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民畫報-韓國語-韓國 卽席 寫眞館의 새 흐름

現在 位置 :  >>  重限交流  >> 本文

韓國 卽席 寫眞館의 새 흐름


2024-04-10      



나는 해마다 生日이면 記念寫眞을 찍는다 . 올해 生日에는 새로운 試圖를 해봤다 . 바로 셀카로 記念寫眞을 代身한 것이다 .


最近 사이 , 韓國에서는 ‘卽席 寫眞館’이 큰 人氣를 얻고 있다 . 셀카 스튜디오 突風을 가장 먼저 先導한 곳은 ‘人生네컷’이다 . 한 張에 寫眞 네 컷이 담기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 以後 비슷한 卽席 寫眞館이 雨後竹筍처럼 登場했다 . 브랜드마다 한 張에 담기는 컷 數가 달랐지만 , 人生네컷이 卽席 寫眞館의 代表走者이자 代名詞가 됐다 . 人生네컷은 밀레니엄 時代의 ‘스티커 寫眞’과 비슷하지만 畫質이 더 좋고 스타일 選擇의 幅도 넓어져 이른바 ‘ MZ ’로 불리는 靑年 世代의 놀이터로 큰 사랑을 받고 있다 . 게다가 寫眞에 標示된 큐알 (QR) 코드를 통해 3 日 내 寫眞 파일과 撮影 前 過程을 記錄한 動映像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 價格은 業體마다 다르지만 普通 한番 利用 時 4000 원에서 6000 圓 사이다 . 한 자리에 적어도 3 個의 프랜차이즈 寫眞館들이 몰려 있어 마케팅 競爭도 熾烈하다 . 그래서 各 프랜차이즈 마다 背景과 小品 , 프레임 스타일이 모두 다르다 . K-POP 스타나 有名 캐릭터 라이선스와 協業해 특별한 寫眞 프레임을 選擇할 수 있으며 머리띠와 선글라스 , 人形 等 撮影用 小品도 提供한다 . 優雅한 콘셉트나 復古 스타일을 提供하는 곳도 있다 . ‘비비드 뮤지엄’은 빨강 , 草綠 , 파랑의 세 가지 背景을 提供해 寫眞을 찍으면 고풍스러운 느낌이 물씬 난다 . 같은 會社의 姊妹 브랜드인 ‘모노 맨션’은 原木과 물결 같은 심플 모던한 背景에서 撮影할 수 있어 卒業 寫眞이나 演藝人 프로필 寫眞 같은 雰圍氣를 낼 수 있다 . ‘포토 시그니처’는 人工知能 (AI) 技術을 利用해 寫眞을 찍는다 . 撮影과 同時에 瞬息間에 選好하는 옷으로 갈아입거나 補正할 수 있다 . 이러한 技術 德分에 傳統 韓服이나 아이돌 舞臺 衣裳 等을 쉽게 즐길 수 있으며 좋아하는 아이돌과 함께 寫眞을 찍거나 미니 웨딩 撮影도 할 수 있다 .


選擇肢가 너무 많아 全部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 네 個 브랜드의 여러 背景을 選擇해 撮影해도 2~3 萬원 程度면 充分했다 . QR 코드를 통해 寫眞 파일을 다운받으면 滿足할 때까지 修正할 수 있으니 ‘人生네컷’이 왜 이렇게 暴發的인 人氣를 얻는지 알 수 있었다 . 앞으로 一般 寫眞館에 갈 때 많은 苦悶을 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


人件費 上昇과 科學技術의 進步로 過去 專門家한테 맡겨서 하던 일을 이제는 ‘셀프’로 하는 게 可能해졌다 . 人生네컷의 人氣 亦是 時代의 變化狀을 담고 있다 . 네 칸의 寫眞 속에는 喜怒哀樂뿐 아니라 未來의 빛과 모습도 담겨 있다

글|쑹샤오첸 ( 宋?? ), 韓國 이화여자대학교 韓國學 博士

240

>
lianghui-001.jpg

土박이 文化부터 獨立鬪士 발자취까지… 베이징 後퉁의 魅力

난뤄궈샹(南?鼓巷)의 윈난(雲南) 훠궈(火鍋) 뷔페집, 옌다이셰제(烟袋斜街)에서 舊러우(鼓樓)를 바라보며 먹는 훠궈집, 우다오잉(五道營) 後퉁(胡同)의 露天 훠궈집…….

읽기 原文>>

都市의 連結網, 서울의 골목 風景

閑暇할 때 筆者가 가장 즐겨 찾는 곳은 景福宮 周邊에 거미줄처럼 펼쳐진 골목길이다.

읽기 原文>>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