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人民畫報-韓國語-오리똥 香이 나는 車가 있다고?

現在 位置 :  >>  社會·文化  >> 本文

오리똥 香이 나는 車가 있다고?


2024-03-19      



中國 知人이 광둥(廣東)으로 旅行을 다녀오면서 車를 좋아하는 나에게 재밌는 車를 膳物로 가져왔다. 茶의 맛도 맛이지만 車 이름이 正말 재미있다. 中國語로는 ‘壓市響(鴨屎香)’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이를 韓國語로 풀이해 보면 ‘오리똥 香’이라는 뜻이다. 車에서 똥 냄새가 난다니! 當然히 맛을 봐야지. 好奇心이 무럭무럭 자라났다.


압시향이라는 車는 鳳凰短銃(鳳凰單叢)의 한 種類다. 大部分 車 名稱이 그렇듯 鳳凰短銃도 差가 난 地域인 광둥 차오저우(潮州) 펑황(鳳凰)縣에서 난다고 붙은 이름이다. 車 種類로 區分하자면 우롱차다. 광둥은 푸젠(福建)만큼 우롱차를 많이 먹는 地域이기 때문에 광둥에서 이름이 난 鳳凰短銃의 맛은 當然히 좋을 수밖에 없다.


壓市響은 우롱차 中에서도 淸香型 우롱차에 屬한다. 發效 程度가 우롱차 中에서는 낮은 便으로 鐵觀音(鐵觀音)처럼 香이 좋고 깔끔한 맛이 特徵이다.


이 車의 別稱이 壓市響이 된 데는 재밌는 事緣이 깃들어 있다. 當然히 이름처럼 오리똥 냄새가 나진 않으니 一旦 걱정은 붙들어 매길 바란다.


압시香은 一旦 보기에도 茶잎의 模樣이 가느다랗고 길게 생긴 것이 오리똥을 꼭 닮았다. 別稱이 찰떡처럼 맞아떨어진 것이다.




事實 壓市響이 이런 이름이 붙은 理由는 土壤 때문이다. 香이 좋은 우롱차를 栽培하기 위해 가장 重要한 것은 土壤이다.


우롱차 명지人 無二暗算(武夷巖山)도 土壤이 좋은 곳이다. 壓市響이 栽培되는 펑황縣은 예로부터 ‘오리똥’이라 불리는 黃土로 有名한 곳. 미네랄이 豐富한 이 土壤이 茶나무가 자라는 데 좋은 環境을 만들어 줬다.


茶香 亦是 미네랄이 豐富하다. 마치 無二暗車(武夷巖茶)인 대홍포나 肉鷄, 修繕 같은 맛을 낸다. 이 茶를 맛본 사람들이 茶맛이 너무 좋아 압시香을 처음 栽培한 農夫에게 어떻게 이런 車 나무를 栽培했냐고 물었는데, 農夫는 自身만의 栽培 技術이 綻露 날까 봐 “오리똥으로 길러서 이런 香이 난다”라고 둘러댔다. 이때부터 鳳凰短銃은 ‘壓市響’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始作했다고 한다.


壓市響은 宋代 末期부터 栽培가 됐다고 하니 歷史가 900年 가까이 된다. 긴 歷史만큼 鳳凰短銃의 品種도 80餘 가지에 達한다. 무이암차처럼 陸계향, 蘭草向 等 香徒 多樣하다.


栽培 地域이 熱帶 氣候이기 때문에 잎의 크기는 다른 地域의 우롱차보다 큰 便이다. 栽培 環境은 年平均 21.4度의 氣溫과 降水量 1685.9mm, 四季節 맑은 氣候를 維持하는 곳이다.


맛은 무이암차와 비슷한데 조금 더 맛이 豐富하다고 해야 할까? 무이암차처럼 그윽한 바위 香이 나면서도 바위틈에 핀 欄에서 蘭꽃 香氣가 隱隱하게 올라오듯 향긋한 느낌이 있다. 바위香은 雲霧가 짙은 펑황縣의 氣候 때문에 나는 것일 테고, 꽃내음은 아마도 質 좋은 土壤이 빚어낸 것이리라.


壓市響의 香을 中國 사람들은 香이 좋기로 有名한 金銀貨(金銀花, 忍冬덩굴꽃)에 빗대서 表現할 程度로 隱隱하다. 마시는 내내 향긋하면서도 묵직한 茶香이 이어진다. 車 中에는 맛보다 香이 더 좋은 車들이 몇몇 있는데 壓市響은 確實히 혀보다 코를 더 즐겁게 하는 차다.


그리고 中國 싸구려 茶를 먹을 때 느껴지는 街向한 듯한 느끼함이 全혀 없이 깔끔한 맛이 一品이다. 잎이 두꺼워서 그런지 內砲聲도 좋아서 한 番에 8番 程度 우릴 수 있다.


| 김진방(韓國) 

240

>
lianghui-001.jpg

土박이 文化부터 獨立鬪士 발자취까지… 베이징 後퉁의 魅力

난뤄궈샹(南?鼓巷)의 윈난(雲南) 훠궈(火鍋) 뷔페집, 옌다이셰제(烟袋斜街)에서 舊러우(鼓樓)를 바라보며 먹는 훠궈집, 우다오잉(五道營) 後퉁(胡同)의 露天 훠궈집…….

읽기 原文>>

都市의 連結網, 서울의 골목 風景

閑暇할 때 筆者가 가장 즐겨 찾는 곳은 景福宮 周邊에 거미줄처럼 펼쳐진 골목길이다.

읽기 原文>>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