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民畫報-韓國語-남는 건 寫眞 뿐! ‘뤼파이(旅拍) 經濟’가 떴다

現在 位置 :  >>  重限交流  >> 本文

남는 건 寫眞 뿐! ‘뤼파이(旅拍) 經濟’가 떴다


2024-04-10      



지난해 겨울 베이징(北京)의 추위를 避해 윈난(雲南)省 시솽반나(西雙版納) 다이族自治州(?族自治州)로 旅行을 간 적이 있다. ‘中國 속 작은 泰國’이라 불리는 이곳에서 싱狂(星光)夜市場, 總不辭(總佛寺), 멍러大佛事(猛?大佛寺) 等 主要 觀光 名所마다 다이(?)足 傳統衣裳을 입은 女性이 撮影技師와 함께 곳곳을 돌아다니며 포즈를 取하고 寫眞을 찍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었다.


最近 中國에서 流行하는 이른바 뤼파이의 모습이다. 뤼파이, 中國語로 ‘旅行가서 찍는 寫眞’을 意味한다. 이를 위해 專門 業體에서 撮影用 衣裳과 메이크업, 撮影 서비스까지 모두 提供한다.


中國 헤이룽장(黑龍江)省 하얼빈(哈爾濱)의 랜드마크인 聖소피아 聖堂 앞에서 草綠色 돔과 붉은色 甓돌의 聖堂 建物을 背景으로 러시아 公主風의 華麗한 드레스를 입은 寫眞, 산시(山西)省 핑야오(平?)固城을 背景으로 明淸時代 傳統衣裳을 입고 眞相(晋商, 산시 出身 商人) 아가씨로 變身한 寫眞, 간쑤(甘?)省 둔황(敦煌)市 밍死産(鳴沙山) 자락의 初生달 模樣 湖水 앞에서 페르시아 公主가 된 듯 베일로 얼굴을 가린 채 수줍게 웃는 寫眞... 모두 中國人들이 旅行가서 社會關係網서비스(SNS)에 올린 뤼파이 寫眞들이다.


韓國에는 “旅行에서 남는 건 寫眞뿐”이라는 有名한 말이 있는데, 韓國人만큼이나 中國人들도 寫眞엔 眞心이라는 게 느껴졌다.


뤼파이는 單純히 寫眞만 찍는 게 아니다. 寫眞 撮影에 必要한 衣類 貸與와 메이크업을 모두 統合해 하나의 産業群을 形成할 程度다. 2023年 中國 뤼파이産業 報告書에 따르면 지난해 中國 뤼파이 市場 規模만 400億 위안(藥 7兆4000億원)에 肉薄했다. 더 아름다운 삶을 願하는 中國人의 需要와 맞물려 單純히 觀光地를 둘러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沒入型, 體驗型 觀光이 人氣를 끌면서 이제 觀光을 主軸産業으로 하는 都市에는 뤼파이가 새로운 經濟成長 動力이 되고 있다.


過去 觀光客들이 맛있는 飮食을 먹고 記念品을 사는 데 紙匣을 열었다면, 이제는 現地에서 衣裳을 빌리고 化粧을 하고 專門 撮影技師와 同行하며 寫眞을 찍으니, 觀光客 1人當 消費額度 늘어나는 것이다. 게다가 아름답게 꾸민 모습으로 專門 寫眞技士의 손길을 거쳐 誕生한 寫眞은 現地 觀光 이미지를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뤼파이가 盛行하다보니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光景도 演出된다. 그래서 베이징 紫禁城(紫禁城), 後難(湖南)省 펑황(?凰)高聲, 장쑤(江蘇)省 난징(南京)博物館 等 有名 觀光地에서는 關聯 規定을 導入했다. 紫禁城은 反射板이나 三脚臺 等 商業用 撮影裝備 搬入을 禁止했다. 펑황固城에서는 指定된 作業服을 입은 正式 뤼파이 事業者가 아닌 이가 商業用 寫眞을 찍을 境遇 罰金을 물어야 하는 規定도 생겼다. 


글|배인선(韓國), 韓國 아주經濟 베이징 特派員

240

>
lianghui-001.jpg

韓國 卽席 寫眞館의 새 흐름

나는 해마다 生日이면 記念寫眞을 찍는다. 올해 生日에는 새로운 試圖를 해봤다. 바로 셀카로 記念寫眞을 代身한 것이다.

읽기 原文>>

土박이 文化부터 獨立鬪士 발자취까지… 베이징 後퉁의 魅力

난뤄궈샹(南?鼓巷)의 윈난(雲南) 훠궈(火鍋) 뷔페집, 옌다이셰제(烟袋斜街)에서 舊러우(鼓樓)를 바라보며 먹는 훠궈집, 우다오잉(五道營) 後퉁(胡同)의 露天 훠궈집…….

읽기 原文>>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