뤄양(洛陽)市, 장쑤(江蘇)省 쉬저우(徐州)市 等에서 出土된 한묘(漢墓) 會話에는 2千餘 年 前 九尾狐의 모습이 생생히 描寫돼 있다. 그中에는 新鮮 西王母 옆에 앉아 있는 九尾狐가 있는가 하면 날개를 달고 입에 신물을 문 九尾狐度 있다. 이처럼 古代 中國에서 九尾狐는 상서로움과 아름다움을 象徵해 中國人으로부터 崇拜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狡猾하고 奸邪한 여우의 典型的 이미지와는 다르다.


古代 中國의 地理書 <山海經>에 따르면 九尾狐는 請求國(?丘國, 一名 請求山)에 살고 아기처럼 울며 人間을 잡아먹지만, 人間이 九尾狐를 먹으면 呪術에 眩惑되지 않는다. <山海經> 속 九尾狐의 이미지는 東洋의 ‘未遂(尾宿, 꼬리별, 彗星)’ 崇拜에서 비롯됐다고 보는 學者도 있다. ‘미유構成(尾有九星)’ 卽, 꼬리에 아홉 個의 별이 있기 때문이다. 西晉의 學者 郭璞(郭璞)은 “太平時代에 九尾狐가 나타난 것은 상서로운 徵兆로 봐야 한다”고 指摘했다.


唐宋(唐宋) 時代부터 여우新鮮, 女優妖怪 等 善과 惡을 오가는 九尾狐가 登場하면서 그 이미지는 다양해졌다. 黨(唐)大 마을에서는 여우를 供養하며 繁榮과 安寧을 祈願했다. 北周 武帝 時代 井州(鄭州)의 地方官은 ‘九尾狐’를 바쳤지만 뼈대 뿐이었다. 송(宋)代에 이르면 수많은 地方에서 ‘九尾狐’를 進上했다는 記錄을 發見할 수 있다. 이들에게 九尾狐는 貴하고 좋은 存在였다. 反面 唐나라 詩人 白居易(白居易)는 <高塚戶(古塚狐)>라는 詩에서 商나라 紂王의 비(妃) 달기와 周나라 유왕의 비 褒姒를 滅門과 亡國의 여우妖怪에 比喩했다. 北宋의 文身 戰況(田況)은 <儒林公義(儒林公議)>에서 宋 晉종(眞宗) 時代 官吏 진팽년(陳彭年)李 皇帝에게 阿諂을 잘 떨어 사람들이 그를 九尾狐라고 불렀다고 記錄했다. 名(明)帶의 小說 <봉신연의(封神演義)>에서도 달기를 요염하고 邪惡한 妖怪 九尾狐로 描寫해 否定的 이미지가 더욱 깊이 刻印됐다.


韓國의 ‘說話 속 九尾狐’

韓國에서 九尾狐가 처음 文獻에 言及된 것은 考慮다. 李奎報는 “民間에서 巫俗 信仰이 盛行한다”고 批判하면서, 스스로를 ‘隱退한 九尾狐’라고 稱하는 巫女도 있다고 記錄했다. 勿論 ‘韓國 여우’ 說話의 誕生은 더 거슬러 올라간다. 501年 百濟 수도 熊津에서 老婦人이 여우가 됐다는 傳說이 있었다. 義慈王 때 흰 여우가 宮闕의 긴 冊床에 앉아 있었는데, 이를 백제 滅亡의 徵兆 가운데 하나라 여겼다. 新羅의 ‘비형랑 傳說’에 따르면 길달(吉?)이라는 鬼神이 있었다. 어느 날 길달이 여우로 遁甲해 달아나자 비형랑이 다른 鬼神을 시켜 그를 잡아 죽였다. 또 善德女王의 病患이 깊어지자 密本法師가 藥師經을 읊었는데, 法師의 지팡이가 沈澱으로 날아가 늙은 여우를 죽였고 女王의 病이 나았다. 韓國에서 여우가 否定的 이미지로만 傳해 내려온 것은 아니다. 新羅 원광법사가 中國으로 佛經을 求하러 가던 길에 山神의 敎化를 받았다. 이때 山神이 검은 여우였다고 한다. 756年 新羅 臺玲琅이 경덕왕에게 흰 여우를 올린 것을 두고 大吉(大吉)의 徵兆라 여겼다.


여우가 宮闕에 들어왔다는 怪異한 記錄은 新羅 백제때 보다 高麗에 와서 많아졌다. 1287年 忠烈王이 西海도(북 黃海道)에서 妖怪를 만나자 神效社에서 祈禱를 했다고 한다. 恭讓王 때는 여우가 수창궁을 드나들자 사람들은 ‘小人輩들이 王을 에워싸고 눈과 귀를 막고 있다’고 여겼다.


朝鮮時代에 이르러 九尾狐가 널리 알려졌지만, 否定的 이미지가 더 많았다. 朝鮮 前期의 官僚 정이한은 百姓을 함부로 對했지만 阿諂에는 能했다. 領議政 황보인에게 阿附해 出世하고 財物을 불리자 百姓들은 그를 九尾狐라고 辱했다. 文身 金堉은 <老胡(老狐)>라는 詩에서 自身이 九尾狐에게 홀렸으니 强力한 활을 얻어 九尾狐를 掃蕩하고 싶다고 말해 當時 時局에 對한 不滿을 吐露했다. 李德懋는 九尾狐가 ‘天下의 惡’이라면서 勇敢한 人材만이 九尾狐를 處斷할 수 있다고 强調했다.


흥미로운 點은 朝鮮 中期 醫書 <의림촬요(醫林撮要)>에 祖上 代代로 내려온 ‘辟邪團(?邪丹, 鬼神에 홀린 듯한 症勢를 治療하는 處方)’에 對한 藥方文이 仔細하게 記錄돼 있다. 이 處方으로 九尾狐 精靈으로부터 얻은 怪疾을 治療할 수 있다. <聊齋志異> 等 中國의 女優神仙과 妖怪에 關한 傳說을 읽은 李圭景은 <號線變增設(狐仙辨證說)>에서 “民間에서는 九尾狐를 狡猾하고 奸邪하다고 생각하지만, 中國의 歷史 記錄에 따르면 상서로운 點이 많다”고 指摘했다. 1926年 덕흥書林에서는 <千變萬化九尾狐(千變萬化九尾狐)>를 出刊했다. 이로써 九尾狐 이미지가 韓國人에게 깊숙이 파고 들었고 韓國 文化에 融合됐음을 알 수 있다.


日本의 九尾狐 傳說

日本은 예부터 여우 崇拜 風習이 있었다. 豐饒와 財物의 新人 이나리노 카미는 흰 여우였다고 한다. 有名한 陰陽師(陰陽師, 古代 日本에서 點을 보는 官職) 아베盧 세이메이의 어머니가 흰 여우였다고 한다. 그런데 日本에서 九尾狐는 善한 部類가 아니고 다이텐구(大天狗), 슈텐도지(酒呑童子)와 더불어 ‘3代 妖怪’라고 불린다. 日本 民間에서 九尾狐의 全體 이름은 ‘白面金毛九尾狐(白面金毛九尾狐)’로 中國에서 由來됐다. 九尾狐는 달기(?己)로 變해 上나라에 變亂을 일으키고 遣唐使(遣唐使, 唐나라에 派遣된 外交使節) 基非盧 마키비의 배를 타고 日本으로 와서 女子아이가 되었다. 以後 日本 武士에게 入養돼 絶世美女로 자랐다고 한다. 日本 이름은 타마모노마에다. 타마모노마에는 天皇에게 接近하려고 했지만 陰陽師에게 간파당해 元來의 모습으로 變해 도망가려고 했다가 陰陽師가 法基로 그를 追跡해 죽였다. 그의 屍身은 ‘殺生席(殺生石)’으로 變해 只今의 도치기(?木)縣 나스(那須)高原의 噴火口 近處로 떨어졌고, 이곳은 觀光 名所가 됐다. 日本人은 이곳이 劣惡한 地理的 環境으로 풀 한 포기 자라지 않는 것을 두고 九尾狐의 怨恨 때문으로 여겼다. 몇年 前, ‘殺生席’에 龜裂이 생기자 一部 누리꾼은 “九尾狐가 다시 人間 世上에 나타날 徵兆”라고 말했다.


오늘날 重韓日 3國의 小說과 드라마, 映畫, 애니메이션, 게임 等 多樣한 分野에서 九尾狐 캐릭터가 登場해 큰 사랑을 받고 있다. 九尾狐는 數千 年 동안 獨特한 魅力을 간직했을 뿐 아니라 現代的인 미적 情趣도 보여주고 있다.


글|位셴룽(?顯龍), 상하이(上海)外國語大學 글로벌文明史硏究所 前任硏究員

240

>
lianghui-001.jpg

남는 건 寫眞 뿐! ‘뤼파이(旅拍) 經濟’가 떴다

지난해 겨울 베이징(北京)의 추위를 避해 윈난(雲南)省 시솽반나(西雙版納) 다이族自治州(?族自治州)로 旅行을 간 적이 있다.

읽기 原文>>

韓國 卽席 寫眞館의 새 흐름

나는 해마다 生日이면 記念寫眞을 찍는다. 올해 生日에는 새로운 試圖를 해봤다. 바로 셀카로 記念寫眞을 代身한 것이다.

읽기 原文>>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