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江華郡精神健康福祉센터-센터長 人事말
  • 센터長 人事말
  • Home > 센터紹介 > 센터長 人事말






  • 只今 우리는 健康한 마음이 健康한 몸과 더불어 幸福한 삶을 營爲하는데 얼마나 重要한지 몇 番을 强調해도 不足함이 없는 時代에 살고 있습니다.

    워라밸(Work-life balance, 일과 삶의 均衡), 小確幸(바쁜 日常에서 느끼는 작은 즐거움), 욜로(You Only Live Once,現在 自身의 幸福을 가장 重視하며 消費하는 態度) 等 마음과 몸의 便安함과 幸福을 追求하는 新造語에도 精神健康의 重要性이 强調되어 있습니다.

    江華郡에서는 精神健康의 價値에 對한 重要性을 일찍이 認識, 江華郡精神健康福祉센터를 開所하여 健康한 마음과 幸福에 비전을 두고 精進하여 온 지 어느덧 올해로 열아홉 해를 맞이하였다니 感懷가 새롭습니다.




    우리는 하루에도 몇 番씩 짜증나는 失手와 挫折을 經驗하고 때로는 疾病, 失職, 破産, 離婚, 自然災害 等과 같이 堪當하기 힘든 苦痛을 經驗하기도 합니다.

    이런 苦痛은 우리를 지치게 만들고, 그렇게 喪失 或은 傷心의 時間이 길어지게 되면 더러는 極端的 選擇을 하는 사람들도 생겨나기도 합니다. 反面, 집을 사고 就業을 하고 結婚을 하는 것처럼 너무 크고 成就가 不確實한 幸福을 ?技보다는 日常 속에서 작지만 成就할 確率이 確實한 小小한 幸福을 追求하며 健康한 마음으로 每 瞬間 幸福을 누리기도 합니다.

    江華郡精神健康福祉센터는 郡民 스스로가 所重한 내 人生, 두 番 다시 오지 않을 오늘, 只今 이 瞬間들을 健康한 마음과 몸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다는 信念을 가질 수 있도록 回復을 促進하고 激勵하는 것에 價値를 두고 미션을 遂行하고 있습니다.




    ‘흉터 하나 없는 人生은 없습니다. 當身이 스스로 抛棄하지 않는 限, 삶은 當身을 바닥으로 끌어내릴 수 없습니다.
    著名한 心理學者 多니얼 골먼은 그의 著書 ‘回復彈力性’에서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剛하며, 스스로 抛棄하지 않는 限 아무도 우리의 希望과 自負心을 앗아갈 수 없다고 自信있게 말하고 있습니다.

    江華郡精神健康福祉센터는 疾病이 있는 境遇 回復 할 수 있는 사람의 能力에 對한 믿음으로 出發하며 이러한 믿음은 우리의 비전을 傳達하고 鼓吹하고 서비스를 推進하는 原動力이 됩니다. 이러한 原動力으로 重症精神疾患者와 自殺試圖者의 地域社會 統合, 精神健康 偏見 解消 및 環境造成, 地域社會 인프라 强化 및 協力體系를 構築하여 精神健康 서비스를 提供하고 個人의 回復을 돕고 있습니다.




    配慮, 感謝, 憐憫, 忍耐, … 漢字의 뜻을 살펴보면 모두 ‘마음’이 들어가 있습니다.

    또한, 그 마음은 關係맺기 안에서 잘 쓰여집니다. 서로, 함께 마음을 잘 쓰는 일은 個人이, 모두가 幸福해지는 일이며 삶이 풍요로워지는 길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여기, 새로운 疏通의 場을 마련하여 또 다른 始作을 하게 된 것을 무척 기쁘게 생각하며, 關心을 가지고 찾아 준다는 것은 스스로를 사랑하고 돌본다는 것이므로 사랑스럽고 所重한 한 분 한 분을 자주 만나 뵙게 되기를 希望합니다.

    이에, 江華郡精神健康福祉센터는 힘을 얻어 窮極的인 우리의 使命인 精神健康을 通한 郡民의 삶의 質이 向上되는데 寄與하도록 하루, 한 달, 한 해 변함없는 幸福한 걸음으로 熱心히 나아가겠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