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曉峯인사이드볼파크]강봉규,프로10年만에장밋빛안타행진|스포츠동아

[李曉峯인사이드볼파크]강봉규,프로10年만에장밋빛안타행진

入力 2009-06-17 07:30:00
프린트
共有하기 닫기

 강봉규. 스포츠동아DB

“하루 하루 感謝하는 마음으로 뛰고 있습니다. 남들처럼 100安打를 쳐보는 게 첫 番째 꿈입니다.” 프로入團 10年만에 最高의 打擊感을 보여주고 있는 三星 강봉규(寫眞)의 꿈은 素朴하다.

지난해까지 강봉규가 한 시즌 가장 많이 때린 安打數는 2002年과 2007年 두次例 記錄한 40個. 강봉규는 “홈런을 한해에 40個씩 치는 選手도 있는데 고작 안타 40個 치려고 프로에 왔나 생각하니 많이 부끄러웠다”고 한다. 올해 강봉규는 連日 安打를 뿜어내고 있다.

15日 現在 0.332로 堂堂히 打擊 9位. 벌써 62安打를 쳤다. 경남고와 고려대에서 大型 3窶籔로 活躍한 강봉규는 1998年 방콕 아시안게임에 出戰한 招待 드림팀 멤버다.

프로에 와서 當한 두次例의 커다란 負傷만 없었으면 훨씬 빠르게 打擊能力을 뽐냈을 選手다. 첫番째 負傷은 손목骨折. 2003年 4月 淸州 한화戰에서 打擊을 하다 왼 손목을 크게 다쳤다. 手術後 再活에 專念했지만 손목負傷은 오랫 동안 강봉규를 괴롭혔다.

달갑지 않은 두番째 負傷은 이듬해 또 찾아왔다. 6月 光州 KIA戰에서 마해영의 파울打毬를 잡다 오른쪽 어깨 靭帶가 破裂되는 큰 負傷을 입고 두番째 手術을 받았다.

2年連續 手術을 받은 後遺症은 體力低下로 나타났다. 完璧하게 몸을 만들지 않고 서둘러 競技場에 나선 게 잘못이었다. 어깨와 손목痛症이 繼續 이어졌고 아무리 訓鍊을 해도 몸에 힘이 없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野球를 그만둘까도 深刻하게 생각했다.

2006年 김창희와 함께 三星으로 트레이드되지 않았으면 隱退를 했을지도 몰랐다는 게 강봉규의 率直한 이야기다. 2007年까지 강봉규는 鎭痛劑를 먹고 競技에 나갔다. 手術한 어깨가 아파 鎭痛劑를 먹지 않고는 치는 것도 공을 던지는 것도 힘들었다.

강봉규는 지난해 마무리 캠프부터 나가시마 打擊코치와 함께 野球人生을 걸고 訓鍊에 集中했다. 언제까지 백업으로만 머물러 있을 수 없다는 切迫함이 묻어 있었다. 공을 좀 더 오래 볼 수 있도록 打擊姿勢를 고치고 2壘手 方向을 노리는 簡潔한 스윙으로 바꾸었다. 하루 1000個 스윙을 해가며 轉地訓鍊 때는 點心時間에도 특타를 했다.

선동열 監督은 “마무리캠프부터 棒규가 正말 熱心히 했다. 期待가 컸는데 생각 以上으로 잘 해주고 있다”며 洽足해 했다.

강봉규는 틈날 때마다 切親한 親舊인 두산 捕手 최승환에게 電話를 건다. 高麗大와 연세대 出身으로 學校는 다르지만 나란히 2000年 프로에 뛰어 든 入團同期다.

둘은 지난 5月 17日 蠶室競技때 홈에서 衝突했고 최승환이 이때 무릎에 큰 負傷을 입었다. “저나 승환이나 10年만에 처음 主戰 자리를 잡았는데 승환이한테 너무 未安해요. 제가 親舊 몫까지 해야죠.” 강봉규는 親舊의 빠른 復歸를 祈願한다.

강봉규는 筋力과 瞬發力이 90%% 程度 回復돼 어떤 공도 칠 것 같은 自信感이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 10年만에 잡은 主戰자리를 決코 놓치지 않겠다는 覺悟도 숨기지 않는다.

“어느 瞬間부터인지 나에게는 꿈이 없었다. 이제 새로운 꿈이 생겼고 더 나은 꿈을 위해 最善을 다하겠다”는 강봉규. 그의 새로운 野球人生이 오랫 동안 밝게 빛나기를….

野球解說家
꿈이 있는 사람은 걱정이 없다. 失敗와 落心으로 힘들어도 꿈이 있어 이겨낼 수 있다. 選手들의 꿈과 希望을 이야기하고 싶다.



뉴스스탠드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